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남북 회담 관련 인터뷰 기사 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주의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by 알약(Alyac) 2018. 4. 4. 16:32

본문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동맹과 비핵화를 주제로 한 남북 회담 관련 인터뷰 기사 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발견되어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이번에 발견된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인터뷰 기사가 작성된 정상 문서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드롭퍼로서, 'C:\Users\(사용자 계정)\AppData\Local\MFAData\event\' 경로에 'errors.dll' 악성 파일을 자가 복제 및 실행합니다. 또한 윈도우 부팅 시 자동 실행을 위해 자동 실행 레지스트리에 등록합니다. 추후 본 악성코드는 자가 삭제됩니다.


[그림 1] 남북 회담 관련 인터뷰 기사 내용이 담긴 문서


[그림 2] 자가 복제 및 자동 실행 레지스트리 등록 코드


드롭퍼에서 실행되는 'errors.dll'은 키로깅 기능과 봇 기능을 수행합니다. 사용자로부터 탈취한 입력, 클립보드 정보, 현재 실행 중인 창 이름을 'C:\Users\(사용자 계정)\AppData\Local\Packages\BingWeather\' 경로의 'debug.tmp' 파일에 저장합니다.


[그림 3] 키로깅 정보 저장 코드


다음은 봇 기능입니다. 'C:\Users\(사용자 계정)\AppData\Local\Packages\BingWeather\' 경로의 'repaired' 파일에 C&C(checksessionmail.esy.es)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림 4] C&C 전송 코드의 일부


받아온 데이터를 토대로 봇 기능을 수행합니다. 봇 기능에는 C&C에 파일 전송, 시스템 정보 전송, 스크린샷을 서버로 전송, 파일 이름 및 크기 정보 전송, 파일 삭제, 프로세스 실행, 추가 명령 확인 기능이 있습니다.


[그림 5] 봇 기능 코드


한편, 이번 악성코드에서 발견된 PDB 경로는 다음과 같으며 이 PDB를 토대로 한 변종이 과거에도 발견된 바가 있습니다.

 

※ 이번에 발견된 PDB 경로

F:\0_work\planes\2018\0328\Doc7\Release\Doc.pdb(TimeStamp : 2018.03.29 07:21:34(UTC))


※ 과거에 발견된 PDB 경로 중 일부

F:\0_work\planes\2017\0704\Doc7\Release\Doc.pdb(TimeStamp : 2017.07.04 14:22:35(UTC))

└ F:\0_work\planes\2017\0626\virus-load\_Result\virus-dll.pdb(드롭된 DLL)

F:\0_work\planes\2017\0508\Doc7\Release\Doc.pdb(TimeStamp : 2017.05.08 10:54:49(UTC))

└ F:\0_work\planes\2017\0502\virus-load\_Result\virus-dll.pdb(드롭된 DLL)

[표 1] 개발자 PDB 경로


우선 2017년 7월 4일에 제작된 것으로 보여지는 악성코드는 이번 악성코드와 동일한 경로에 'errorevent.dll' 파일 이름으로 드롭 및 자동 실행 레지스트리 등록합니다. 이후 자가 삭제합니다. 해당 악성코드 리소스(AVI 204)에 북한의 전략군 창설기념일과 관련된 기사 문서가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자에게는 보여주지 않습니다.


[그림 6] 'errorevent.dll' 드롭 및 자동 실행


다음은 악성코드 리소스에 있는 기사 문서입니다.


[그림 7] 악성코드 리소스에 저장된 북한의 전략군 창설기념일과 관련된 기사 문서


자동 실행 레지스트리로 부터 실행되는 'errorevent.dll'은 앞서 분석한 'errors.dll'와 동일하게 키로깅 기능과 C&C(member-daumchk.netai.net) 연결 뒤, 봇 기능을 수행합니다. 다음은 봇 기능 코드이며, 'errors.dll'과 동일한 코드 구조를 가집니다.


[그림 8] 'errorevent.dll'의 봇 기능 코드


다음은 2017년 5월 8일에 제작된 것으로 보여지는 변종의 메인 코드입니다. 마찬가지로 동일 경로에 'errorevent.dll' 악성 파일을 드롭하며, C&C(member-daumchk.netai.net)에 연결하고, 봇 기능을 포함한 키로깅 을 수행합니다.


[그림 9] 2017년 5월 8일에 제작된 것으로 보여지는 변종의 메인 코드


본 포스트에서 언급한 3가지 드롭퍼와 드롭된 파일에서 확인된 정보들의 일부를 간략하게 표로 비교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8.03.29 발견 악성코드

2017.07.04 발견 악성코드

2017.05.08 발견 악성코드

 드롭 경로

 C:\Users\(사용자 계정)\AppData\Local\MFAData\Event\

 자동 실행 레지스트리 이름

 RTHDVCPS

 RTHDVCP

 드롭된 악성 파일 이름

 errors.dll

 errorevent.dll

 C&C 주소

 checksessionmail.esy.es

 member-daumchk.netai.net

[표2] TimeStamp 기준 악성코드별 드롭퍼 및 드롭된 파일 비교


따라서 지속적으로 악성코드가 발견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악성코드에 감염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검증되지 않은 파일을 실행하기 전,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악성 여부 검사를 수행해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알약에서는 관련 샘플들을 'Trojan.Agent.340480B', 'Trojan.Downloader.Agent', 'Trojan.Agent.Qkkbal'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