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카페·공항·지하철 등 일상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공용 와이파이(Wi-Fi), 데이터 요금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누구나 한 번쯤 사용해 보셨을 텐데요. 하지만 무심코 연결했다가 계정 탈취·금융사기·기업 기밀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공용 Wi-Fi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기술적 관점에서 짚어보고,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패킷 스니핑(Packet Sniffing)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한 해커가 오가는 데이터를 가로채 로그인 정보나 메시지를 탈취할 수 있습니다.
⚠️ 내가 입력한 ID·비밀번호가 그대로 유출될 수 있습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기
- Wi-Fi 패킷 분석기를 통한 네트워크 트래픽 실시간 가로채기
- HTTPS 미사용 사이트 접속 시 ID·비밀번호·세션 쿠키 평문 유출
-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을 통한 로그인 서비스 세션 토큰 탈취 및 계정 장악
▪️ 가짜 AP(Access Point, Evil Twin Attack)
실제와 유사한 이름으로 와이파이를 개설해 사용자가 속아 접속하도록 유도한 뒤 데이터를 빼냅니다.
⚠️ 진짜 Wi-Fi와 헷갈려 접속하면 모든 활동이 공격자에게 감시당합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유사 SSID 스푸핑 Wi-Fi 개설을 통한 통신 가로채기
- Evil Twin Attack 기반 웹페이지 변조·악성코드 삽입·피싱 리다이렉트
▪️ 암호화 미지원 및 취약한 프로토콜
보안 설정이 없는 Wi-Fi는 주고받는 데이터가 평문(Plain Text)으로 노출되어 쉽게 도청당할 수 있습니다.
⚠️ 개방형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통신이 도청당할 수 있습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기
- 구형 암호화(WEP/WPA) 크래킹을 통한 신속한 해독 위험
- 개방형 네트워크 평문 노출 및 SSL Strip 기반 HTTPS 다운그레이드 공격
▪️ 추가 위협 벡터
공격자는 DNS 요청을 변조해 가짜 사이트로 유도하거나, 가짜 핫스팟을 개설해 사용자의 모든 인터넷 활동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금융 정보와 로그인 계정이 고스란히 노출됩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기- DNS 스푸핑: DNS 요청 변조를 통한 가짜 사이트 유도
- 공격용 핫스팟 활용: 이동식 장비 기반 강제 연결 및 트래픽 통제
🚨 이메일·SNS 로그인 계정 및 비밀번호 유출
🚨 금융 거래 시 카드번호·계좌번호 등 결제 정보 탈취
🚨 기업 계정 로그인 시 업무 문서·고객 정보 유출
→ APT 공격의 사전 정찰 단계로 악용 가능
🚨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악성 앱이 무단 다운로드 및 설치
단순한 편의 때문에 무심코 연결한 Wi-Fi가 심각한 개인정보 유출과 금전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이용 습관
▪︎ 금융·업무는 반드시 LTE/5G 이동통신망으로 수행
▪︎ 스마트폰/노트북에서 Wi-Fi 자동 연결(autoconnect) 옵션 해제
▪︎ HTTPS 연결 필수 확인 및 브라우저 확장 보안 기능(HSTS, HTTPS-Only 모드) 활용
🔹 추가 보안 계층 적용
▪︎ VPN(Virtual Private Network) 사용으로 구간 암호화
▪︎ VPN 사용이 어렵다면, 반드시 TLS 1.2 이상의 보안 웹사이트만 접속
▪︎ 기업 환경에서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네트워크 통제 도입
🔹 모바일 보안 앱 활용
알약M과 같은 모바일 보안 솔루션은 단순 백신을 넘어 Wi-Fi 안전성 검사 기능을 제공합니다.
▪︎ 공격 가능성이 높은 네트워크 탐지 및 자동 차단
▪︎ 피싱/악성 앱 설치 시도 사전 탐지
▪︎ 단말 자체 보안 검사 병행
알약M은 단순한 모바일 백신을 넘어, 네트워크 보안 점검 → 취약한 AP 탐지 → 차단 → 위협 알림까지 지원합니다. 사용자는 복잡한 설정 없이도 실시간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공용 Wi-Fi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보안 위협에서 안전합니다.
공용 Wi-Fi는 무료라는 편리함 뒤에 항상 패킷 탈취, 가짜 AP, 암호화 취약점이라는 보안 위험이 숨어 있습니다. 기업과 개인 모두, 무심코 연결한 순간 계정·금융 정보·산업기밀까지 노출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알약M은 필수 보안 도구입니다. 모바일 보안, 이제 알약M으로 시작해 보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첫 구매 웰컴딜 경품 이벤트 진행중 (8/20 ~ 10/31) (0) | 2025.08.20 |
---|---|
지금 기업이 반드시 준비해야 할 데이터 보안 전략! (0) | 2025.08.19 |
백신만으로는 부족한 시대, 알약 EDR로 완성하는 보안 체계 구축 전략 (4) | 2025.08.13 |
ISEC 2025 이스트시큐리티 현장 상담 신청 이벤트에 참여하세요! (3) | 2025.08.11 |
[한입보안] 알면서도 또 속는 스미싱?! 휴가철 꼭 알아야 할 보안 수칙 (0) | 2025.08.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