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리눅스 취약점

    • 리눅스 배포판 대부분에 PPP 대몬의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0-8597) 존재해

      2020.03.09 by 알약(Alyac)

    • 시스템 전체를 해킹하도록 허용하는 치명적인 리눅스 Wi-Fi 버그 발견

      2019.10.21 by 알약(Alyac)

    • 공격자들이 리눅스 시스템에서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는 Snapd 결점 발견

      2019.02.15 by 알약(Alyac)

    • 공격자들이 리눅스 컨테이너를 탈출해 호스트의 루트 권한을 탈취할 수 있는 RunC 결점 발견

      2019.02.14 by 알약(Alyac)

    • 리눅스 커널에서 아직 패치 되지 않은 DoS 취약점 두 개 발견

      2018.11.27 by 알약(Alyac)

    •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권한 상승 취약점 발견

      2018.10.30 by 알약(Alyac)

    • MOV SS/POP SS 디버그 예외취약점(CVE-2018-8897/CVE-2018-1087) 주의!

      2018.05.16 by 알약(Alyac)

    • Red Hat Linux DHCP 클라이언트, 명령 주입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밝혀져

      2018.05.16 by 알약(Alyac)

    리눅스 배포판 대부분에 PPP 대몬의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0-8597) 존재해

    Most of Linux distros affected by a critical RCE in PPP Daemon flaw PPP 대몬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17년된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이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을 해킹 위험에 노출시키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US-CERT는 거의 모든 리눅스 기반 OS에 탑재된 PPP 대몬(pppd)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CVE-2020-8597)에 대해 경고하는 보안 권고를 발행했습니다. pppd 소프트웨어는 전화 접속 모뎀, DSL 연결, 기타 포인트-투-포인트 연결을 통한 인터넷 링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Point-to-Point 프로토콜(PPP) 구현입니다. CVE-2020-8597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스택 버퍼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3. 9. 08:51

    시스템 전체를 해킹하도록 허용하는 치명적인 리눅스 Wi-Fi 버그 발견

    A critical Linux Wi-Fi bug could be exploited to fully compromise systems GitHub의 수석 보안 엔지니어인 Nico Waisman이 리눅스의 치명적인 결함을 발견했습니다. CVE-2019-17666으로 등록 된 이 취약점은 악용 될 경우 공격자가 취약한 기기 전체를 해킹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취약점은 리눅스 버전 3.5.6 및 이전 버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 문제는 최소 2015년부터 존재해왔습니다. 이 취약점은 “rtlwifi” 드라이버에 존재하는 버퍼 오버플로우 문제로 특정 리얼텍 Wi-Fi 모듈이 리눅스 OS와 통신하도록 허용합니다. NVD는 “리눅스 커널 5.3.6 및 이전 버전의 drivers/net/wirele..

    국내외 보안동향 2019. 10. 21. 11:38

    공격자들이 리눅스 시스템에서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는 Snapd 결점 발견

    Snapd Flaw Lets Attackers Gain Root Access On Linux Systems 우분투와 및 기타 리눅스 배포판들에서 심각한 권한 상승 취약점이 발견 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은 로컬 공격자나 악성 프로그램이 타겟 시스템에서 루트 권한 및 전체 제어 권한을 얻을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이 취약점은 “Dirty_Sock”이라 명명 되었으며 CVE-2019-7304로 등록 되었으며, 이를 발견한 보안 연구원인 Chris Moberly는 지난달 말 우분투의 제작사인 Canonical에 제보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어플리케이션이 별도의 수정 없이도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들과 호환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범용 리눅스 패키징 시스템인 snapd 서비스의 REST API에 존재합니다. Canon..

    국내외 보안동향 2019. 2. 15. 08:53

    공격자들이 리눅스 컨테이너를 탈출해 호스트의 루트 권한을 탈취할 수 있는 RunC 결점 발견

    RunC Flaw Lets Attackers Escape Linux Containers to Gain Root on Hosts runC 컨테이너 코드에서 오픈소스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다수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 되었습니다. 이는 공격자들이 리눅스 컨테이너를 탈출하고 호스트 OS의 승인 되지 않은 루트 수준의 접근 권한을 얻을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CVE-2019-5736으로 등록 된 이 취약점은 오픈 소스 보안 연구원들이 발견했으며, 지난 월요일 SUSE Linux GmbH의 runC 관리자가 이를 공개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을 위한 가벼운 저레벨 커맨드라인 툴인 runC에 존재했습니다. 컨테이너는 호스트에서 단일 커널을 사용하여 격리 시스템 다수를 실행하기 ..

    국내외 보안동향 2019. 2. 14. 08:10

    리눅스 커널에서 아직 패치 되지 않은 DoS 취약점 두 개 발견

    Linux Kernel is affected by two DoS vulnerabilities still unpatched 리눅스 커널에서 서비스 거부 취약점(DoS) 두 개가 발견 되었습니다. 이 이슈는 리눅스 커널 4.19.2 및 이전 버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두 이슈 모두 심각도 ‘보통’으로 분류 되었으며, 로컬 공격자가 서비스 거부 상태를 유발시키기 위해 악용할 수 있는 NULL 포인터 역참조(dereference) 이슈입니다. 첫 번째 취약점은 CVE-2018-19406로 등록 되었으며, arch/x86/kvm/lapic.c에 구현 된 리눅스 커널 함수인 kvm_pv_send_ipi에 존재합니다. “리눅스 커널 4.19.2및 이하 버전의 arch/x86/kvm/lapic.c에 존재하는 kvm_..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1. 27. 17:11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권한 상승 취약점 발견

    New Privilege Escalation Flaw Affects Most Linux Distributions 인도의 한 보안 연구원이 X.Org 서버 패키지에서 OpenBSD 및 Debian, Ubuntu, CentOS, Red Hat, Fedora를 포함한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결점을 발견했습니다. Xorg X 서버는 인기있는 X11 시스템의(디스플레이 서버) 오픈소스 구현으로, 광범위한 하드웨어 및 OS 플랫폼에 그래픽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관리를 위해 클라이언트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간의 중개자 역할을 합니다. 소프트웨어 보안 연구원인 Narendra Shinde의 블로그 포스팅에 따르면, Xorg X 서버는 적어도 두 개의 명령어 라인 파라미터의..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0. 30. 10:01

    MOV SS/POP SS 디버그 예외취약점(CVE-2018-8897/CVE-2018-1087) 주의!

    해당 취약점은 '인텔(Intel)' CPU 아키텍처 상에서 동작하는 하드웨어 디버그 예외를 예상하지 못하는 새로운 취약점 입니다. 이 취약점은 OS나 KVM 등에서 예외 조건에 대해 부적절한 점검이나 처리로 인해 발생하며,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는 메모리 정보에 마음대로 접속, 시스템 충돌 혹은 권한 상승을 가능하게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점 번호 CVE-2018-8897CVE-2018-1087 영향받는 범위 Windows/MacOS/FreeBSD/Linux등의 커널유명 OS 및 KVM/Xen 가상화 시스템 패치방법 Red Hat:https://access.redhat.com/security/vulnerabilities/pop_ssUbuntu:https://..

    국내외 보안동향 2018. 5. 16. 15:53

    Red Hat Linux DHCP 클라이언트, 명령 주입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밝혀져

    Red Hat Linux DHCP Client Found Vulnerable to Command Injection Attacks 구글의 보안 연구원이 Red Hat 리눅스 및 Fedora와 같은 파생 제품의 DHCP 클라이언트에서 치명적인 원격 명령 주입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CVE-2018-1111로 등록 된 이 취약점은 공격자들이 타겟 시스템에서 루트 권한으로 임의의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사용자의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조인할 때 마다, 사용자의 시스템이 DHCP(Dynamic Host Control Protocol) 서버로부터 IP 주소 및 DNS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DHCP 클라이언트입니다. 이 취약점은 DHCP 클라이언트 패키..

    국내외 보안동향 2018. 5. 16. 13:2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