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신용카드 정보

    • ‘Keeper’ 해킹 그룹, 온라인 스토어 570곳 해킹

      2020.07.08 by 알약(Alyac)

    • 다시 돌아온 Lucy 악성코드, 랜섬웨어 기능 등 추가하고 FBI 벌금 테마 사용

      2020.04.29 by 알약(Alyac)

    • Trojan.Android.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9.08.26 by 알약(Alyac)

    ‘Keeper’ 해킹 그룹, 온라인 스토어 570곳 해킹

    'Keeper' hacking group behind hacks at 570 online stores “Keeper”로 알려진 해킹 그룹이 지난 3년 동안 온라인 스토어 570곳 이상을 해킹해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Keeper 범죄 그룹은 온라인 스토어 백엔드에 침투해 그들의 소스코드를 변경했으며, 구매자가 결제 시 입력한 지불카드 정보를 로깅하는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했습니다. 이러한 공격 유형은 사이버 보안 커뮤니티에서 ‘웹 스키밍’ 또는 ‘E 스키밍’ 또는 ‘Magecart’ 침입(이 전략을 처음으로 사용한 해커 그룹 이름)이라 부릅니다. 2017년부터 활동해온 Keeper 범죄 그룹 Gemini Advisory는 오늘 발표된 보고서를 통해 Keeper가 최소 2017년 4월부터 활동해 왔다고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8. 14:30

    다시 돌아온 Lucy 악성코드, 랜섬웨어 기능 등 추가하고 FBI 벌금 테마 사용

    Lucy’s Back: Ransomware Goes Mobile ‘FBI가 파일을 암호화했으며, 복구를 원할 경우 돈을 지불하라’고 주장하는 새로운 랜섬웨어 변종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감염 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lack Rose Lucy 랜섬웨어는 지난 2018년 말 처음 등장했습니다. 이 랜섬웨어의 개발자들은 지속적으로 코드를 발전시켜 이제는 파일 암호화 기능까지 추가했으며, 감염된 기기를 제어하여 설정을 변경하고 다른 악성코드 설치까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heck Point의 연구원들은 Lucy의 새로운 기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발표했습니다. 연구원들은 이 랜섬웨어의 샘플이 소셜 미디어 링크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배포되고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기기가 감염되면, 이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4. 29. 14:30

    Trojan.Android.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유럽에서 SMS를 통한 뱅킹 악성 앱 유포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악성 앱들은 러시아인들을 대상으로 제작되었으나 수정을 거쳐 유럽에도 유포되기 시작했습니다. 유포 경로는 SMS를 이용 하고 있으며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를 통해 피해자들에게 악성 apk 파일이 전달됩니다. 피해자들이 다운받은 apk 파일은 쇼핑 앱 등의 친숙한 아이콘과 파일이름을 가지고 있어 별다른 의심없이 설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렇게 설치된 악성 앱들은 피해자의 신용 카드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피해자가 피해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제작되어 있습니다. 이번 분석 보고서에서는 러시아 발 악성 앱인 “Trojan.Android.Bank..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8. 26. 11:3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