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애드웨어

    • 애드웨어 vs 스파이웨어 무엇이 다를까? 나를 스파잉하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 삭제하세요!

      2021.01.19 by 알약5

    • 안드로이드 앱 21개에서 애드웨어 발견돼

      2020.10.27 by 알약4

    • 악성 안드로이드 앱, 구글 보안 스캔을 우회하기 위해 사기 코드 비활성화

      2020.06.10 by 알약(Alyac)

    • 가짜 Zoom 인스톨러, 악성코드 배포해

      2020.04.07 by 알약(Alyac)

    • 공격적인 광고를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앱 600개, 플레이스토어에서 제거돼

      2020.02.24 by 알약(Alyac)

    • 베트남의 한 대학생이 개발한 애드웨어 42개, 플레이 스토어에서 800만회 이상 다운로드 돼

      2019.10.25 by 알약(Alyac)

    • DealPly 애드웨어, 백신 회피 위해 Smartscreen 악용해

      2019.08.06 by 알약(Alyac)

    • Trojan.Android.HiddenAds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19.06.21 by 알약(Alyac)

    애드웨어 vs 스파이웨어 무엇이 다를까? 나를 스파잉하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 삭제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인터넷 익스플로어 외에도 다양한 브라우저가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는 구글 크롬(Chrome)일 것입니다. 구글 크롬의 다양한 장점 중 하나는 바로 편리하고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죠. 이러한 확장 프로그램은 인터넷 이용에 있어 유용한 기능을 제공해 주는데요. 구글 계정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동기화하거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해두기 때문에 해킹의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최근 12월 17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크롬과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확장 프로그램에서 악성 코드를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크롬 확장 프로그램에서는 15개의 악성 코드가 발견되었으며, 모두 사용자 수가 300만 명 이상인 인기 프로그램이었습..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21. 1. 19. 09:00

    안드로이드 앱 21개에서 애드웨어 발견돼

    Adware found in 21 Android apps with more than 7 million downloads 구글이 보안 업체인 Avast의 제보를 받아 공식 플레이스토어에서 신고된 안드로이드 앱 21개 중 15개를 제거했습니다. 연구원들은 해당 앱이 HiddenAds로 알려진 악성코드 유형에 감염되었다고 밝혔습니다. 2019년 발견된 이 안드로이드 애드웨어는 광고를 공격적으로 표시하고 모바일 브라우저를 열어 광고가 가득 찬 페이지나 홍보 페이지로 이동시킵니다. 오늘 발표된 보고서에서, Avast의 악성코드 분석가인 Jakub Vávra는 이 앱들이 인기있는 게임 앱을 모방했으며 공격자들이 사용자들을 플레이스토어 페이지로 끌어들이기 위해 소셜 미디어 광고 및 마케팅을 이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사..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27. 14:00

    악성 안드로이드 앱, 구글 보안 스캔을 우회하기 위해 사기 코드 비활성화

    Malicious Android apps deactivated fraud code to bypass Google's security scans 구글이 최근 플레이 스토어에서 악성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다수를 제거했습니다. 이 악성 앱들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광고를 표시하고 브라우저 리디렉션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악성 앱을 발견하여 구글에 제보한 White Ops 측은 이 앱이 모두 동일한 범죄 그룹이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원들은 이 그룹이 사용자에게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앱 최소 38개를 생성했으며 최근 생성된 앱은 소스코드 내에서 악성 애드웨어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앱 등록 및 승인 과정에서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보..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0. 14:30

    가짜 Zoom 인스톨러, 악성코드 배포해

    PSA: Fake Zoom installers being used to distribute malware 공격자들이 악성코드와 애드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설치하는 인스톨러를 배포하기 위해 Zoom 화상 회의 서비스의 인기를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람들이 실내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물리적/사회적 거리두기를 실행함에 따라 재택 근무를 위한 화상 회의, 운동 수업, 화상을 통한 모임을 위해 Zoom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노린 공격자들은 코인 마이너, 원격 액세스 트로이목마, 애드웨어를 번들로 포함한 Zoom 클라이언트 인스톨러를 배포하기 시작했습니다. 트렌드마이크로는 피해자의 컴퓨터에 가상화폐 채굴기를 설치하는 Zoom 인스톨러가 현재 배포중이라 보고했습니다. “합법적인 화상 컨..

    국내외 보안동향 2020. 4. 7. 09:38

    공격적인 광고를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앱 600개, 플레이스토어에서 제거돼

    Google Bans 600 Android Apps from Play Store for Serving Disruptive Ads 구글이 플레이스토어에서 공격적인 광고를 표시하고 광고 가이드라인을 위반한 안드로이드 앱 약 600개를 차단했습니다. 구글은 전화를 걸려고 시도할 때 표시되는 전체 화면 광고 등 “사용자가 기기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고, 예기치 않은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광고”를 공격적인 광고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문제의 앱 이름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Buzzfeed 뉴스에 따르면 이 중 대부분은 45억 회 이상 설치되었으며 주로 영어권 사용자를 노리고 개발자는 중국, 홍콩, 싱가포르, 인도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구글은 악성 개발자들이 “공격적인 광고를 배포..

    국내외 보안동향 2020. 2. 24. 14:08

    베트남의 한 대학생이 개발한 애드웨어 42개, 플레이 스토어에서 800만회 이상 다운로드 돼

    42 Adware Apps with 8 Million Downloads Traced Back to Vietnamese Student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초기에는 합법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배포 되지만, 악성 전체화면 광고를 표시하도록 업데이트 되는 애드웨어 앱 42개를 발견했습니다. 이 앱들은 총 800만 회 이상 다운로드 되었습니다. ESET의 보안 연구원인 Lukas Stefanko가 발견한 이 애드웨어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은 베트남의 한 대학생이 개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려는 시도를 전혀 하지 않아 쉽게 추적할 수 있었습니다. 이 애드웨어 앱과 관련 된 도메인의 공개 등록 정보에는 해당 개발자의 실제 이름, 주소, 전화번호가 포함 되었기 때문에..

    국내외 보안동향 2019. 10. 25. 15:23

    DealPly 애드웨어, 백신 회피 위해 Smartscreen 악용해

    DealPly Adware Abuses Microsoft Smartscreen to Boost AV Evasion 안티 바이러스 탐지를 피하기 위해 Microsoft의 SmartScreen 및 McAfee의 WebAdvisor에서 제공하는 평판 서비스를 악용하는 새로운 DealPly 변종이 발견되었습니다. DealPly는 브라우저에 광고를 표시하도록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애드웨어입니다. enSilo 연구원들은 이 변종이 모듈형 코드, 머신 핑거프린팅, VM 탐지 기술, 강력한 C&C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DealPly가 평판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그들의 변종이나 다운로드 사이트 중 어떤 것이 손상되어 향후 타깃 기기를 감염시키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분..

    국내외 보안동향 2019. 8. 6. 13:56

    Trojan.Android.HiddenAds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Android의 공식 마켓인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한 악성 앱 유포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물론 구글에서도 안전한 앱스토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지만 수많은 앱들이 등록되다 보니 제대로 걸러지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더불어 공격을 수행하는 악성 앱 제작자들도 앱스토어에 공격 앱을 등록하기 위해 노력하며 마켓의 앱 등록 절차상 허점 등의 취약점을 적극 활용합니다. 악성 앱 제작자들이 공식 마켓에 악성 앱을 등록하려는 이유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일단 마켓에 앱이 등록되면 수많은 잠재 피해자에게 악성 앱이 노출되는 점과 다운로드 수가 많아질수록 확산 속도도 빨라지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구글 플레..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6. 21. 08:2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