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익스체인지

    •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 백도어 및 가상화폐 채굴 공격 받아

      2021.04.23 by 알약4

    • WannaCry 다시 돌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공격 증가해

      2021.03.31 by 알약4

    • Black Kingdom 랜섬웨어, Microsoft Exchange 서버 공격해

      2021.03.23 by 알약4

    • 유럽 은행 당국, 익스체인지 서버 해킹 알려

      2021.03.09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Exchange 내 제로데이 취약점 4개 패치돼

      2021.03.03 by 알약4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 백도어 및 가상화폐 채굴 공격 받아

    Botnet backdoors Microsoft Exchange servers, mines cryptocurrency 패치되지 않은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Microsoft Exchange) 서버가 Prometei 봇넷의 공격 대상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격을 받은 서버는 운영자의 XMR 가상화폐 채굴 봇에 추가됩니다. 이 모듈형 악성코드는 윈도우 및 리눅스 시스템을 모두 감염시킬 수 있으며, 작년 해킹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고 취약한 윈도우 컴퓨터를 노예로 만든 EternalBlue 익스플로잇을 사용한 공격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최소 2016년 이후부터 활동해 Cybereason의 Nocturnus 팀은 해당 봇넷이 최소한 5년은 활동해 온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2016년..

    국내외 보안동향 2021. 4. 23. 14:00

    WannaCry 다시 돌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공격 증가해

    Microsoft Exchange attacks increase while WannaCry gets a restart 최근 패치된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의 취약점이 사이버 범죄자들 사이에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이 특정 벡터에 집중하는 공격의 횟수가 증가했습니다. 지난 6개월 동안 랜섬웨어 공격의 빈도가 증가했지만, 사이버 보안 회사인 Check Point는 지난 주 ProxyLogon에 취약한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를 노린 공격이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패치 작업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전 세계에서 세 배 이상의 공격 시도를 목격했으며 이는 수만 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전히 공격자에게 매력적인 타깃인 마이크로소프트..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31. 14:00

    Black Kingdom 랜섬웨어, Microsoft Exchange 서버 공격해

    Microsoft Exchange servers now targeted by Black Kingdom ransomware 'Black Kingdom' 랜섬웨어가 서버를 암호화하기 위해 Microsoft Exchange 서버의 ProxyLogon 취약점을 악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주말, MalwareTech의 Marcus Hutchins는 트위터를 통해 공격자가 랜섬웨어를 배포하기 위해 ProxyLogon 취약점을 악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를 해킹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허니팟 로그 확인 결과 공격자가 'yuuuuu44[.]com'로부터 랜섬웨어 실행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로 푸시하는 PowerShell 스크립트를 실행했다고 밝혔습니다. 허니팟은 공격자를 유인..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3. 14:33

    유럽 은행 당국, 익스체인지 서버 해킹 알려

    European Banking Authority discloses Exchange server hack 유럽 은행 당국(EBA)이 전 세계의 조직을 노린 APT 공격으로 인해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Microsoft Exchange) 서버가 해킹된 후 모든 이메일 시스템을 중단했습니다. EBA는 사고에 대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EBA는 ICT 업체, 포렌식 전문가 팀, 관련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전체적인 조사를 신속히 시작했습니다. EBA는 공격자가 데이터에 접근했을 가능성이 있는지, 접근했다면 어떤 데이터인지 식별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또한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일요일 발표된 초기 권고에 따르면, 공격자가 이메일 서버에 저장된 개인..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9. 09:25

    마이크로소프트 Exchange 내 제로데이 취약점 4개 패치돼

    Four zero-days in Microsoft Exchange actively exploited in the wild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마이크로소프트 Exchange에 존재하는 제로데이 취약점 4개(CVE-2021-26855, CVE-2021-26857, CVE-2021-26858, CVE-2021-27065)를 수정하는 긴급 보안 업데이트를 발행했습니다. 이 제로데이 취약점은 실제 공격에 활발히 악용되고 있는 중이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중국 정부 지원 APT 그룹 HAFNIUM가 이 취약점을 통해 온-프레미스 Exchange 서버에 접근하여 이메일 계정에 접근하고, 피해자의 환경에 지속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백도어를 설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공격체인은 Exchange 서버 포..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3. 14:3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