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중간자공격

    •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모질라, 카자흐스탄의 MitM HTTPS 인증서 금지

      2020.12.21 by 알약4

    • Supermicro 서버들, BMC 취약점으로 인해 원격 USB 공격에 노출시켜

      2019.09.04 by 알약(Alyac)

    • MS Office 365와 G Suite, IMAP 공격에 다단계 인증 우회돼

      2019.03.15 by 알약(Alyac)

    •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티비들, 악성 앱을 통한 백도어에 공격 받아

      2016.01.09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새로운 암호화 취약점 Logjam, 인터넷 사용자들을 위험에 빠트려

      2015.05.21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와이파이피셔(WiFiPhisher),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공격하는 자동화된 피싱공격 툴

      2015.01.07 by 알약(Alyac)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모질라, 카자흐스탄의 MitM HTTPS 인증서 금지

    Apple, Google, Microsoft, and Mozilla ban Kazakhstan's MitM HTTPS certificate 브라우저 제작사인 애플(Apple), 구글(Google), 마이크로소프트(Miscrosoft), 모질라(Mozilla)가 카자흐스탄 정부에서 국가의 수도인 누르술탄의 시민들의 HTTPS 트래픽에 인터셉트하여 복호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루트 인증서를 금지시켰습니다. 해당 인증서는 2020년 12월 6일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카자흐스탄 정부에서는 지역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에 누르술탄 시민들이 정부에서 발행한 특정 디지털 인증서를 기기에 설치 하지 않았을 경우 외국 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도록 차단할 것을 강요했습니다. 사용자들은 외국에서 호스팅되는 대부분의 사이트에 접속할..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2. 21. 14:00

    Supermicro 서버들, BMC 취약점으로 인해 원격 USB 공격에 노출시켜

    BMC Vulnerabilities Expose Supermicro Servers to Remote USB-Attacks 펌웨어 보안 회사인 Eclypsium은 Supermicro 마더보드를 사용하는 기업용 서버들이 악성 USB 기기를 가상으로 꽂는 방식으로 원격으로 해킹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자가 시스템에 물리적으로 접근하거나 피해자가 신뢰할 수 없는 USB 드라이브를 컴퓨터에 꽂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취약한 Supermicro 서버에 모든 유형의 USB 공격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USBAnywhere"라 명명된 이 공격은 BMC 컨트롤러에서 발견된 신규 취약점을 악용합니다. 이 취약점은 승인되지 않은 원격 공격자가 Supermicro 서버에 원격으로 연결하여 가상으로 악성 USB..

    국내외 보안동향 2019. 9. 4. 10:20

    MS Office 365와 G Suite, IMAP 공격에 다단계 인증 우회돼

    Multi-Factor Auth Bypassed in Office 365 and G Suite IMAP Attacks 다단계 인증(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으로 보호된 마이크로소프트 Office 365와 G Suite 계정이 대규모 IMAP 기반 패스워드 스프레이(Password Spray) 공격을 통해 해킹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해킹 기술은 기본 인증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프로토콜이 다단계 인증을 우회한다는 것을 악용했습니다. ※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란? IMAP는 인터넷 메시지 접속 프로토콜로서 이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받아올 때 사용하는데, 서버에 저장된 이메일을 ..

    국내외 보안동향 2019. 3. 15. 15:59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티비들, 악성 앱을 통한 백도어에 공격 받아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티비들, 악성 앱을 통한 백도어에 공격 받아Android-based Smart TVs Hit By Backdoor Spread Via Malicious App 최근 많은 소비자들이 집에 스마트 장비들을 가지고 있습니다.이 중 가장 인기 있는 IoT 장비는 스마트 TV일 것입니다.이 TV들은 단순한 수동적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니라, 일부는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해당 기능들은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지만, 위험도 함께 따릅니다. 이런 앱 들은 다른 나라의 채널을 시청할 수 있게 하는 등 매우 유용하지만,일부 앱들은 유저들을 위험에 빠트릴 수도 있습니다.이러한 앱들은 롤리팝 5.0 이전의 안드로이드 버전에 존재하는 오래된 취약점인CVE-2015-7911을 악용하는 백도어..

    국내외 보안동향 2016. 1. 9. 09:00

    [해외보안동향] 새로운 암호화 취약점 Logjam, 인터넷 사용자들을 위험에 빠트려

    새로운 암호화 취약점 Logjam, 인터넷 사용자들을 위험에 빠트려LogJam — This New Encryption Glitch Puts Internet Users at Risk 한 보안 연구팀이 암호화 통신을 다운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격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Logjam이라 명명되었으며, 중간자 공격(MITM)을 통해 사용자와 웹, 또는 이메일 서버 간의 암호화 통신을 다운그레이드시킬 수 있습니다. Logjam 은 취약한 암호화 기법을 통해 HTTPS 연결에서 OpenSSL을 포함한 SSL/TLS 클라이언트를 다운그레이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FREAK 취약점과 매우 비슷합니다. 그러나 FREAK은 실행과 관련된 취약점이며 Logjam은 TLS 프로토콜 자체의 기본 설계상의 취약점이란 점에서..

    국내외 보안동향 2015. 5. 21. 15:32

    [해외보안동향] 와이파이피셔(WiFiPhisher),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공격하는 자동화된 피싱공격 툴

    와이파이피셔(WiFiPhisher),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공격하는 자동화된 피싱공격 툴 그리스의 보안 연구원인 George Chatzisofroniou가 Wi-Fi 네트워크의 크리덴셜을 훔치도록 설계된 WiFi 소셜 엔지니어링 툴을 개발했습니다. 해당 툴의 이름은 와이파이피셔(WiFiPhisher)입니다. 이는 지난 일요일 소프트웨어 개발 사이트인 GitHub(https://github.com/sophron/wifiphisher)에 공개되었으며, 유저들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개발자는 “이는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으로, 브루트포싱은 아니다. WPA 패스워드를 얻기 위한 쉬운 방법이다”라고 밝혔습니다. 이 툴은 이블 트윈 공격(사악한 쌍둥이 공격 - Evil Twin attack) 시나리오를..

    국내외 보안동향 2015. 1. 7. 13:4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