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커널 취약점

    • 리눅스 커널에서 아직 패치 되지 않은 DoS 취약점 두 개 발견

      2018.11.27 by 알약(Alyac)

    • 인텔 버그 수정 후 성능 저하에 관한 벤치마크 리포트

      2018.01.04 by 알약(Alyac)

    • Linux PIE/stack 스택손상 취약점(CVE–2017–1000253)경고

      2017.09.28 by 알약(Alyac)

    • Linux 커널 n_hdlc 모듈 권한상승 취약점(CVE-2017-2636) 발견!

      2017.03.09 by 알약(Alyac)

    리눅스 커널에서 아직 패치 되지 않은 DoS 취약점 두 개 발견

    Linux Kernel is affected by two DoS vulnerabilities still unpatched 리눅스 커널에서 서비스 거부 취약점(DoS) 두 개가 발견 되었습니다. 이 이슈는 리눅스 커널 4.19.2 및 이전 버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두 이슈 모두 심각도 ‘보통’으로 분류 되었으며, 로컬 공격자가 서비스 거부 상태를 유발시키기 위해 악용할 수 있는 NULL 포인터 역참조(dereference) 이슈입니다. 첫 번째 취약점은 CVE-2018-19406로 등록 되었으며, arch/x86/kvm/lapic.c에 구현 된 리눅스 커널 함수인 kvm_pv_send_ipi에 존재합니다. “리눅스 커널 4.19.2및 이하 버전의 arch/x86/kvm/lapic.c에 존재하는 kvm_..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1. 27. 17:11

    인텔 버그 수정 후 성능 저하에 관한 벤치마크 리포트

    최근 Linux, Windows, Mac OS에 영향을 미치는 인텔의 아직 공개되지 않은 취약점에 대하여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커널 메모리 정보를 사용자 공간에 유출 시키는 취약점으로, 인텔 몇세대에 걸쳐 영향을 끼칩니다. 인텔의 엠바고로 인해 아직 더 많은 정보는 나오지 않은 상황이지만,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업체 등에서는 이미 관련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조치를 취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해당 버그에 관한 문의가 많아서 커널 패치로 인한 성능 저하에 대한 몇 가지 벤치마크(비교평가, 컴퓨터의 부품 등의 성능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여 점수를 낸 결과)를 수행하였습니다. 버그 수정으로 인한 성능 저하는 OS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5~3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까지 몇..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 4. 09:57

    Linux PIE/stack 스택손상 취약점(CVE–2017–1000253)경고

    개요 2015년 4월 14일, Michael Davidson이 PIE(Position Independent Executable) 메커니즘이 일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의 데이터 세그먼트가 할당된 메모리 영역을 초과하도록 허용하여 권한상승을 허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Linux Source Tree에 패치 a87938b2e246b81b4fb713edb371a9fa3c5c3c86를 제공했습니다. 같은해 5월, Linux 3.10.77버전에서 해당 취약점이 패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문제점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많은 리눅스 배포버전에서 해당 취약점에 대한 패치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2017년 9월 26일, OSS-SEC은 해당 취약점과 관련된 정보를 공개하였고, 해당 취약점을..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8. 16:43

    Linux 커널 n_hdlc 모듈 권한상승 취약점(CVE-2017-2636) 발견!

    Linux 커널 n_hdlc 모듈 권한상승 취약점(CVE-2017-2636) 발견! 최근 리눅스 커널 드라이버인 n_hdlc 모듈 (drivers/tty/n_hdlc.c)에서 레이스컨디션으로 인한 로컬 권한상승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버그는 2009년 6월 22일 처음 공개되었습니다. https://git.kernel.org/cgit/linux/kernel/git/torvalds/linux.git/commit/?id=be10eb7589337e5defbe214dae038a53dd21add8 취약점 개요 N_HDLC 회선 규칙은 자체제작된 단일 링크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버퍼영역의 데이터를 획득합니다. 오류발생 시, n_hdlc.tbuf는 버퍼데이터를 재 전송할 포인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버퍼로의 ..

    국내외 보안동향 2017. 3. 9. 14:1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