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트위터

    • 트위터, 사용자 계정의 보안을 위해 수집한 전화번호를 광고에 활용해

      2019.10.10 by 알약(Alyac)

    • 트위터, 비밀번호가 플레인 텍스트 형태로 노출된 후 3.3억 사용자들에게 비밀번호 변경 촉구해

      2018.05.04 by 알약(Alyac)

    • 트위터 계정으로 제어되는 안드로이드 봇넷 발견

      2016.08.26 by 알약(Alyac)

    • 트위터가 온라인 시큐리티를 향상시킨 10가지 시도

      2016.04.19 by 알약(Alyac)

    트위터, 사용자 계정의 보안을 위해 수집한 전화번호를 광고에 활용해

    You Gave Your Phone Number to Twitter for Security and Twitter Used it for Ads 트위터는 사용자 일부가 이중 인증(2FA)을 위해 트위터에 제공한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타깃 광고에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는 의도적이 아니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트위터는 블로그를 통해 ‘맞춤형 오디언스 및 파트너 대상 광고 시스템’에서 오류가 발생해 사용자가 보안상의 이유로 제공한 정보를 광고주의 마케팅 리스트를 기반으로 한 타깃 광고에 실수로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트워터는 "광고주가 마케팅 리스트를 업로드할 때, 이 리스트의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트위터 사용자들이 보안 목적으로 제공한 정보와 매칭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오류였으며, 이에 대해 사과드..

    국내외 보안동향 2019. 10. 10. 10:46

    트위터, 비밀번호가 플레인 텍스트 형태로 노출된 후 3.3억 사용자들에게 비밀번호 변경 촉구해

    Twitter urges its 330 million users to change passwords after bug exposed them in plain text 트위터가 내부 시스템에서 비밀번호가 순수 텍스트 형태로 노출되어 3.3억명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비밀번호를 변경할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트위터는 영향을 받은 계정의 정확한 수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그 양이 ‘상당하다’고만 답했습니다. 나쁜 소식은, 이 비밀번호가 “수 개월 동안”이나 노출 되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트위터는 “우리는 최근 내부 로그에 비밀번호를 암호화 하지 않은 채 저장하는 버그를 발견했습니다. 우리는 버그를 수정했으며, 조사 결과 이를 악용한 증거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또한 이 비밀번호를 사용했던 다른 사이트의 모..

    국내외 보안동향 2018. 5. 4. 13:42

    트위터 계정으로 제어되는 안드로이드 봇넷 발견

    트위터 계정으로 제어되는 안드로이드 봇넷 발견Botnet of Android Devices Controlled via Twitter Accounts ESET 연구원들이 감염된 안드로이드 기기에 트위터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를 제어하는 최초 봇넷을 발견했습니다. 해당 봇넷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Twitoor 악성코드에 감염시킵니다. Twitoor 악성코드는 스팸 메시지나 비공식 앱스토어의 앱을 통해 배포되는 백도어 트로이목마입니다. ESET은 해당 트로이목마가 MMS 뷰어와 성인 컨텐츠 플레이어로 위장한 앱 내에 숨어있다고 밝혔습니다. 위장 앱은 아무런 기능도 제공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이를 설치하면 곧바로 그들의 존재를 숨깁니다. 이후 Twitoor 트로이목마는 새로운 명령을 받는 ..

    국내외 보안동향 2016. 8. 26. 13:56

    트위터가 온라인 시큐리티를 향상시킨 10가지 시도

    트위터가 온라인 시큐리티를 향상시킨 10가지 시도Ten ways Twitter improved online security 10여년전, 트위터가 세상에 존재하지 않을때는 생일축하트윗, 오스카시상식 셀카트윗, 실시간 대통령 담화트윗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공적인물에 대한 계정해킹이나 폭력적이고 독설적인 온라인 사용자 역시 존재하지 않았었습니다. 트위터는 3억3천2백만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을 바꿨습니다. 그러나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의 개념을 희석시켜 심각한 개인정보보호 논쟁에 불을 지피기도 했습니다. 트위터는 사이버상에서의 괴롭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고 계정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몇가지 조치를 시행함으로써 과도한 정보유출/정보공유와 사이버 보안 사이에서의 균형을 잡기 위해 노력하고..

    국내외 보안동향 2016. 4. 19. 14:4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