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VE-2018-20250

    • 라자루스(Lazarus) 그룹, 이스라엘 군수업체 대상 APT 역습

      2019.03.27 by 알약(Alyac)

    • 패치된 WinRAR 버그, 아직도 실제 공격에 활발히 악용돼

      2019.03.18 by 알약(Alyac)

    • CVE-2018-20250 취약점 악용, 2차 북미정상회담 내용의 APT 공격, '오퍼레이션 히든 파이썬' 등장

      2019.02.27 by 알약(Alyac)

    라자루스(Lazarus) 그룹, 이스라엘 군수업체 대상 APT 역습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 입니다. 2019년 03월 26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의 하레츠 매체에 따르면, 북한 연계 해커조직 라자루스(Lazarus)가 이스라엘의 특정 회사에 대한 사이버 공격 정황이 포착되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림 1] 이스라엘 보도 내용 (출처: North Korean Hackers Cited in Rare Attack in Israel) ■ 이스라엘 군수업체를 공격한 라자루스(Lazarus) 정부후원 연계 해킹 조직 ESRC에서는 이와 관련된 OSINT 기반 정보를 활용해 어떤 공격이 수행되었는지 조사하였습니다. 먼저 해당 위협은 스피어 피싱(Spear Phishing) 공격을 통해 내부 침투를 시도했습니다. 공격 대상은 이스라엘 국가가 전액 출자한 국방산..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3. 27. 10:13

    패치된 WinRAR 버그, 아직도 실제 공격에 활발히 악용돼

    Patched WinRAR Bug Still Under Active Attack—Thanks to No Auto-Updates 다양한 사이버 범죄 그룹들과 해커들이 아직까지 최근 패치된 WinRAR의 치명적인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WinRAR 소프트웨어는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없기 때문에, WinRAR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패치하지 않은 사용자 수백만 명은 여전히 사이버 공격에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말 WinRAR 5.70 beta 1에서 패치된 이 치명적인 취약점(CVE-2018-20250)은 지난 19년 동안 공개된 WinRAR의 모든 5.70 beta 1 이전 버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취약점은 오래된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인 UNACEV2.DLL에 존..

    국내외 보안동향 2019. 3. 18. 10:25

    CVE-2018-20250 취약점 악용, 2차 북미정상회담 내용의 APT 공격, '오퍼레이션 히든 파이썬' 등장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 전문조직인 시큐리티대응센터 (이하 ESRC)입니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ACE 압축포맷 취약점(CVE-2018-20250)을 활용한 APT 공격 의심정황이 포착되었습니다. ■ ACE 압축포맷 취약점(CVE-2018-20250) 배경 CVE-2018-20250 취약점은 ACE 압축해제 동적 라이브러리 'unacev2.dll' 파일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악성파일을 윈도우즈 운영체제 시작프로그램(Startup) 경로에 생성해 재부팅시 자동실행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 C:\Users\[계정명]\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2. 27. 14: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