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D-link

    • D-Link VPN 라우터에서 치명적인 원격 해킹 취약점 발견

      2020.12.09 by 알약4

    • D-Link, 라우터 모델 일부에서 발견된 취약점 5개 패치

      2020.07.27 by 알약(Alyac)

    • D-Link 홈 라우터에서 패치되지 않은 심각한 보안 취약점 발견

      2020.06.15 by 알약(Alyac)

    • Linksys, 지난달 해커가 홈 라우터를 하이재킹한 후 사용자에 패스워드 재설정 요청

      2020.04.17 by 알약(Alyac)

    • D-Link와 Linksys 라우터, 사용자를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악성 코드 설치 페이지로 이동시켜

      2020.03.31 by 알약(Alyac)

    • D-Link와 Comba WiFi 라우터 일부, 비밀번호 평문 상태로 유출해

      2019.09.11 by 알약(Alyac)

    • NAS 장비를 노리는 신종 Cr1ptT0r 랜섬웨어 주의

      2019.02.25 by 알약(Alyac)

    • D-Link 라우터에서 임의파일다운로드 취약점(CVE-2018-10822) 발견!

      2018.10.24 by 알약(Alyac)

    D-Link VPN 라우터에서 치명적인 원격 해킹 취약점 발견

    WARNING — Critical Remote Hacking Flaws Affect D-Link VPN Routers D-Link VPN 라우터 모델 중 일부에서 위험도 높은 보안 취약점 3개가 발견되어 가정 및 비즈니스용 네트워크 수백만 개가 사이버 공격에 노출되었습니다. 네트워크가 강력한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Digital Defense의 연구원들이 발견한 이 세 가지 보안 취약점은 지난 8월 11일 D-Link 측에 제보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이 악용될 경우 공격자가 특수 제작된 요청을 통해 취약한 네트워킹 기기에서 원격으로 임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거부(DoS) 공격을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펌웨어 버전 3.14 및 3.17을 실행하는 D-Link DSR-..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2. 9. 14:00

    D-Link, 라우터 모델 일부에서 발견된 취약점 5개 패치

    D-Link addressed 5 flaws on some router models, some of them reached EoL D-Link가 심각한 네트워크 해킹으로 이어질 수 있는 라우터 모델 일부에 존재하는 심각한 취약점 5개를 공개했습니다. 안타깝게도 취약한 모델 중 일부는 현재 판매 및 지원이 중단되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받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 취약점에는 Reflected XSS, 버퍼 오버플로우, 인증 이슈 우회, 임의 코드 실행 취약점 등이 포함됩니다. 이 취약점은 Loginsoft의 ACE 팀에서 발견하여 제보하였으며, 아래는 보안 권고에 포함된 취약점의 전체 목록입니다. • CVE-2020-15892:: 링크:: DAP 1520:: `ssi` 바이너리 내 버퍼 오버..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7. 14:00

    D-Link 홈 라우터에서 패치되지 않은 심각한 보안 취약점 발견

    D-Link leaves severe security bugs in home router unpatched D-Link가 소비자용 DIR-865L 무선 라우터 모델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 6개 중 3개를 수정하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패치한 취약점 중 하나는 치명적, 하나는 위험도 높음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공격자는 이 취약점을 악용하여 임의 명령어 실행, 민감 정보 탈취, 악성코드 업로드, 데이터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D-Link의 DIR-865L 모델은 2012년 공개되었으며 미국 고객들에게는 더 이상 지원이 제공되지 않지만, 유럽 국가에서는 판매 종료(End of Sale) 상태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End of Sale(EoS)는 제품은 더 이상 판매되지 않지만 공급자가 여전히 지원을..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5. 14:30

    Linksys, 지난달 해커가 홈 라우터를 하이재킹한 후 사용자에 패스워드 재설정 요청

    Linksys asks users to reset passwords after hackers hijacked home routers last month 라우터 제조사인 Linksys가 Smart WiFi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사용자 계정을 잠근 후 패스워드 재설정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해커들이 사용자를 악성 사이트로 이동시키기 위해 계정을 하이잭 하고 라우터 세팅을 변경한 것이 드러난 후였습니다. 이러한 Linksys의 정책은 Smart WiFi 계정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Linksys Smart WiFi는 사용자가 라우터 설정을 관리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통해 Linksys 라우터 및 기타 기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 계정 시스템입니다. Smart WiFi는 Linksys의 라우터 제품군에..

    국내외 보안동향 2020. 4. 17. 09:40

    D-Link와 Linksys 라우터, 사용자를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악성 코드 설치 페이지로 이동시켜

    D-Link and Linksys routers hacked to point users to coronavirus-themed malware 해커들이 사용자들을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사이트로 이동시키기 위해 거의 한 주 동안 라우터에 침투하여 DNS 설정을 바꿔온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BitDefender와 기술 지원 포럼 BleepingComputer는 이 공격이 현재 D-Link와 Linksys 라우터를 노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비트디펜더에 따르면 해커는 타깃 라우터의 관리자 패스워드를 알아내기 위해 브루트포싱 공격을 실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이 패스워드를 알아내어 입장 하면, 해커는 라우터의 디폴트 DNS 서버 설정을 변경하여 그들의 서버를 향하도록 지정합니다. 즉..

    국내외 보안동향 2020. 3. 31. 14:08

    D-Link와 Comba WiFi 라우터 일부, 비밀번호 평문 상태로 유출해

    Some D-Link and Comba WiFi Routers Leak Their Passwords in Plaintext SpiderLabs 연구원들이 D-link, Comba Telecom 제조사의 라우터 모델 일부에서 크리덴셜을 안전하게 보관하지 않아 해당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원은 보통 홈 네트워크와 ISP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는 D-Link DSL 모뎀과 Comba Telecom WiFi 기기에서 취약점이 발견되었다고 전했습니다. 공격자는 이 취약점을 통해 기기 설정 변경, 민감 정보 추출, 중간자 공격 실행, 피싱 또는 악성 사이트로 사용자 이동 등 다양한 공격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D-Link WiFi 라우터 취약점 첫 ..

    국내외 보안동향 2019. 9. 11. 11:20

    NAS 장비를 노리는 신종 Cr1ptT0r 랜섬웨어 주의

    Cr1ptT0r Ransomware Infects D-Link NAS Devices, Targets Embedded Systems 임베디드 시스템용으로 제작된 새로운 랜섬웨어인 Cr1ptT0r가 인터넷에 노출된 NAS 장비를 노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r1ptT0r는 한 사용자가 D-Link DNS-320 장비가 랜섬웨어에 감염된 것을 Bleeping Computer 측에 제보하여 알려졌습니다. D-Link는 DNS-320 제품을 더 이상 판매하지 않지만, 제품 페이지에는 아직까지 지원 되는 것으로 표시되었습니다. 하지만 최신 펌웨어는 2016년에 출시되었으며, 이 장비를 해킹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알려진 버그들이 존재하는 상태입니다. 아직까지 자세한 정보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 랜섬웨어의 공..

    국내외 보안동향 2019. 2. 25. 08:49

    D-Link 라우터에서 임의파일다운로드 취약점(CVE-2018-10822) 발견!

    10월 중순, D-Link 라우터에서 임의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한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공격자가 권한이 없는 상황에서 /uir 페이지에서 원격으로 임의의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이렇게 다운로드가 가능한 파일들 중에는 민감한 파일(/etc/passwd등)및 비밀번호를 평문으로 저장한 파일(/tmp/XXX/0)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격자들은 이렇게 획득한 파일들을 이용하여 IoT 기기들을 채굴에 악용하거나 봇넷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취약점은 CVE-2017-6190 취약점 패치 과정에서 발생한 취약점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당시 취약점이 공개된 제품에 대해서만 패치를 진행하였고 공개되지 않은 제품에 대해서는 어떠한 조사도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이로 인하여 해당 취약..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0. 24. 14:2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