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DNS

    • 국가 수준의 스파잉을 허용하는 새로운 DNS 취약점 발견

      2021.08.06 by 알약4

    • 윈도우 DNS 서버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RCE 취약점 발견

      2020.07.15 by 알약(Alyac)

    • 훔친 신용 카드 데이터를 밀수하기 위해 DNS를 사용하는 윈도우 POS 악성코드 발견

      2020.07.02 by 알약(Alyac)

    • Microsoft, NXNSAttack 공격에 대한 조치 방안 공개

      2020.05.21 by 알약(Alyac)

    •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이미지를 통해 계정 탈취 가능한 취약점 수정

      2020.04.28 by 알약(Alyac)

    • Linksys, 지난달 해커가 홈 라우터를 하이재킹한 후 사용자에 패스워드 재설정 요청

      2020.04.17 by 알약(Alyac)

    • 알약 '호스트 파일 보호' 기능으로 파밍 위협에서 내 PC를 보호하세요!

      2019.07.23 by 알약(Alyac)

    • 새로운 Godlua 악성코드, DNS-over-HTTPS 통해 트래픽 모니터링 회피

      2019.07.05 by 알약(Alyac)

    국가 수준의 스파잉을 허용하는 새로운 DNS 취약점 발견

    New DNS vulnerability allows 'nation-state level spying' on companies 보안 연구원들이 주요 서비스형 DNS 제공 업체에 영향을 미치는 DNS 취약점의 새로운 클래스를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기업 네트워크로부터 민감 정보를 훔치도록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비스형 DNS 제공 업체(관리형 DNS 제공 업체)는 다른 네트워크 자산을 자체적으로 관리 및 보호하지 않는 다른 조직에게 DNS 임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클라우드 보안 회사인 Wiz의 연구원들이 Black Hat 보안 컨퍼런스에서 밝힌 바로는, 이러한 DNS 취약점 악용할 경우 공격자가 간단한 도메인 등록 만으로도 국가 수준의 정보 수집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명..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6. 09:01

    윈도우 DNS 서버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RCE 취약점 발견

    17-Year-Old Critical 'Wormable' RCE Vulnerability Impacts Windows DNS Server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금일 치명적인 “웜”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윈도우 서버 2003 ~ 2019에 영향을 미치며 CVSS 심각도 점수 10점 만점에 10점을 기록했습니다. Check Point의 연구원들은 이 17년 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0-1350)을 'SigRed'라 명명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인증되지 않은 원격 공격자가 타깃 서버의 도메인 관리자 권한을 얻어 조직의 IT 인프라 전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공격자가 특수 제작한 악성 DNS 쿼리를 윈도우 DNS 서버에 전송해 SigRed 취약점을 악용하고 임의 코드를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15. 10:18

    훔친 신용 카드 데이터를 밀수하기 위해 DNS를 사용하는 윈도우 POS 악성코드 발견

    Windows POS malware uses DNS to smuggle stolen credit cards 공격자의 원격 서버로 훔친 신용 카드 정보를 몰래 전송하기 위해 DN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윈도우 POS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습니다. POS 악성코드는 POS 시스템에 설치되어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거래를 모니터링합니다. 원격 터미널이나 로컬 기기에서 지불이 이루어지면, 악성코드는 컴퓨터의 메모리에서 신용 카드 정보를 긁어모아 공격자가 운영하는 원격 C&C 서버로 전송합니다. 그런 다음, 공격자는 신용카드 정보를 통해 사기성 결제, 신용카드 복제와 같은 공격을 실행하거나 데이터를 다크 웹 시장에 판매합니다. Alina POS 악성코드, 탐지를 피하기 위해 DNS 사용해 POS 시스템을 보호할..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 10:03

    Microsoft, NXNSAttack 공격에 대한 조치 방안 공개

    Microsoft issues mitigation for the NXNSAttack DNS DDoS attack 마이크로소프트가 DNS 서버에 존재하는 NXNSAttack 취약점으로 인한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보안 권고를 발행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해커가 악용할 경우 단일 DNS 요청을 증폭하여 DNS 서버에 DDoS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에 위치한 텔아비브 대학교 및 Interdisciplinary 센터 연구원들은 논문을 통해 NXNSAttack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취약점을 밝혀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재귀 리졸버 및 권한 서버를 대상으로 치명적인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공격자가 공격자 제어 서버 도메인의 재귀 서버에 DNS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NXNSAttack 취약점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21. 15:37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이미지를 통해 계정 탈취 가능한 취약점 수정

    Microsoft Teams patched against image-based account takeover 보안 연구원들이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를 통해 사용자에게 일반 GIF 이미지를 보내 계정을 탈취할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팀즈 데스크톱 및 웹 버전에서 한 번에 여러 계정에 접근하고 대화와 스레드를 탈취할 수 있었습니다. 공격의 주요 조건은 teams.microsoft[.]com 아래 하위 도메인을 제어하는 것이며, 연구원들은 두 가지 선택권이 있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해당 취약점에 대한 제보를 받아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완화 조치를 취했습니다. 쿠키 인증 CyberArk의 보안 연구원들은 블로그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에서 이미지..

    국내외 보안동향 2020. 4. 28. 14:30

    Linksys, 지난달 해커가 홈 라우터를 하이재킹한 후 사용자에 패스워드 재설정 요청

    Linksys asks users to reset passwords after hackers hijacked home routers last month 라우터 제조사인 Linksys가 Smart WiFi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사용자 계정을 잠근 후 패스워드 재설정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해커들이 사용자를 악성 사이트로 이동시키기 위해 계정을 하이잭 하고 라우터 세팅을 변경한 것이 드러난 후였습니다. 이러한 Linksys의 정책은 Smart WiFi 계정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Linksys Smart WiFi는 사용자가 라우터 설정을 관리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통해 Linksys 라우터 및 기타 기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 계정 시스템입니다. Smart WiFi는 Linksys의 라우터 제품군에..

    국내외 보안동향 2020. 4. 17. 09:40

    알약 '호스트 파일 보호' 기능으로 파밍 위협에서 내 PC를 보호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최근에는 사이버 위협이 특정 대상을 타겟으로 더욱 정교하게 공격하는 양상을 띄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 여러분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국민백신 알약에서 제공하는 여러 보안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소중한 PC를 안전하게 지키시길 바랍니다. 그래서! 오늘은 알약의 다양한 기능 중 호스트 파일 보호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지난 2014년은 파밍 기법의 전자금융사기가 특히 더 기승을 부렸던 해였습니다.파밍이란, 피싱처럼 사용자를 조작된 가짜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유도하는 해킹 수법입니다. 피싱은 진짜와 유사한 가짜 도메인을 개설한 뒤 광고 등을 통해 접속을 유도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였다고 믿도록 속이는 수법이지만,..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19. 7. 23. 10:21

    새로운 Godlua 악성코드, DNS-over-HTTPS 통해 트래픽 모니터링 회피

    New Godlua Malware Evades Traffic Monitoring via DNS over HTTPS Qihoo 360의 연구원들이 리눅스, 윈도우 사용자를 노리며 DoH(DNS-over-HTTPS)를 통해 통신 채널을 암호화하는 Lua 기반 백도어 악성코드를 발견했습니다. Godlua로 명명된 이 악성코드는 DoH를 사용하여 C&C 서버, 감염된 기기, 공격자가 제어하는 서버 사이의 통신 채널을 HTTPS 요청 내 캡슐화함으로써 연구원들이 트래픽을 분석하는 것을 막습니다. Godlua의 메인 기능은 DDoS 봇으로 보이며, 운영자는 이미 이를 이용하여 liuxiaobei[.]com에 대해 HTTP 플러드 공격을 실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Godlua 백도어의 샘플은 2개입..

    국내외 보안동향 2019. 7. 5. 10:5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