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PETYA

    • 거대 해운 회사인 COSCO 랜섬웨어 감염, COSCO 미국 네트워크 무력화 돼

      2018.07.30 by 알약(Alyac)

    •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유포된 Bad Rabbit 랜섬웨어 주의

      2017.10.25 by 알약(Alyac)

    • CCleaner, 악성코드 배포하도록 해킹 돼; 사용자들 230만 이상 감염 돼

      2017.09.19 by 알약(Alyac)

    • WannaCry에 영감을 받은 뱅킹 악성코드, 자체 확산 기술 추가해

      2017.08.03 by 알약(Alyac)

    • 무늬만 랜섬웨어? 랜섬웨어 감염된 것처럼 속이는 ‘이미테이션’ 악성 파일 발견돼!

      2017.07.12 by 알약(Alyac)

    • 오리지널 Petya 랜섬웨어용 개인 복호화 키 공개 돼

      2017.07.10 by 알약(Alyac)

    • 새로운 Petya는 랜섬웨어가 아니라 파괴적인 와이퍼(Wiper) 악성코드로 밝혀져

      2017.06.29 by 알약(Alyac)

    • Petya 랜섬웨어, WannaCry 처럼 급격히 전 세계로 확산 돼

      2017.06.28 by 알약(Alyac)

    거대 해운 회사인 COSCO 랜섬웨어 감염, COSCO 미국 네트워크 무력화 돼

    Ransomware Infection Cripples Shipping Giant COSCO's American Network 랜섬웨어 감염으로 인해 세계 최대의 해운 회사 중 하나인 COSCO(China Ocean Shipping Company)의 미국 네트워크가 손상을 입었습니다. “미국 지역의 로컬 네트워크 고장으로 인해, 현재 로컬 이메일 및 네트워크 전화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안전을 위한 추가 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다른 지역과의 연결을 차단 하였습니다.” 회사가 이 사건을 “네트워크 고장”이라고 설명했지만, 내부 이메일에 따르면 이 회사는 랜섬웨어에 감염 된 것으로 보입니다. COSCO, 직원들에게 의심스러운 이메일 열지 말라고 경고 해 COSCO는 다른 지역의 직원들에게 “의심스러..

    국내외 보안동향 2018. 7. 30. 14:00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유포된 Bad Rabbit 랜섬웨어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Adobe Flash Player파일로 위장한 'Bad Rabbit'이라 불리는 랜섬웨어가 유포되었습니다.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같은 동유럽의 일부 국가에서 감염이 확인된 상태이며 추가적으로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hxxp://1dnscontrol.com/index.phphxxp://1dnscontrol.com/flash_install.php[표 1] 유포지로 알려진 사이트 'Bad Rabbit’ 랜섬웨어는 파일과 디스크를 암호화하여 감염된 사용자에게 비트코인 결제를 요구합니다. 다음은 Bad Rabbit의 전체 흐름도입니다. [그림 1] Bad Rabbit의 전체 흐름도 Dropper -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7. 10. 25. 11:03

    CCleaner, 악성코드 배포하도록 해킹 돼; 사용자들 230만 이상 감염 돼

    Warning: CCleaner Hacked to Distribute Malware; Over 2.3 Million Users Infected 만약 8/15 ~ 9/12 사이에 CCleaner 어플리케이션을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했거나 업데이트 했다면, 당신의 컴퓨터는 해킹 되었을 수 있습니다. CCleaner는 Piriform이 만들고 최근 Avast가 인수한, 20억회 이상이나 다운로드 된 인기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시스템을 정리해 성능을 최적화 하고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원들은 사용자들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Avast가 사용하던 다운로드 서버가 해킹 당했으며, 공격자들이 소프트웨어의 오리지널 버전을 악성 버전으로 바꿔치기 해 1달 사이..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19. 14:22

    WannaCry에 영감을 받은 뱅킹 악성코드, 자체 확산 기술 추가해

    WannaCry Inspires Banking Trojan to Add Self-Spreading Ability 보안연구원들은 최근 랜섬웨어를 전 세계로 효과적으로 유포하기 위하여, 뱅킹 트로이목마에 웜과 유사한 기능 추가를 시도중인 사이버 범죄자 그룹을 발견하였습니다. “1000029” (v24)로 알려진 크리덴셜을 훔치는 TrickBot 뱅킹 악성코드의 새로운 변종이, WannaCry와 Petya 랜섬웨어가 악용한 Windows Server Message Block(SMB)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rickBot은 작년부터 전 세계의 금융 기관들을 노린 뱅킹 악성코드입니다. (▶자세히 보기) 이 트로이목마는 보통 이름 없는 “국제 금융 기관”의 인보이스로 위장한 이메일 첨부파일을 통해 확산됩..

    국내외 보안동향 2017. 8. 3. 15:03

    무늬만 랜섬웨어? 랜섬웨어 감염된 것처럼 속이는 ‘이미테이션’ 악성 파일 발견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랜섬웨어에 감염된 것처럼 사용자를 속이는 ‘이미테이션(모방)’ 유형의 악성파일이 발견되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페트야 랜섬웨어 ‘이미테이션 악성파일’ 실행 시 보여지는 안내 화면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에 따르면, 새롭게 발견된 악성파일은 랜섬웨어에 감염된 것으로 착각할 수 있도록 정교하게 모방된 화면을 보여주지만, 실제로는 사용자 PC에 저장된 파일을 암호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페트야(Petya) 랜섬웨어 감염 화면과 동일하게 모방되어 있어, 대부분의 사용자가 이 랜섬웨어에 감염된 것으로 착각할 가능성이 큽니다. ▲ 파일 시스템을 수정 중인 것으로 위장된 화면 이번 악성파일이 실행되면 실제..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17. 7. 12. 18:37

    오리지널 Petya 랜섬웨어용 개인 복호화 키 공개 돼

    Private Decryption Key For Original Petya Ransomware Released 오리지널 버전의 Petya 랜섬웨어의 제작자가 마스터키를 공개함에 따라, Petya에 감염 된 피해자들은 돈을 지불하지 않고도 암호화 된 파일을 복호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Petya는 지난달 전 세계에 큰 피해를 입힌 파괴적인 NotPetya 랜섬웨어 최신 변종과는 다릅니다. Petya 랜섬웨어는 총 3개의 변종들이 전 세계를 감염시켰으며, 이들 중 원본 랜섬웨어 원작자인 Janus가 지난 수요일 마스터키를 공개했습니다. 이에, Red Petya(첫 번째 버전)와 Green Petya(두 번째 버전), GoldenEye 랜섬웨어를 포함한 Petya 랜섬웨어의 이전 변종들에 감염 된..

    국내외 보안동향 2017. 7. 10. 16:38

    새로운 Petya는 랜섬웨어가 아니라 파괴적인 와이퍼(Wiper) 악성코드로 밝혀져

    Turns Out New Petya is Not a Ransomware, It’s a Destructive Wiper Malware 보안 전문가 Matt Suiche가 Petya로 알려진 악성코드를 분석한 결과, 랜섬웨어가 아닌 "와이퍼 악성코드"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Petya가 요구하는 $300의 랜섬머니는 컴퓨터를 복원해주는 의도가 전혀 아닌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Petya, 랜섬웨어의 실수인가? 아니면 과도하게 똑똑한 탓인가? Petya는 일반적인 랜섬웨어들과는 달리, 대상 시스템의 파일을 하나씩 암호화하지 않습니다. 대신, Petya는 피해자의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하드 드라이브의 마스터 파일 테이블(MFT)을 암호화 하고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들어서 파..

    국내외 보안동향 2017. 6. 29. 10:25

    Petya 랜섬웨어, WannaCry 처럼 급격히 전 세계로 확산 돼

    최초 감염 원인 우크라이나의 소프트웨어 벤더인 M.E.Doc가 27일 아침 “당사의 서버가 바이러스 공격을 받고 있다”는 공지를 발행했습니다. 하지만 몇 시간 후, Petya 랜섬웨어가 우크라이나 전체를 넘어 다른 국가에까지 퍼지기 시작하자 M.E.Doc은 페이스북에서 그들의 서버는 어떠한 악성코드도 퍼뜨리지 않았다고 부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CVE-2017-0199취약점이 포함된 doc 파일이 첨부된 이메일로도 유포 되고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아직 입증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이 주장이 잠재적으로 사실일 가능성이 있지만, 우크라이나의 수 많은 공공 기관들을 감염시킨 원인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 Petya랜섬웨어 대응방법 자세히 보러가기 Petya 랜섬웨어의 특징 Petya는 예전에 Petya라 불..

    국내외 보안동향 2017. 6. 28. 15:1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