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SD-WAN

    • 임의 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Cisco SD-WAN 내 취약점 발견

      2021.10.25 by 알약4

    • Cisco, WebEX, SD-WAN, ASR 5000 소프트웨어 내 심각도 높은 취약점 패치

      2021.06.04 by 알약4

    • Cisco, 루트 권한으로 원격 코드 실행 허용했던 취약점 수정

      2021.04.08 by 알약4

    • VMware, 기업 네트워크 해킹에 악용 가능한 SD-WAN 취약점 수정

      2020.11.24 by 알약4

    • 시스코, SD-WAN 제품의 문제 다수 패치

      2020.03.20 by 알약(Alyac)

    임의 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Cisco SD-WAN 내 취약점 발견

    Cisco SD-WAN flaw could lead to arbitrary code execution, patch it now! Cisco가 SD-WAN에서 권한 상승을 허용하고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OS 명령 주입 취약점을 패치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CVE-2021-1529로 등록되었으며 심각도 높음으로 분류되었습니다. Cisco SD-WAN은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하는 오버레이 WAN 아키텍처로 기업에서 클라우드를 통해 위치가 다른 사무실 위치을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인증된 로컬 공격자는 CVE-2021-1529 취약점을 악용해 루트 권한으로 임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CVE-2021-1529는 CVSS 점수 7.8을 받았습니다. “취약점은 시스템 CLI에서 입력을 충분히 검증하지 않았..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0. 25. 14:00

    Cisco, WebEX, SD-WAN, ASR 5000 소프트웨어 내 심각도 높은 취약점 패치

    Cisco fixes High-severity issues in Webex, SD-WAN, ASR 5000 software Cisco가 WebEX 플레이어, SD-WAN 소프트웨어, ASR 5000 시리즈 소프트웨어의 고위험 취약점을 포함한 자사 제품의 취약점 다수를 패치했습니다. Cisco는 Windows 및 macOS용 WebEX 플레이어의 심각도 ‘높음’인 취약점 3개(CVE-2021-1503, CVE-2021-1526, CVE-2021-1502)를 수정했습니다. CVE-2021-1502, CVE-2021-1503은 메모리 충돌 취약점으로 Webex Network Recording Player, Webex Player 41.4 및 이 후 버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Cisco는 CVE-2021-1503..

    국내외 보안동향 2021. 6. 4. 14:00

    Cisco, 루트 권한으로 원격 코드 실행 허용했던 취약점 수정

    Cisco fixes bug allowing remote code execution with root privileges Cisco가 SD-WAN vManage Software의 원격 관리 컴포넌트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 인증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을 수정하기 위한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회사는 동일한 제품의 사용자 관리 기능(CVE-2021-1137), 시스템 파일 전송 기능(CVE-2021-1480)에 존재하는 심각도 높은 취약점 2개 또한 수정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의 권한 상승을 허용했습니다. 이 두 취약점을 성공적으로 악용할 경우, 공격자는 취약한 시스템의 기본 OS에 대한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루트 권한을 통한 코드 실행 CVE-2021-1479으로 등록된 이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4. 8. 14:00

    VMware, 기업 네트워크 해킹에 악용 가능한 SD-WAN 취약점 수정

    VMware fixed SD-WAN flaws that could allow hackers to target enterprise networks VMware가 지난 주 SD-WAN Orchestrator 제품의 취약점 6개를 (CVE-2020-3984, CVE-2020-3985, CVE-2020-4000, CVE-2020-4001, CVE-2020-4002, CVE-2020-4003) 수정했습니다. 일부 취약점은 공격자가 트래픽을 하이잭하거나 기업 네트워크를 중단시키는데 악용될 수 있었습니다. 아래 취약점은 Realmode Labs의 Ariel Tempelhof가 발견해 제보했습니다. 인증되지 않은 원격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연결해 원격으로 코드를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 SD-WAN Orchestra..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24. 14:00

    시스코, SD-WAN 제품의 문제 다수 패치

    Cisco addresses multiple issues in its SD-WAN product 시스코가 SD-WAN 솔루션 내 취약점 5개를 패치했습니다. 이 중 3개는 심각도가 ‘높음’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시스템을 무단으로 변경하고, 루트 권한으로 실행될 임의 명령을 인젝션하고, 권한을 루트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됩니다. 이 결점은 모두 입력 검증이 충분히 되지 않아 발생하며, Orange Group의 전문가가 발견했습니다. 심각도 높은 취약점 3개는 CVE-2020-3265, CVE-2020-3266, CVE-2020-3264로 등록되었으며, 인증된 로컬 공격자가 타깃 시스템에 특별히 제작한 요청이나 입력을 보내는 방식으로 악용이 가능합니다. 이 취약점은 SD-WA..

    국내외 보안동향 2020. 3. 20. 15: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