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TLS

    • 구글 크롬, 개인정보 보호 및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HTTPS를 기본으로 사용할 예정

      2021.03.26 by 알약4

    • NSA, 오래된 TLS 프로토콜 교체 권장해

      2021.01.21 by 알약4

    • TLS 연결을 복호화하는 새로운 Racoon 공격 발견

      2020.09.14 by 알약4

    • Citrix, 제품 다수에서 발견된 취약점 11개를 수정하는 중요 패치 발표

      2020.07.09 by 알약(Alyac)

    • 취약점으로 인해 Let's Encrypt 300만개의 TLS 인증서 폐지

      2020.03.05 by 알약(Alyac)

    • 이메일 서버, Exim TLS 결함으로 원격 'Root' 코드 실행 공격에 노출돼

      2019.09.09 by 알약(Alyac)

    • 카자흐스탄, 시민들의 HTTPS 인터넷 트래픽에 강제로 인터셉트 시작해

      2019.07.22 by 알약(Alyac)

    • 윈도우 서버를 다운시킬 수 있는 Bad Cert 취약점 발견

      2019.06.13 by 알약(Alyac)

    구글 크롬, 개인정보 보호 및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HTTPS를 기본으로 사용할 예정

    Chrome to defaults to HTTPS, as Google looks to improve privacy and loading speeds 구글 크롬이 4월 13일 공개되는 브라우저 버전 90 이후부터 주소창에 입력되는 모든 URL에 대해 HTTPS(Hypertext Transport Protocol Secure)를 사용하기 시작할 예정입니다. 구글은 블로그를 통해 크롬이 항상 보안 연결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HTTPS는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트래픽을 암호화하여 공격자가 웹사이트에 입력된 민감 정보를 가로채거나 수정할 수 없도록 사용자를 보호합니다. 구글은 이를 통해 HTTPS를 지원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로딩 속도를 향상할 것..

    국내외 보안동향 2021. 3. 26. 14:00

    NSA, 오래된 TLS 프로토콜 교체 권장해

    NSA urges system administrators to replace obsolete TLS protocols 미 NSA가 보안 권고[PDF]를 발행해 연방 기관을 포함한 기관의 시스템 관리자들에게 오래된 TLS 프로토콜의 사용을 멈출 것을 권장했습니다. “NSA는 TLS 1.2 또는 TLS 1.3만 사용하고 SSL 2.0, SSL 3.0, TLS 1.0, TLS 1.1은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 “오래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민감한 데이터가 보호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보호되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잘못된 보안 감각을 가지게 될 수 있습니다.” NSA는 TLS 1.2와 TLS 1.3이 배포되었을 경우라도 이 두 프로토콜을 취약한 암호화 파라미터와 암호 스위트로 구성해서는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 21. 14:00

    TLS 연결을 복호화하는 새로운 Racoon 공격 발견

    Decrypting TLS connections with new Raccoon Attack 독일 및 이스라엘 대학의 보안 연구원들이 공격자가 TLS로 보호된 통신을 해독할 수 있는 새로운 타이밍 공격인 Racoon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이 타이밍 취약점은 TLS 프로토콜에 존재하며 해커는 이를 악용하여 전송 중인 민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Racoon 공격은 해당 암호화 프로토콜(1.2 및 이하 버전) 내 사이드 채널을 악용하는 서버 측 공격으로 공격자가 통신을 암호화하는데 사용하는 공유 비밀 키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Raccoon은 TLS에 존재하는 타이밍 취약점으로 HTTPS 및 SSL, TLS에 존재하는 기타 서비스에 영향을 미칩니다.” “Raccoon 취약점은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14. 14:00

    Citrix, 제품 다수에서 발견된 취약점 11개를 수정하는 중요 패치 발표

    Citrix Issues Critical Patches for 11 New Flaws Affecting Multiple Products Citrix가 ADC(Citrix Application Delivery Controller), Gateway, SD-WAN WANOP(WAN Optimization edition) 네트워킹 제품의 보안 취약점 11개를 수정하는 보안 패치를 발표했습니다.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이 치명적인 취약점 악용에 성공할 경우 게이트웨이나 인증 가상 서버에 코드 인젝션, 정보 탈취, DoS 공격 등이 가능해집니다. Citrix는 위에 언급한 문제는 로드 밸런싱 및 콘텐츠 스위칭 가상 서버 등 다른 가상 서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영향을 받은 Citrix SD-WA..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9. 09:30

    취약점으로 인해 Let's Encrypt 300만개의 TLS 인증서 폐지

    Let's Encrypt to Revoke 3 Million TLS Certificates Due to Bug 3월 5일, Let's Encrypt의 인증기관(CA) 소프트웨어 버그로 인하여 약 300만개의 TLS 인증서를 취소하였습니다. 현재 Let's Encrypt는 이미 영향받는 고객들에게 이메일로 공지를 발송하였으며, 빠른 시일내에 갱신하기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Encrypt는 인증서를 발행하기 전 소프트웨어가 도메인 소유권을 확인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CAA 버그로 인해 3 백만 개의 인증서를 취소해야한다고 설명했습니다. Savla는이 버그로 인해 악의적인 공격자가 웹 사이트에서 TLS 인증서를 제어 할 수있게되어 해커가 웹 트래픽을 도청하고 민감한 데이터를 수집 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0. 3. 5. 09:19

    이메일 서버, Exim TLS 결함으로 원격 'Root' 코드 실행 공격에 노출돼

    Exim TLS Flaw Opens Email Servers to Remote 'Root' Code Execution Attacks 인기 있는 오픈 소스인 Exim 이메일 서버 소프트웨어에서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최소 50만 대의 이메일 서버가 해커에게 공격당할 위험에 처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Exim 이메일 서버 소프트웨어 4.92.1 및 이전 버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Exim 관리자들은 각 기업의 시스템 관리자들이 해당 취약점에 대비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해 경고한 후 Exim 버전 4.92.2를 공개했습니다. ▶ Exim Internet Mailer - Latest Version: 4.92.2 Exim은 Linux, Mac OSX, Solaris 등 유..

    국내외 보안동향 2019. 9. 9. 10:26

    카자흐스탄, 시민들의 HTTPS 인터넷 트래픽에 강제로 인터셉트 시작해

    Kazakhstan Begins Intercepting HTTPS Internet Traffic Of All Citizens Forcefully 카자흐스탄 정부가 주요 로컬 ISP 측에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정부가 발행한 루트 인증서를 설치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의 루트 인증서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서" 또는 "국가 보안 인증서"라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 루트 인증서가 설치될 경우 ISP가 사용자의 암호화된 HTTPS 및 TLS 연결에 인터셉트하여 모니터링하도록 허용합니다. 이를 통해 정부 스파이는 시민을 스파이하고 콘텐츠를 검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는 정부가 국내 모든 거주자들에게 "중간자 공격(MitM)"을 실행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루트..

    국내외 보안동향 2019. 7. 22. 10:54

    윈도우 서버를 다운시킬 수 있는 Bad Cert 취약점 발견

    Bad Cert Vulnerability Can Bring Down Any Windows Server 구글 보안 전문가가 Windows 8 서버 및 이후 버전의 메인 암호화 라이브러리에서 서비스 거부(DoS)를 유발할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문제는 Windows 8 및 Windows 10 버전 1703에 암호화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주요 라이브러리인 "SymCrypt"에 존재합니다. 조작된 인증서로 버그 유발 가능해 SymCrypt를 악용하는 이 취약점은 구글의 취약점 연구가인 Tavis Ormandy가 발견했습니다. 그는 특정 비트 패턴에서 "bcryptprimitives!SymCryptFdefModInvGeneric"를 사용하여 모듈러 역수를 계산할 때 연산이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3. 16:2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