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Trojan.Android.Agent

    •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2.11.25 by 알약5

    •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1.11.19 by 알약5

    •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1.03.18 by 알약5

    •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0.11.18 by 알약5

    •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0.08.19 by 알약5

    •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방어를 지속적으로 회피하는 Joker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2020.07.10 by 알약(Alyac)

    • 미국의 저가형 폰에서 선설치된 악성코드 발견돼

      2020.07.10 by 알약(Alyac)

    • 미수신 택배 관련 가짜 메시지를 통해 확산되는 안드로이드 데이터 스틸링 악성코드

      2020.07.02 by 알약(Alyac)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스파이웨어는 피해자의 사생활을 면밀하게 감시하며 민감한 정보를 탈취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모바일 기기 사용환경이 실 생활에 매우 밀착되어 있기에 공격자들은 다양한 정보 획득 수단으로 스파이웨어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공격자들은 피해자들의 모바일 기기에 악성 앱을 설치하기 위해 피해자들이 선호하는 앱으로 위장하여 악성 앱을 유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수집한 정보들을 활용하여 금전 탈취 등의 수익활동을 하는 것입니다. 최근 발견된 이 악성 앱은 중동 국가를 대상으로 제작된 악성 앱으로 보이며 피해자의 개인 정보 탈취 등을 위한 스파이행위를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악성 앱은 “TextMe”라는 앱으로 위장하고 있으며 정상 앱은 40개국 정도에서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1. 25. 09:00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한국의 콘텐츠인 ‘오징어게임’이 전 세계적인 흥행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기회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려는 공격자들은 ‘오징어게임’과 연관되어 있는 듯한 악성 앱들을 발빠르게 제작하여 유포하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발견된 이 악성 앱은 ‘오징어게임’ 월 페이퍼 앱으로 위장하여 유포되었습니다. 이 악성 앱을 설치하면 추가적인 라이브러리와 플러그인 패키지를 다운받아 피해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를 구독하게 됩니다. 물론 피해자는 광고 관련 페이지를 볼 수 없도록 제작되었기에 실제 피해를 체감하지는 못합니다. 이런 악성 앱들은 피해자들의 데이터와 스마트폰 자원을 활용하여 수익 실현을 하지만 피해자들은 구체적인 피해 상황이 드러나지 않기..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11. 19. 09:00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해외에서 발견되는 악성 앱 중 피해자의 정보 탈취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악성 앱은 올해 최초 발견되었으며 다양한 악성 행위를 수행합니다. 악성 앱은 안드로이드 OS에서 제공하는 접근성 서비스를 활용하여 피해자를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공격자가 지정한 특정 앱 실행 시 실행을 막은 후 공격자의 웹 페이지로 접속하는 브라우저를 실행합니다. 공격자가 유도한 이런 페이지들은 피해자가 실행하려는 앱과 유사한 형태로 꾸며진 웹 페이지 일 것으로 추정되며 내용은 피해자 계정 등의 민감한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내용 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Trojan.Android.Agent’는 피해자의 민감 정보 탈취를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3. 18. 09:00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해당 악성 앱은 xloader 유형으로 최근 스미싱을 통해서 유포되고 있습니다. 다운로드 단계부터 앱 설치까지 탐지 회피를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다운로드 단계에서는 url 리디렉션을 통해서 난독화 된 자바스크립트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앱 설치 이후 단계에서는 숨겨진 악성코드가 들어 있는 파일을 복호화 후 동적 로딩을 이용합니다. [그림] 클라우드를 활용한 악성 앱 배포 해당 악성 앱은 유포 단계에서부터 탐지 회피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면서 스미싱으로 유포됐습니다. 자바스크립트 난독화와 파일 암호화를 통해서 탐지를 회피하며 기기를 완전히 장악하고 개인 정보와 기기 정보를 탈취합니다. 따라서, 악성 앱으로부터 피..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1. 18. 09:00

    Trojan.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인도에서 문자를 통한 악성 앱 공격이 화제가 됐었습니다. 이는 악성 앱 자체나 공격 방법이 화젯거리 라기 보다 인도 정부의 반중 정서에 따라 중국의 유명 SNS 앱인 Tiktok을 인도에서 사용 금지하는 시점에 Tiktok을 사칭한 공격이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Tiktok은 전체 사용자의 50% 이상이 인도 사용자일 정도로 인도에서의 인기는 대단합니다. 공격자는 이런 이슈에 편승하여 Tiktok 앱으로 사칭한 악성 앱을 유포하였습니다. 이렇게 유포된 악성 앱은 의외로 별다른 악성 행위를 하지는 않으며 단지 광고 노출을 통해 금전적인 수익을 노린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림] 악성 앱이 보낸 문자 Trojan.Android.Agent는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8. 19. 09:00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방어를 지속적으로 회피하는 Joker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Joker Android malware keeps evading Google Play Store defenses Joker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또다시 구글의 공식 안드로이드 앱스토어인 플레이 스토어에 침투하는데 성공했습니다. Joker 악성코드는 Bread라고도 알려진 스파이웨어이자 유료 번호 다이얼 툴로 이 악성코드에 감염된 애플리케이션은 초기에는 SMS 사기를 목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하지만 Joker의 제작자들은 최근 구글이 SEND_SMS 권한 사용을 제한하고 구글 플레이 프로텍트의 적용 범위를 늘리는 정책을 도입한 이후로 새로운 전략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안드로이드 트로이목마의 업데이트된 버전은 요금 사기(toll fraud)로 알려진 모바일 결제 사기에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10. 14:00

    미국의 저가형 폰에서 선설치된 악성코드 발견돼

    More pre-installed malware has been found in budget US smartphones Virgin Mobile의 Assurance Wireless에 연결된 저가형 폰에 악성코드가 선설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월, Malwarebytes의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은 Assurance Wireless에서 Lifeline Assistance 프로그램의 일부로 판매한 저가형 폰인 Unimax(UMX) U686CL의 안드로이드 OS에서 번들로 제공된 제거가 불가능한 악성코드를 발견했습니다. 이 앱들은 사용자의 동의 없이 다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며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습니다. Malwarebytes의 연구원들은 또다시 저가형 폰에서 유사한 보안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문..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10. 09:42

    미수신 택배 관련 가짜 메시지를 통해 확산되는 안드로이드 데이터 스틸링 악성코드

    Android security: This fake message about a missed delivery leads to data-stealing malware 은행 정보, 개인정보, 개인 커뮤니케이션 등을 탈취 가능한 강력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다시 돌아왔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새로운 캠페인을 통해 SMS 피싱 공격을 실행하여 자신을 확산시킵니다. FakeSpy 악성코드는 2017년부터 활동해왔습니다. 처음에는 일본과 한국의 사용자만을 노렸지만, 지금은 전 세계의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공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아시아, 유럽, 북미 지역 사용자를 속이기 위해 설계된 맞춤형 공격을 사용합니다. 최신 FakeSpy 캠페인을 발견한 Cybereason 연구원들은 이 악성코드의 배후에 있는 공격자..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 15: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