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Trojan.Cometer

    • REvil 랜섬웨어, 피해자 네트워크의 PoS 시스템 검색하기 시작해

      2020.06.24 by 알약(Alyac)

    • 2년 동안 탐지를 피해온 Ratsnif, OceanLotus 작전에서 발견돼

      2019.07.03 by 알약(Alyac)

    • 악성 스팸, 백도어 설치를 위해 WinRAR ACE 취약점 악용

      2019.02.26 by 알약(Alyac)

    REvil 랜섬웨어, 피해자 네트워크의 PoS 시스템 검색하기 시작해

    REvil ransomware scans victim's network for Point of Sale systems 시만텍 연구원들이 REvil 랜섬웨어 운영자가 피해자 네트워크에서 PoS 시스템을 탐색하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Sodinokibi로도 알려진 REvil은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로 익스플로잇, 노출된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스팸, 해킹된 MSP 등을 통해 기업 네트워크를 해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운영자는 타깃 네트워크에 접근한 후 측면 이동을 통해 확산되며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데이터를 훔친 후 도메인 컨트롤러에 대한 관리자 접근 권한을 얻어 네트워크 상의 모든 기기를 암호화합니다. 시만텍이 관찰한 한 캠페인에서 REvil의 제휴 파트너는 상용 Cobalt Strike 침..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24. 14:00

    2년 동안 탐지를 피해온 Ratsnif, OceanLotus 작전에서 발견돼

    After 2 years under the radars, Ratsnif emerges in OceanLotus ops 보안 회사인 Cylance의 전문가들이 OceanLotus APT 그룹의 사이버 간첩 작전에 사용된 새로운 RAT(Remote Access Trojans)인 Ratsnif를 발견했습니다. APT32, Cobalt Kitty라고도 알려진 OceanLotus APT 그룹은 최소 2013년부터 활동해온 국가의 후원을 받는 그룹입니다. 해커는 여러 분야의 조직들을 노렸으며 국외 정부, 반체제 인사 및 언론인들을 공격했습니다. FireEye의 연구원들은 최소 2014년부터 APT32가 베트남의 제조, 소비자 제품, 접대 분야에 관심을 두고 외국 기업들을 노리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APT32는 국외..

    국내외 보안동향 2019. 7. 3. 10:56

    악성 스팸, 백도어 설치를 위해 WinRAR ACE 취약점 악용

    Malspam Exploits WinRAR ACE Vulnerability to Install a Backdoor 연구원들이 악성 RAR 아카이브를 배포하는 악성 스팸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이 캠페인은 컴퓨터에 악성코드를 설치하기 위해 새로이 발견된 WinRAR ACE 취약점을 악용하는 첫 번째 익스플로잇으로 보입니다. 지난주 발견된 이 19년 된 취약점은 WinRAR UNACEV2.DLL 라이브러리에 존재하며, 특수하게 제작된 ACE 아카이브가 윈도우 시작 폴더에 파일을 압축 해제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이로써 해당 실행 파일이 지속성을 얻으며, 사용자의 다음 로그인 시 자동으로 실행될 것입니다. WinRAR 개발자들은 취약한 UNACEV2.DLL 라이브러리의 소스 코드에 접근할 수 없는 상태이기 ..

    국내외 보안동향 2019. 2. 26. 10:1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