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Trojan.Ransom.Powershell

    • FBI, Netwalker 랜섬웨어 공격 경고해

      2020.08.03 by 알약(Alyac)

    • Netwalker 랜섬웨어, 추적을 방지하기 위해 ‘파일리스’ 기술 사용해

      2020.05.19 by 알약(Alyac)

    • 똑똑한 PowerWare 랜섬웨어, 해킹공격에 PowerShell 사용

      2016.03.31 by 알약(Alyac)

    FBI, Netwalker 랜섬웨어 공격 경고해

    FBI issued a flash alert about Netwalker ransomware attacks FBI가 미국과 외국의 정부 기관을 노린 Netwalker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경고를 발표했습니다. 또한 피해자에게 랜섬머니를 지불하지 말고 지역 FBI에 사건을 보고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또한 FBI는 이 경고문을 통해 Netwalker 랜섬웨어의 IOC와 완화법을 함께 공개했습니다. FBI는 지난 6월 시작된 Netwalker 랜섬웨어 공격의 새로운 웨이브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피해자 목록에는 UCSF 의과대학, 호주 물류 대기업인 Toll Group 등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2020년 6월, FBI는 미국 및 외국의 정부 기관, 교육 기관, 민간 기업, 보건 기관을 노린 신원이 밝혀지지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3. 09:47

    Netwalker 랜섬웨어, 추적을 방지하기 위해 ‘파일리스’ 기술 사용해

    Netwalker ransomware actors go fileless to make attacks untraceable 공격자들이 흔적을 남기지 않고 피해자를 Netwalker 랜섬웨어에 감염 시키기 위해 파일리스 악성코드 기술인 반사 DLL 인젝션(Reflected DLL injection)을 사용해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LL 인젝션(DLL injection) 이란? 다른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내에서 DLL을 강제로 로드시킴으로써 코드를 실행시키는 기술로 공격자는 임의적인 코드를 삽입하여 시스템 함수 후출을 후킹하거나 보통 방식으로 읽을 수 없는 패스워드 텍스트 박스의 내용을 읽을 수 있다. 반사 DLL 인젝션(Reflected DLL injection) 이란?DLL 인젝션(DLL injectio..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19. 14:00

    똑똑한 PowerWare 랜섬웨어, 해킹공격에 PowerShell 사용

    똑똑한 PowerWare 랜섬웨어, 해킹공격에 PowerShell 사용Smart PowerWare Ransomware Uses PowerShell for the Dirty Work Windows PowerShell로 작성된 새로운 랜섬웨어가 기업들, 특히 의료 기관들을 노리고 있습니다. 해당 랜섬웨어는 악성 매크로를 포함한 워드 문서가 인보이스로 위장하여 피싱 이메일을 통해 유포됩니다. Carbon Black에 따르면, PowerWare은 Microsft의 Word와 MS OS의 스크립트 언어인 PowerShell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기존의 랜섬웨어 변종은 시스탬 내 새로운 악성 파일을 설치하는데, 이는 안티바이러스에 탐지될 확률이 높습니다. PowerWare은 Windows 시스템의 핵심 유틸리티 중..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31. 16:0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