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UEFI

    • 랩탑 수백만 대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Lenovo UEFI 펌웨어 취약점 발견

      2022.04.20 by 알약4

    • TrickBot 악성코드, 탐지를 피하기 위해 UEFI/BIOS 부트킷 사용해

      2020.12.04 by 알약4

    • MosaicRegressor: 실제 공격에 사용된 두 번째 UEFI 루트킷

      2020.10.06 by 알약4

    랩탑 수백만 대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Lenovo UEFI 펌웨어 취약점 발견

    New Lenovo UEFI Firmware Vulnerabilities Affect Millions of Laptops 다양한 Lenovo 노트북 모델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보안 취약점 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악용할 경우 공격자는 취약한 기기에 펌웨어 임플란트를 배포 및 실행할 수 있습니다. ESET 연구원인 Martin Smolár는 보고서를 발표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CVE-2021-3970, CVE-2021-3971, CVE-2021-3972로 등록되었으며, 후자 2개는 "원래는 Lenovo 소비자 노트북의 제조 공정 중에만 사용되도록 의도된 펌웨어 드라이버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제대로..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20. 14:00

    TrickBot 악성코드, 탐지를 피하기 위해 UEFI/BIOS 부트킷 사용해

    TrickBot Malware Gets UEFI/BIOS Bootkit Feature to Remain Undetected 전 세계에서 가장 악명 높은 악성 봇넷 중 하나인 TrickBot이 툴셋을 확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dvanced Intelligence와 Eclypsium에서 “TrickBoot”로 명명한 이 새로운 기능은 공격자가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기기의 UEFI/BIOS 펌웨어에 악성코드를 주입하는데 악용할 수 있는 알려진 취약점을 기기에서 찾기 위해 쉽게 얻을 수 있는 툴을 사용합니다. UEFI는 어떤 악성코드도 부트 프로세스를 변경하지 않도록 보안을 개선하는 BIOS 대체 펌웨어 인터페이스입니다. UEFI는 OS 로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러한 감염은 OS를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2. 4. 09:36

    MosaicRegressor: 실제 공격에 사용된 두 번째 UEFI 루트킷

    MosaicRegressor: Second-ever UEFI rootkit found in the wild 실제 공격에 사용된 UEFI 루트킷이 두 번째로 발견되었습니다. 보안 연구원들은 2019년부터 NGO조직 2곳에 대한 공격을 조사하던 중 이를 발견했습니다.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펌웨어는 컴퓨터의 마더보드에 납땜된 SPI 플래시 스토리지에 설치되기 때문에 OS를 재설치하거나 하드드라이브를 교체해도 제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악성코드는 높은 지속성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카스퍼스키 연구원인 Mark Lechtik과 Igor Kuznetsov는 이 UEFI 부트킷을 발견 후 MosaicRegressor라 명명했습니다. 이는 모듈형 다단계 악성..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6. 09:2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