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adobe 취약점

    • Adobe Flash Player 제로데이 공격(CVE-2018-15982) 악용, 최신 업데이트 필요

      2018.12.06 by 알약(Alyac)

    •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을 수정하는 Adobe 플래시 플레이어 업데이트 공개 돼

      2018.11.23 by 알약(Alyac)

    • Adobe Flash Player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8-4878) 발견!

      2018.02.05 by 알약(Alyac)

    • Adobe Flash Player 취약점(CVE-2016-4117) 발견!

      2016.05.11 by 알약(Alyac)

    Adobe Flash Player 제로데이 공격(CVE-2018-15982) 악용, 최신 업데이트 필요

    중국 보안업체360은 11월 29일, 2건의 새로운 Flash 0day 취약점 악성파일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번 APT 공격은 러시아 또는 우크라이나를 타겟으로 진행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악성 DOCX 문서파일이 바이러스토탈에 업로드된 곳은 우크라이나 지역이었습니다. [그림 1] 우크라이나에서 보고된 악성 문서파일 실행화면 공격자는 Flash 0-day 취약점이 포함된 Word 파일을 사용자에게 발송하며,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클릭할 경우, 백도어가 실행되며 공격자가 사용자 PC에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합니다. 악성 워드문서 내부에는 'activeX1.bin' 플래시 파일이 포함되어 있으며, 액션스크립트 바이트 코드 내부에 바이너리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림 1-1] 'activeX1.bin'..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12. 6. 09:08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을 수정하는 Adobe 플래시 플레이어 업데이트 공개 돼

    Adobe Flash Player Update Released for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Adobe가 플래시 플레이어에 존재하며 악성 사이트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코드를 실행하도록 허용하는 취약점을 수정하기 위한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어도비의 APSB18-44 뷸레틴에 따르면, 이 취약점은 CVE-2018-15981로 등록 되었으며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할 수 있는 유형 혼동 취약점입니다. 공격자가 악성 SWF 파일을 생성해 웹사이트에 호스팅하고 취약한 사용자가 이 사이트를 방문하면 악용이 가능합니다. 이 방법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악성 코드 다운로드 및 실행 등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 가능합니다. Adobe 플래시 플레이어용 보안 업데이트는 11월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1. 23. 09:39

    Adobe Flash Player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8-4878) 발견!

    최근 Adobe Flash Player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현재 공격자들에 의해 악용중이며, 공격자들은 악의적인 Flash가 포함된 email을 이용하여 공격합니다. 취약점 번호 CVE-2018-4878 영향받는 버전 Adobe Flash Player 28.0.0.137 이하 영향받는 제품 Adobe Flash Player Desktop RuntimeAdobe Flash Player for Google ChromeAdobe Flash Player for Microsoft Edge and Internet Explorer 11 패치방법 2월 5일 정식 패치 배포 예정패치가 나올 때 까지, Flash Player 비활성화 권고 (▶Adobe Flash Player 비활성화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2. 5. 11:07

    Adobe Flash Player 취약점(CVE-2016-4117) 발견!

    Adobe Flash Player 제로데이 취약점(CVE-2016-4117) 발견! Adobe Flash Player에서 제로데이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번 취약점은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으로 특수하게 조작한 Flash 파일이 포함된 웹페이지 혹은 메일 등을 통하여 감염됩니다. Adobe측은 미국시간으로 5월 12일 패치를 공개하겠다고 밝혔 습니다. 영향받는 버전 Adobe Flash Player 21.0.0.226 및 이전 버전 (Windows, Macintosh, Linux, Chrome OS) 해결방법 현재까지 패치는 나오지 않은 상황이며, 임시 조치 방법으로 Flash Player를 비활성화 시켜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 Adobe Flash Player 비활성화 방법 보러가기 ※ [추가] 해당 ..

    국내외 보안동향 2016. 5. 11. 17:2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