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nsa

    • NSA, 오래된 TLS 프로토콜 교체 권장해

      2021.01.21 by 알약4

    • FBI와 NSA, 러시아 해커들이 사용하는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인 Drovorub 공개

      2020.08.14 by 알약4

    • NSA, 웹 셸을 심는데 흔히 악용되는 취약점 목록 공개

      2020.04.24 by 알약(Alyac)

    • EternalRomance 익스플로잇을 통해 배포 되는 PyRoMineIoT, 이란과 사우디 아라비아의 IoT 기기들 노려

      2018.06.14 by 알약(Alyac)

    • Bad Rabbit 랜섬웨어, NSA 익스플로잇 사용해

      2017.10.27 by 알약(Alyac)

    • 카스퍼스키, 신뢰를 얻기 위해 백신 소스 코드 공개해

      2017.10.24 by 알약(Alyac)

    • 사이버 스파이들, 호텔 고객들을 스파잉 하기 위해 유출 된 NSA 해킹 툴들 사용해

      2017.08.16 by 알약(Alyac)

    • 유출된 NSA 해킹 툴, 취약한 윈도우 PC 수천대를 해킹하는데 사용되고 있어

      2017.04.25 by 알약(Alyac)

    NSA, 오래된 TLS 프로토콜 교체 권장해

    NSA urges system administrators to replace obsolete TLS protocols 미 NSA가 보안 권고[PDF]를 발행해 연방 기관을 포함한 기관의 시스템 관리자들에게 오래된 TLS 프로토콜의 사용을 멈출 것을 권장했습니다. “NSA는 TLS 1.2 또는 TLS 1.3만 사용하고 SSL 2.0, SSL 3.0, TLS 1.0, TLS 1.1은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 “오래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민감한 데이터가 보호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보호되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잘못된 보안 감각을 가지게 될 수 있습니다.” NSA는 TLS 1.2와 TLS 1.3이 배포되었을 경우라도 이 두 프로토콜을 취약한 암호화 파라미터와 암호 스위트로 구성해서는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1. 21. 14:00

    FBI와 NSA, 러시아 해커들이 사용하는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인 Drovorub 공개

    FBI and NSA expose new Linux malware Drovorub, used by Russian state hackers FBI와 NSA가 새로운 리눅스 악성코드 변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공동 보안 권고문을 발행했습니다. 이들은 러시아 군사 해커가 개발해 실제 공격에서 배포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FBI와 NSA는 Drovorub로 명명된 이 악성코드가 해킹된 네트워크 내 백도어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두 기관이 수집한 정보에 따르면, 이 악성코드는 APT28 (Fancy Bear, Sednit)의 소행으로 추측됩니다. 이 두 기관은 공동 경보를 통해 미국 민간 및 공공 부문에 대한 보안 인식을 높이고 IT 관리자가 탐지 규칙 및 예방 조치를 신속히 진행하기 바란다고..

    국내외 보안동향 2020. 8. 14. 14:00

    NSA, 웹 셸을 심는데 흔히 악용되는 취약점 목록 공개

    NSA shares list of vulnerabilities commonly exploited to plant web shells 미 국가안보국(NSA)와 호주 통신보안국 (ASD)이 기업들에 웹 대면 서버 및 내부 서버에서 일반 웹 셸을 찾아볼 것을 경고하는 보안 권고를 발행했습니다. 웹 셸은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악성코드 유형 중 하나입니다. “웹 셸”이라는 용어는 해킹된 서버에 설치된 악성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를 의미합니다. 웹 셸은 해커가 해킹된 서버 및 파일 시스템을 조작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비쥬얼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웹 셸 대부분에는 서버에서 해커가 사용 가능한 파일의 이름 변경, 복사, 이동, 편집기능 및 새로운 파일 업로드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

    국내외 보안동향 2020. 4. 24. 15:24

    EternalRomance 익스플로잇을 통해 배포 되는 PyRoMineIoT, 이란과 사우디 아라비아의 IoT 기기들 노려

    PyRoMineIoT spreads via EternalRomance exploit and targets targets IoT devices in Iran and Saudi Arabia 연구원들이 확산을 위해 NSA와 관련 된 EternalRomance 익스플로잇을 악용하는 새로운 가상화폐 채굴 변종인 PyRoMineIoT를 발견했습니다. PyRoMineIoT는 몇 주 전 발견 된 PyRoMine이라는 가상화폐 채굴기와 꽤 유사합니다. 이는 4월달에 감염이 급증 하였고, 대부분이 가포르, 인도, 대만, 코트 디부 아르, 호주에서 발견 되었습니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구 버전의 채굴기는 난독화 기능을 추가해 더욱 개선되었습니다. 최신 PyRoMine은 동일한 IP주소인 212[.]83.190[.]122에서..

    국내외 보안동향 2018. 6. 14. 14:18

    Bad Rabbit 랜섬웨어, NSA 익스플로잇 사용해

    Bad Rabbit Ransomware Outbreak Also Used NSA Exploit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큰 혼란에 빠지게 한 Bad Rabbit 랜섬웨어 사건이 발생한지 이틀 후, 보안 연구원들은 계속해서 해당 멀웨어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SM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커스텀 스캐닝 매커니즘을 사용해 초기 피해자로부터 근처 컴퓨터로 배포되는 것으로 추측 되었으나, 금일 새로이 발표 된 보고서에 의하면 Bad Rabbit은 배포 프로세스를 강화하기 위해 수정 된 버전의 NSA 익스플로잇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SA가 개발하고 온라인에 유출 된 사이버 무기를 글로벌 랜섬웨어가 악용한 것은 올해만 세 번째입니다. WannaCry가 NSA 사이버 무기를 사용한 첫 번째 랜..

    국내외 보안동향 2017. 10. 27. 16:06

    카스퍼스키, 신뢰를 얻기 위해 백신 소스 코드 공개해

    Kaspersky Opens Antivirus Source Code for Independent Review to Rebuild Trust 러시아의 안티 바이러스 회사인 카스퍼스키랩이 고객들과 infosec 커뮤니티의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 소스코드 및 내부 프로세스의 독립적인 써드파티 리뷰를 허용했습니다. 카스퍼스키는 알게 모르게 NSA 계약자들의 컴퓨터에서 기밀 정보를 훔치도록 러시아의 정부 해커들을 돕고 있다고 기소 된 이후 이같이 소스코드를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이달 초, 뉴욕 타임즈에서는 이스라엘의 정부 해커들이 2015년 카스퍼스키의 네트워크에 침입해 러시아 해커들이 카스퍼스키의 도움을 받아 미 정부를 해킹한 사실을 발견했다고 보도했었습니다. 미국은 오래 전부터 카스퍼스키 안티 바이러스 회사가..

    국내외 보안동향 2017. 10. 24. 15:26

    사이버 스파이들, 호텔 고객들을 스파잉 하기 위해 유출 된 NSA 해킹 툴들 사용해

    Cyberspies Are Using Leaked NSA Hacking Tools to Spy On Hotels Guests 러시아와 관련이 있는 악명높은 사이버 스파잉 그룹이 WannaCry와 NotPetya에 사용 된 유출 된 NSA 해킹툴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유럽 국가들에서 호텔의 고객들을 스파잉하기 위해 Wi-Fi 네트워크를 노리고 있었습니다. 보안 연구원들은 이 캠페인이 유럽 호텔들에서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가치 높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원격으로 크리덴셜을 훔치며, FancyBear 해킹 그룹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새로이 발견 된 이 캠페인은 EternalBlue라고도 불리우는 윈도우의 SMB 익스플로잇 (CVE-2017-0143)을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

    국내외 보안동향 2017. 8. 16. 10:15

    유출된 NSA 해킹 툴, 취약한 윈도우 PC 수천대를 해킹하는데 사용되고 있어

    유출된 NSA 해킹 툴, 취약한 윈도우 PC 수천대를 해킹하는데 사용되고 있어 Leaked NSA Hacking Tools Being Used to Hack Thousands of Vulnerable Windows PCs 전세계 온라인 범죄자들이 지난 주말 유출 된 NSA 해킹 툴들을 악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인터넷에 노출된 수십만 대의 취약한 윈도우 컴퓨터를 노리고 있습니다. 지난 주, Shadow Brokers 해킹 그룹이 윈도우 XP, 서버 2003, 7, 8, 2012를 타겟으로 한 윈도우 해킹 툴들을 공개하였습니다. 이들이 공개한 해킹 툴에는 다수의 윈도우 제로데이 취약점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MS는 곧바로 해당 취약점들에 대한 패치를 공개하였습니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가 패치를 공개했..

    국내외 보안동향 2017. 4. 25. 15:4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