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openssh

    • 컴퓨터 메모리에서 민감 데이터를 탈취하는 RAMBleed 공격 발견

      2019.06.12 by 알약(Alyac)

    • OpenSSH, 2011년부터 오라클 공격에 취약해

      2018.08.31 by 알약(Alyac)

    • 지난 20년 동안 모든 OpenSSH 버전에 영향을 미친 취약점 공개 돼

      2018.08.23 by 알약(Alyac)

    • 12년 전 발견된 OpenSSH 취약점, 전세계 200만 IoT 기기에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2016.10.20 by 알약(Alyac)

    • OpenSSH 업데이트 권고!

      2016.01.15 by 알약(Alyac)

    • [해외보안동향] TLS용 디피-헬만 설정 가이드

      2015.05.27 by 알약(Alyac)

    컴퓨터 메모리에서 민감 데이터를 탈취하는 RAMBleed 공격 발견

    RAMBleed Attack Can Steal Sensitive Data From Computer Memory 연구원들이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여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OpenSSH 서버에서 서명 키를 추출해내는데 성공했습니다. RAMBleed라 명명된 이 공격은 Rowhammer 취약점을 기반으로 하며, ECC(error-correcting code) 기능이 있는 RAM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Rowhammer는 RAM에 저장된 정보를 격리하는 실험 연구를 통해 시작되었습니다. ※ Rowhammer 취약점이란? D 램이 점점 더 고집적화될수록 메모리 구조 상 내부 영역들 간 간섭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2. 11:03

    OpenSSH, 2011년부터 오라클 공격에 취약해

    OpenSSH Versions Since 2011 Vulnerable to Oracle Attack OpenSSH가 오라클 공격에 취약해, 2011년 9월 이후 버전들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발자들은 일주일 전 유사한 버그를 수정했었습니다. Qualys의 보안 연구원들이 OpenSSH 최신 버전에서 새로운 계정명 열거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공격자는 서버에서 다양한 계정명을 시험해 유효한 것을 찾아낼 수 있게 됩니다. 이 취약점은 CVE-2018-15919로 등록 되었습니다. 연구원들은 지난 주 발견된 취약점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 또한 스위트의 OpenBSD 소스 코드 커밋을 분석하던 중 발견 되었습니다. 문제는 auth2-gss.c 컴포넌트에 존재하며..

    국내외 보안동향 2018. 8. 31. 10:38

    지난 20년 동안 모든 OpenSSH 버전에 영향을 미친 취약점 공개 돼

    Vulnerability Affects All OpenSSH Versions Released in the Past Two Decades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OpenSSH가 처음 출시된 1999년 이래로 지난 20년 동안 모든 버전의 OpenSSH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버그에 대한 패치는 이번주 공개 되었지만, OpenSSH 클라이언트가 수 많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및 하드웨어 기기에 내장 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시스템이 패치될 때 까지는 수 개월에서 수 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OpenSSH에서 사용자 계정 열거 버그 발견 이 버그는 Qualys의 보안 연구원이 지난주 OpenBSD의 OpenSSH 소스 코드의 커밋에서 발견했습니다. 해당 커밋을 분석 후, 연구..

    국내외 보안동향 2018. 8. 23. 17:21

    12년 전 발견된 OpenSSH 취약점, 전세계 200만 IoT 기기에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12년 전 발견된 OpenSSH 취약점, 전세계 200만 IoT 기기에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12-Year-Old SSH Bug Exposes More than 2 Million IoT Devices 보안 기업 Akamai가 최근 IoT 보안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상당 수의 IoT 디바이스가 악성 트래픽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악성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IoT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조사를 진행한 결과, 공격자들이 해당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아주 오래된 OpenSSH 취약점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게 OpenSSH 취약점을 이용하여 해킹을 시도한 IoT 디바이스는 약 200만대가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하여 보안 연구원들이 공용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국내외 보안동향 2016. 10. 20. 09:07

    OpenSSH 업데이트 권고!

    1월 15일 OpenSSH가 Private 암호화 키를 노출시킬 수 있는 취약점(cve-2016-0777, cve-2016-0778)을 패치하였습니다. 이번 취약점은 인터럽트 된 SSH 연결의 재개를 돕는 roamin_common.c 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클라이언트 코드는 디폴트로 활성화 되어 있기 때문에 악성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메모리를 유출하도록 속일 수 있습니다. 서버 호스트 키 인증과정이 중간자 공격을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악성 서버나 해킹 된 서버로 연결되었을 경우에만 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영향받는버전 OpenSSH 5.x, 6.x, 7.x ~ 7.1p1 취약점 패치방법 OpenSSH 7.1p2 로 업데이트Roming 기능을 비활성화 참고 :http://www.openssh.com/..

    국내외 보안동향 2016. 1. 15. 14:58

    [해외보안동향] TLS용 디피-헬만 설정 가이드

    TLS용 디피-헬만 설정 가이드Guide to Deploying Diffie-Hellman for TLS 이전 포스팅을 통해 암호화 통신을 다운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암호화 취약점인 Logjam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Logjam 취약점이란?중간자 공격(MITM)을 통해 사용자와 웹, 또는 이메일 서버 간의 암호화 통신을 다운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취약점입니다. ▶자세히 보기 Logjam 취약점은 TLS 프로토콜 자체의 기본 설계상의 취약점이므로 TSL를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와 메일 서버들은 해당 취약점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이에 따라, TLS용 디피-헬만을 안전하게 설정하는 세 가지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1. 수출용 암호 스위트를 비활성화하라.현재 사용되고 있는 브라우저들이 수출용 스..

    국내외 보안동향 2015. 5. 27. 14:2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