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smtp

    • 구글의 SMTP 릴레이 서비스, 피싱 이메일 전송에 악용돼

      2022.05.03 by 알약4

    • 해커들, 옥스퍼드 서버 탈취해 오피스 365 피싱에 사용

      2020.06.19 by 알약(Alyac)

    • Linux 및 OpenBSD 이메일 서버에서 새로운 OpenSMTPD RCE 취약점 발견돼

      2020.02.26 by 알약(Alyac)

    구글의 SMTP 릴레이 서비스, 피싱 이메일 전송에 악용돼

    Google SMTP relay service abused for sending phishing emails 피싱 공격자들이 구글의 SMTP 릴레이 서비스를 악용하여 이메일 보안 제품을 우회하고 타깃 사용자에게 악성 이메일을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메일 보안 회사인 Avanan에서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4월부터 구글의 SMTP 릴레이 서비스를 악용하는 공격자가 갑자기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배포된 이메일은 4월 첫 2주 동안 최소 3만 건이었습니다. 공격의 세부 정보 구글은 Gmail 및 Google Workspace 사용자가 발신 이메일을 라우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3. 09:00

    해커들, 옥스퍼드 서버 탈취해 오피스 365 피싱에 사용

    Hijacked Oxford server used by hackers for Office 365 phishing 해커가 옥스퍼드의 이메일 서버를 탈취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365 크리덴셜을 수집하는 피싱 캠페인에 사용되는 악성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타깃은 유럽, 아시아, 중동 지역입니다. 또한 해커는 Adobe 서버에서 호스팅된 도메인을 사용했습니다. 이 도메인은 삼성이 2018년 사이버 먼데이 이벤트에서 사용한 것입니다. 공격자는 옥스퍼드 대학, 어도비, 삼성과 같은 평판 높은 브랜드를 사용하여 피해자의 이메일 보안 필터를 우회하고 오피스 365 크리덴셜을 넘겨주도록 속였습니다. 이 캠페인을 발견한 Check Point 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공격자는..

    국내외 보안동향 2020. 6. 19. 08:45

    Linux 및 OpenBSD 이메일 서버에서 새로운 OpenSMTPD RCE 취약점 발견돼

    New OpenSMTPD RCE Flaw Affects Linux and OpenBSD Email Servers OpenSMTPD에서 또 다른 치명적인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원격 공격자가 BSD 또는 리눅스 OS를 실행하는 이메일 서버의 제어권을 탈취하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penBSD SMTP Server로도 알려진 OpenSMTPD는 로컬 머신에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다른 SMTP 서버로 릴레이하기 위한 SMTP의 오픈 소스 구현입니다. 이는 초기에는 OpenBS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지만, 현재는 많은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 선탑재되어 출시됩니다. Qualys Research Labs의 전문가들이 발견한 이 취약점은 CVE-2020-8794로 등록된 범위 외 읽기(out-of-..

    국내외 보안동향 2020. 2. 26. 08:5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