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ubuntu

    • Ubuntu 시스템에서 권한을 상승시킬 수 있는 취약점(CVE-2021-3490) 발견!

      2021.08.02 by 알약4

    • Pwn2Own 2017에서 발견된 리눅스 커널 취약점 CVE-2017-7184 수정돼

      2017.04.04 by 알약(Alyac)

    • 우분투 충돌 보고 툴(Crash Report Tool), 원격 코드 실행 허용해

      2016.12.20 by 알약(Alyac)

    • 삼바(Samba) 취약점 (cve-2015-0240) 발생

      2015.03.04 by 알약(Alyac)

    Ubuntu 시스템에서 권한을 상승시킬 수 있는 취약점(CVE-2021-3490) 발견!

    RedRocket CTF 팀의 보안 연구원인 Manfred Paul은 Ubuntu 시스템의 Linux 커널 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에서 심각도가 높은 권한 상승 취약점(CVE-2021-3490)에 대한 익스플로잇 코드를 공개했습니다. eBPF 명령을 삽입할 수 있는 로컬 사용자는 CVE-2021-3490 취약점 사용하여 시스템을 충돌시키거나 시스템에 대한 권한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eBPF는 커널 소스 코드를 변경하거나 추가 모듈을 추가하지 않고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커널 기술입니다. 이것은 프로그래머가 특정 커널 리소스를 활용하는 BPF 바이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Linux 커널 내부의 일종의 경량 샌드박스 가상 머신(VM)입니다. Paul은 T..

    국내외 보안동향 2021. 8. 2. 11:50

    Pwn2Own 2017에서 발견된 리눅스 커널 취약점 CVE-2017-7184 수정돼

    Pwn2Own 2017에서 발견 된 리눅스 커널 취약점 CVE-2017-7184 수정돼Linux Kernel vulnerability CVE-2017-7184 disclosed at Pwn2Own 2017 fixed 최근 Zero Day Initiative의 Pwn2Own 2017 대회에서 해커들이 악용한 리눅스 커널 취약점이 패치되었습니다. Chaitin Security Research Lab은 지난 2017년 Pwn2Own 2017 대회에서 리눅스 커널의 취약점(CVE-2017-7184)를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리눅스 커널의 heap out-of-bound 접근 결점을 악용해 Ubuntu 데스크탑을 해킹하여 $15,000의 상금을 받았습니다. ZDI는 권고문을 통해 “이 취약점은 로컬의 공격자들이 취..

    국내외 보안동향 2017. 4. 4. 17:01

    우분투 충돌 보고 툴(Crash Report Tool), 원격 코드 실행 허용해

    우분투 충돌 보고 툴(Crash Report Tool), 원격 코드 실행 허용해Ubuntu’s Crash Report Tool Allows Remote Code Execution 이미지 출처 : http://thehackernews.com/2016/12/ubuntu-hack.html 보안 연구원이 Ubuntu 리눅스 OS에서 공격자가 악성 파일을 사용해 타겟 컴퓨터를 원격으로 해킹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심각한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디폴트로 설치된 Ubuntu 리눅스 12.10(Quantal) 및 이후 버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보안 연구원 Doonncha O’Cearbhaill는 Ubuntu의 Apport 충돌 보고 툴(Crash Report Tool)에 존재하는 보안 결점..

    국내외 보안동향 2016. 12. 20. 15:18

    삼바(Samba) 취약점 (cve-2015-0240) 발생

    삼바(Samba) 취약점 (cve-2015-0240) 발생 Samba는 컴퓨터간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구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얼마 전 Samba에 매우 심각한 취약점이 공개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면 공격자가 원격에서 samba 데몬이 운영중인 서버에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Samba는 공식 홈페이지에 이미 관련 패치를 공개하였으며, 리눅스 업체들 역시 패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패치를 완료한 후에는 samba 데몬을 재시작해야 합니다. 영향받는 버전 Samba 3.5.x ~ 4.2.0rc4 취약점 검사 Redhat 계열$ rpm –qa | grep samba Debian, Ubunt 및 기타제품$ dpkg –l | grep samba Samba ..

    국내외 보안동향 2015. 3. 4. 16:5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