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webview

    • iOS와 안드로이드 앱스토어에서 도박 앱 발견돼

      2019.09.30 by 알약(Alyac)

    • 1억 회 이상 다운로드 기록한 안드로이드 앱에서 Clicker 트로이목마 발견돼

      2019.08.12 by 알약(Alyac)

    • 구글 플레이에 등록 된 앱 130개 이상, 사용자들을 윈도우 악성코드에 감염시키려 시도해

      2017.03.02 by 알약(Alyac)

    iOS와 안드로이드 앱스토어에서 도박 앱 발견돼

    Fake Apps Sneak Gambling Into iOS and Android App Stores 도박 앱들이 정책을 준수하는 앱으로 위장하여 구글 플레이와 앱스토어의 심사를 통과했습니다. 이 앱들은 앱스토어의 정책 검사를 우회한 후, 사용자들이 도박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이 앱들은 지난 8월 안드로이드 공식 스토어에 등록되었습니다. iOS의 경우, 10만 건 이상의 리뷰가 등록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앱스토어 심사 시스템 우회 실제 돈을 걸고 하는 게임 앱에 대한 제한이 더욱 강화돼, 9월 3일을 기준으로 애플 심사의 경우 이 기능에 대한 코드를 바이너리에 포함 시켜야 합니다. 구글 또한 도박 앱이 합법적인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의 안드로이드 스토어에서만 도박 앱을 허용합니다. 하지..

    국내외 보안동향 2019. 9. 30. 15:44

    1억 회 이상 다운로드 기록한 안드로이드 앱에서 Clicker 트로이목마 발견돼

    Android Apps With Over 100M Installs Contain a Clicker Trojan 구글 플레이 스토어 33개 이상의 앱에서 클릭커(clicker) 트로이목마가 포함된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앱들은 총 1억 회 이상 다운로드 되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오디오 플레이어, 바코드 스캐너, 사전 등 무해해 보이는 애플리케이션에 추가될 수 있는 악성 모듈로써 설계되었습니다. Dr.Web의 연구원들이 발견한 이 앱들은 완벽히 동작했으며, 인터페이스 내 어떠한 경고도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설치 후 자신의 아이콘을 숨기거나, 기능에 비해 과한 사용자 권한을 요청하는 등 다른 악성 애플리케이션들이 하는 이상 행동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클릭커(Clicker) 트로이목마는 감염된 기기의..

    국내외 보안동향 2019. 8. 12. 10:08

    구글 플레이에 등록 된 앱 130개 이상, 사용자들을 윈도우 악성코드에 감염시키려 시도해

    구글 플레이에 등록 된 앱 130개 이상, 사용자들을 윈도우 악성코드에 감염시키려 시도해Over 130 Google Play Apps Tried to Infect Users with Windows Malware 최근 공식 구글플레이 마켓에 등록된 132개 앱들이 사용자들에게 윈도우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것이 확인되었습니다. 7명의 개발자가 만든 이 앱들은 로컬 HTML 페이지에 악성 도메인으로 연결시키는 작은 iframe을 숨겨놓았습니다. 하지만 이 두 조합은 실제로 공존할 수 없습니다. 보안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번 경우 개발자는 사실상 무죄이거나 혹은 비난을 받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앱 개발자의 개발 플랫폼이 HTML 페이지를 탐색 후 발견하는 HTML 페이지의 마지막에 악성 컨텐츠를 주입..

    국내외 보안동향 2017. 3. 2. 15:2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