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구글, 크롬 브라우저의 새로운 제로데이 취약점 2개 수정

      2020.11.13 by 알약4

    • Animal Jam 계정 데이터 유출돼, 4,600만 계정 영향 받아

      2020.11.13 by 알약4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주요 배포지로 나타나

      2020.11.12 by 알약4

    • Cobalt Strike 툴킷 소스코드, 온라인에 공개돼

      2020.11.12 by 알약4

    • CPU 보안 취약점을 수정하는 윈도우 10 인텔 마이크로코드 공개

      2020.11.11 by 알약4

    • 금융 앱 112개를 통해 돈을 훔치는 안드로이드 뱅킹 트로이목마 발견

      2020.11.11 by 알약4

    • 가짜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업데이트, Cobalt Strike로 이어져

      2020.11.10 by 알약4

    • 리눅스 서버 및 IoT 기기를 봇넷에 참여시키는 새로운 악성코드

      2020.11.10 by 알약4

    구글, 크롬 브라우저의 새로운 제로데이 취약점 2개 수정

    Google addresses two new Chrome zero-day flaws 구글이 크롬 버전 86.0.4240.198에서 실제 공격에 활발히 악용되는 새로운 제로데이 취약점 2개를 수정했습니다. 구글은 3주만에 크롬의 제로데이 취약점 총 5개를 수정했습니다. CVE-2020-16013, CVE-2020-16017로 등록된 이 제로데이 취약점은 익명으로 제보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글은 이 취약점이 실제 공격에서 어떻게 악용되는지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CVE-2020-16013 취약점은 V8 크롬 컴포넌트의 부적절한 구현으로 인해 발생하며 2020년 11월 9일 익명으로 제보되었습니다. CVE-2020-16017 취약점은 Site Isolation에 존재하는 use-after-free 메모리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13. 14:00

    Animal Jam 계정 데이터 유출돼, 4,600만 계정 영향 받아

    Animal Jam kids' virtual world hit by data breach, impacts 46M accounts 인기있는 가상 어린이 놀이터 서비스인 Animal Jam에서 데이터 유출이 발생해 4,600만 사용자 계정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Animal Jam은 WildWorks에서 개발한 가상 세계로 어린이들이 다른 회원들과 함께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타깃은 7~11세 어린이들이며, 매 1.4초마다 새로운 플레이어가 가입하며 어린이들이 만든 동물 아바타는 3억 개 이상입니다. 한 공격자가 해커 포럼에서 Animal Jam의 데이터베이스 2개를 무료로 공유했습니다. 이들은 유명 웹사이트 해커인 ShinyHunters로부터 데이터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도난당한 두 데이터베..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13. 09:00

    구글 플레이스토어,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주요 배포지로 나타나

    Play Store identified as main distribution vector for most Android malware 최근 연구에서 안드로이드 기기에 악성코드가 설치되는 주요 원인으로 구글 공식 플레이스토어를 꼽았습니다. 연구원들은 NortonLifeLock의 연구원들이 제공한 원격 측정 데이터를 통해 2019년 6, 7, 8, 9월 동안 안드로이드 기기 1,200만대 이상에 설치된 앱의 출처를 분석했습니다. 연구원들은 고유 앱 790만개에 대한 총 3,400 APK(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조사했습니다. 이들은 분석한 앱의 10~24%가 악성 앱 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원들은 악성 앱이 사용자의 기기에 도달하는 경로를 알아내기 위해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12. 14:00

    Cobalt Strike 툴킷 소스코드, 온라인에 공개돼

    Alleged source code of Cobalt Strike toolkit shared online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Cobalt Strike post-exploitation 툴킷의 소스코드가 GitHub 저장소에서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obalt Strike는 합법적인 침투 테스팅 툴킷으로 공격자들이 원격으로 “피해자의 시스템에서 셸 생성, 파워셸 스크립트 실행, 권한 상승, 리스너를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세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해킹된 기기에 “비콘”을 배치하는데 사용합니다. 공격자들은 해킹된 네트워크에서 지속적인 원격 접속 권한을 얻어내기 위해 Cobalt Strike의 크랙된 버전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랜섬웨어 공격에 주로 이용됩니다. 12일 전, Cobalt Strike 4...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12. 09:05

    CPU 보안 취약점을 수정하는 윈도우 10 인텔 마이크로코드 공개

    Windows 10 Intel microcode released to fix new CPU security bugs 마이크로소프트가 인텔 CPU에서 공개된 새로운 하드웨어 취약점을 수정하기 위해 윈도우 10 20H2, 2004, 1909 및 구 버전용 인텔 마이크로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인텔은 CPU에서 취약점을 발견하면 OS에서 CPU의 취약점을 고치거나 최소한 완화할 수 있는 마이크로코드 업데이트를 공개합니다. Graz University of Technology, CISPA Helmholtz Center for Information Security, the University of Birmingham의 연구원 그룹이 새로운 인텔 CPU 사이드 채널 취약점인 ‘Platypus’를 공개했습니다. 이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11. 14:00

    금융 앱 112개를 통해 돈을 훔치는 안드로이드 뱅킹 트로이목마 발견

    Watch Out! New Android Banking Trojan Steals From 112 Financial Apps 보안 연구원들이 브라질, 라틴 아메리카, 유럽의 금융 기관을 노리는 브라질 뱅킹 트로이목마 4개인 “Tetrade”를 발견한 지 4개월이 지난 후, 이 공격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스파이웨어로 감염시키기 위한 전략을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스퍼스키의 GReAT 팀에 따르면, 브라질의 공격 그룹인 Guildma는 브라질, 파라과이, 페루, 포르투갈, 독일, 앙골라, 모잠비크의 은행, 핀테크회사, 거래소, 가상화폐 앱을 노리는 안드로이드 뱅킹 트로이목마인 “Ghimob”을 배포했습니다. "Ghimob은 완전한 기능을 갖춘 주머니 속 스파이입니다. 일단 감염되면, 해커는 기기에 원격으..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11. 09:02

    가짜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업데이트, Cobalt Strike로 이어져

    Fake Microsoft Teams updates lead to Cobalt Strike deployment 랜섬웨어 운영자들이 시스템을 Cobalt Strike를 배포하는 백도어에 감염시키는 가짜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업데이트 악성 광고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공격은 다양한 업계의 조직을 노리며,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화상 회의 솔루션을 사용하는 교육 부문(K-12)을 집중하여 공격했습니다. 인포스틸러에서 Cobalt Strike까지 Bleeping Computer에서 확인한 비공개 보안 권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들에게 이 가짜 업데이트(FakeUpdates) 캠페인에 대해 경고하며 Defender ATP 서비스를 통해 공격이 끼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10. 14:00

    리눅스 서버 및 IoT 기기를 봇넷에 참여시키는 새로운 악성코드

    This new malware wants to add your Linux servers and IoT devices to its botnet 새로운 형태의 악성코드가 리눅스 서버와 IoT 기기를 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위 기기를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노린 해킹 캠페인의 1단계로 추측되는 봇넷에 추가합니다. Juniper Threat Labs의 사이버보안 연구원이 발견한 이 악성 웜은 컴포넌트 코드를 저장하는데 GitHub과 Pastebin을 사용하고, 리눅스 기반 x86 서버, Linux ARM, MIPS 기반 IoT 기기를 해킹하는데 1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Gitpaste-12로 명명되었습니다. 위 12가지 방법에는 Asus, Huawei, Netlink 라우터 및 Mon..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10.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