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UHS 병원, Ryuk 랜섬웨어 공격 받아

      2020.09.29 by 알약4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XP 소스코드, 온라인에 유출된 것으로 알려져

      2020.09.28 by 알약4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Joker에 감염된 앱 17개 제거해

      2020.09.28 by 알약4

    • 이미지를 전송해 앱을 충돌시키는 인스타그램 취약점 발견

      2020.09.25 by 알약4

    • 스캐머들, AnyDesk와 SIM 바꿔치기 통해 은행 계좌 탈취해

      2020.09.25 by 알약4

    • 새로운 랜섬웨어 공격자인 OldGremlin, 커스텀 악성코드로 상위 조직 공격

      2020.09.24 by 알약4

    • 공개된 Citrix Workspace 취약점, 새로운 공격 벡터에 노출

      2020.09.23 by 알약4

    • 구글 크롬에서 브라우저를 공격에 노출시키는 취약점 발견

      2020.09.23 by 알약4

    UHS 병원, Ryuk 랜섬웨어 공격 받아

    UHS hospitals hit by reported country-wide Ryuk ransomware attack 병원 및 의료 서비스 제공 업체인 UHS(Universal Health Services)이 지난 월요일 아침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미국 전역 의료시설 시스템을 중단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UHS는 미국과 영국에서 400곳이 넘는 의료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직원 수는 9만 명 이상입니다. 또한 매년 약 350만명의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Fortune에서 선정한 500대 기업 중 하나인 UHS의 연 매출은 2019년 114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Forbes에서는 미국 최대규모 상장 기업 330위로 선정했습니다. 밤 중에 공격당해 UHS 직원들의 보고서에 따..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9. 09:00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XP 소스코드, 온라인에 유출된 것으로 알려져

    Microsoft Windows XP Source Code Reportedly Leaked Online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XP 및 윈도우 서버 2003의 소스코드가 온라인에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19년된 운영 체제의 소스코드는 토렌트 파일의 형태로 ‘4chan’ 사이트에 게시되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운영 체제의 소스코드가 대중에 유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여러 보고에 따르면 해당 토렌트 파일의 크기는 43GB이며 윈도우 서버 2003 및 다른 구버전 운영 체제의 소스코드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파일에 소스코드가 포함된 운영 체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Windows 2000 Windows CE 3 Windows CE 4 Windows CE 5 Windows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8. 14:00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Joker에 감염된 앱 17개 제거해

    Google removes 17 Joker -infected apps from the Play Store Zscaler의 보안 연구원들이 플레이스토어에서 Joker(Bread) 악성코드에 감염된 앱 17개를 발견했습니다. Joker 악성코드는 시스템 앱으로 위장하고 있었으며 공격자가 구글 플레이 프로텍트 서비스를 비활성화 하고, 악성 앱을 설치하고, 가짜 리뷰를 생성하고, 광고를 노출하는 등 다양한 악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스파이웨어는 SMS 메시지, 연락처, 기기 정보를 훔치고 유료 서비스에 가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지난 10월, 구글은 플레이스토어에서 Joker 악성코드에 감염된 앱 24개를 제거했습니다. 이 앱은 모두 472,000회 설치되었습니다. 지난 1월, 구글은 3년 동안..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8. 09:00

    이미지를 전송해 앱을 충돌시키는 인스타그램 취약점 발견

    Instagram bug allowed crashing the app via image sent to device 안드로이드와 iOS용 인스타그램 앱에서 공격자가 악용할 경우 원래 계정 주인이 앱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고 계정을 탈취하거나 모바일 기기를 스파잉할 수 있는 심각한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공격자가 취약점을 촉발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메시징 플랫폼이나 이메일을 통해 타깃에게 특수 제작된 이미지를 보내기만 하면 됩니다. 이 문제는 인스타그램이 이미지를 파싱하는 방식에 존재합니다. 인스타그램이 포스팅 옵션으로 표시하기 위해 접근이 가능할 경우 이 취약점을 통해 위험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커스텀 타사 코드 통합 이 취약점은 인스타그램이 예상한 것 보다 큰 이미지를 업로드하려 시도할 때 발생하는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5. 14:00

    스캐머들, AnyDesk와 SIM 바꿔치기 통해 은행 계좌 탈취해

    Scammers drain bank accounts using AnyDesk and SIM-swapping 스캐머들이 소셜 엔지니어링, SIM 바꿔치기,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를 통해 피해자의 은행 계좌를 탈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확인된 피해자는 최소 3명입니다. 총 피해 금액은 35만 달러입니다. 3명 모두 사기 방식과 일부 세부 사항이 일치하기 때문에 동일한 범인의 소행인 것으로 추측됩니다. 민감 정보에 원격으로 접근해 이 사기는 지난 여름 부다페스트에서 발생했으며 위치가 좋은 아파트를 시장 가격 아래로 판매한다는 미끼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가격이 저렴한 이유는 주인이 해외에 살고 있으며 급하게 돈이 필요하다는 것이며 피해자들은 이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인의 “친척”이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5. 09:00

    새로운 랜섬웨어 공격자인 OldGremlin, 커스텀 악성코드로 상위 조직 공격

    New ransomware actor OldGremlin uses custom malware to hit top orgs 새로운 랜섬웨어 그룹이 자체 제작 백도어와 파일 암호화 악성코드를 통해 대규모 기업 네트워크를 공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공격의 첫 단계와 마지막 단계에 사용됩니다. 연구원들은 코드네임 OldGremlin을 사용하는 이 그룹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캠페인은 3월 말 시작되었고, 아직까지 전 세계로는 확장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 그룹의 소행으로 보이는 공격은 아직까지 러시아에서만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로 진출하기 전 소규모 공격을 통해 그들의 툴과 기술을 미세하게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커스텀 툴과 창의적인 피싱 공격 OldGrem..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4. 09:21

    공개된 Citrix Workspace 취약점, 새로운 공격 벡터에 노출

    Known Citrix Workspace Bug Open to New Attack Vector 지난 7월 수정된 Citrix Workspace 취약점에 또 다른 공격 벡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격자는 이를 악용하여 권한을 상승시켜 시스템 계정 권한으로 원격으로 임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 (CVE-2020-8207)은 윈도우용 Citrix Workspace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업데이트 서비스에 존재합니다. Citrix의 권고문에 따르면 이 취약점은 로컬 권한 상승 및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윈도우 파일 공유(SMB)가 활성화된 경우 원격 해킹이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은 지난 여름 동안 대부분 수정되었으나 최근 공격자들이 여전히 Citrix로 서명..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3. 14:00

    구글 크롬에서 브라우저를 공격에 노출시키는 취약점 발견

    Google Chrome Bugs Open Browsers to Attack 구글의 윈도우, 맥, 리눅스용 크롬의 새 버전인 85.0.4183.121에서 보안 취약점 10개가 수정되었습니다. 구글이 크롬 브라우저에서 심각한 코드 실행 취약점 다수를 발견했습니다.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악용하기 위해서는 소셜 엔지니어링 미끼나 피싱 등을 통해 타깃이 특수 제작된 웹페이지를 방문하도록 속이기만 하면 됩니다. 구글은 심각한 취약점을 성공적으로 악용할 경우 공격자가 브라우저의 콘텍스트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구글 크롬 85.0.4183.121의 이전 버전이 모두 이 취약점에 영향을 받습니다. 구글은 화요일 발표한 보안 권고에서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애플리케이션에 부여된 권한에 따라 공..

    국내외 보안동향 2020. 9. 23.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