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Active Directory 컴포넌트를 충돌시킬 수 있는 Samba 취약점 발견

      2019.06.21 by 알약(Alyac)

    • 오라클, WebLogic 서버 웹 서비스의 치명적인 버그 수정

      2019.06.20 by 알약(Alyac)

    • Linux 및 FreeBSD에 영향을 주는 취약점 다수 발견

      2019.06.19 by 알약(Alyac)

    • 갠드크랩(GandCrab) 랜섬웨어용 무료 복호화 툴 공개돼

      2019.06.18 by 알약(Alyac)

    • AESDDoS 봇넷 구축을 위해 Docker API 악용돼

      2019.06.17 by 알약(Alyac)

    • Cisco IOS XE 소프트웨어, 심각도 높은 결점 패치

      2019.06.14 by 알약(Alyac)

    • 윈도우 서버를 다운시킬 수 있는 Bad Cert 취약점 발견

      2019.06.13 by 알약(Alyac)

    • 컴퓨터 메모리에서 민감 데이터를 탈취하는 RAMBleed 공격 발견

      2019.06.12 by 알약(Alyac)

    Active Directory 컴포넌트를 충돌시킬 수 있는 Samba 취약점 발견

    Samba Vulnerability Can Crash Active Directory Components Samba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다수의 버그로 인해 공격자들이 디렉터리, 애플리케이션 및 기타 서비스 제공을 담당하는 네트워크의 핵심 프로세스를 충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Samba Active Directory Domain Controller의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와 RPC(Remote Procedural Call) 서버 프로세스를 충돌시키는데 악용될 수 있습니다. LDAP 서버 프로세스 충돌 CVE-2019-12436으로 등록된 이슈는 Samba 4.10.5 버전을 제외한, 4.10.0 및 모든 이후 버전에..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21. 09:23

    오라클, WebLogic 서버 웹 서비스의 치명적인 버그 수정

    Oracle Fixes Critical Bug in WebLogic Server Web Services 지난 화요일 오라클은 WebLogic 서버의 특정 버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을 수정하는 패치를 발표했습니다. 이 버그는 이전 버그를 수정한 패치를 우회하며, 연구원들은 이 취약점이 실제 공격에 활발히 악용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CVE-2019-2729로 등록된 이 문제는 오라클 WebLogic 서버 웹 서비스의 XMLDecoder에 존재하는 역직렬화 문제입니다. 이는 Sodinokibi 랜섬웨어 및 가상 화폐 마이너를 확산시키는 공격에 악용된, 지난 4월 패치된 CVE-2019-2725 취약점과 연관됩니다. ※ 관련글 바로가기 ▶ 오라클 WebLogic에서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 (2..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20. 09:31

    Linux 및 FreeBSD에 영향을 주는 취약점 다수 발견

    Multiple DoS vulnerabilities affect Linux and FreeBSD 넷플릭스의 연구원이 FreeBSD와 리눅스 커널에서 서비스 거부(DoS)를 유발할 수 있는 TCP 네트워킹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넷플릭스의 보안 전문가인 Jonathan Looney는 리눅스 DoS 취약점 3개를 발견했는데, MSS(minimum segment size)와 TCP SACK(Selective Acknowledgement) 기능과 연관이 있습니다. SACK Panic으로 명명된 가장 심각한 취약점은 원격으로 DoS 상태를 유발해 취약한 시스템을 재부팅하는데 악용될 수 있습니다. 이 커널 패닉 결함은 최신 리눅스 커널에 영향을 줍니다. DoS 결점인 SACK Panic은 CVE-2019-11477..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9. 13:52

    갠드크랩(GandCrab) 랜섬웨어용 무료 복호화 툴 공개돼

    A free Decryptor tool for GandCrab Ransomware released 갠드크랩(GandCrab) 최신 변종에 감염된 피해자들에게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NoMoreRansomware가 갠드크랩 최신 버전용 무료 복호화 툴을 공개했습니다. 갠드크랩 최신 변종의 피해자들은 NoMoreRansom 웹사이트에 공개된 무료 복호화 툴을 통해 돈을 지불하지 않고도 파일을 복호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툴은 갠드크랩 버전 1, 4, 그리고 5~5.2로 암호화 된 파일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로폴은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공지했습니다. "6월 17일, 갠드크랩 랜섬웨어 패밀리의 최신 버전용 새로운 복호화 툴이 www.nomoreransom.org에 무료로 공개되었습니다. 이 툴을 이용..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8. 14:43

    AESDDoS 봇넷 구축을 위해 Docker API 악용돼

    Crooks exploit exposed Docker APIs to build AESDDoS botnet 사이버 범죄자들이 DevOps 툴인 Docker Engine 커뮤니티의 오픈소스 버전에 존재하는 잘못 구성된 API 설정을 악용하여 Docker 컨테이너에 침투하려 한 정황이 발견되었습니다. 공격자들은 해당 API 설정을 악용해 리눅스 봇인 AESDDoS를 실행하려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격자들은 포트 2375에서 인터넷에 노출된 Docker API를 활발히 스캐닝하고 있으며, AESDDoS 트로이목마를 드롭하는 악성코드를 전달하는데 사용됩니다. Trend Micro는 공격자는 특정 IP 범위에 TCP SYN 패킷을 포트 2375에 보내는 방식으로 외부 스캔을 수행하고 있으며, 2375..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7. 14:29

    Cisco IOS XE 소프트웨어, 심각도 높은 결점 패치

    Cisco IOS XE Software Receives Fix Against High-Severity Flaw Cisco가 심각도 높은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취약점을 수정하기 위해 IOS XE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을 공개했습니다. 데모 익스플로잇 코드 또한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해커가 CSRF 취약점을 악용하면 피해자가 인증이 완료된 경우, 웹 페이지나 앱에서 원치 않은 행동을 실행하도록 강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공격은 악성 링크를 통해 배포될 수 있으며, 로그인된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으로 실행됩니다. 많은 Cisco IOS XE 버전들이 영향받아 CVE-2019-1904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Cisco IOS XE 소프트웨어 구 버전들에 영향..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4. 10:37

    윈도우 서버를 다운시킬 수 있는 Bad Cert 취약점 발견

    Bad Cert Vulnerability Can Bring Down Any Windows Server 구글 보안 전문가가 Windows 8 서버 및 이후 버전의 메인 암호화 라이브러리에서 서비스 거부(DoS)를 유발할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문제는 Windows 8 및 Windows 10 버전 1703에 암호화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주요 라이브러리인 "SymCrypt"에 존재합니다. 조작된 인증서로 버그 유발 가능해 SymCrypt를 악용하는 이 취약점은 구글의 취약점 연구가인 Tavis Ormandy가 발견했습니다. 그는 특정 비트 패턴에서 "bcryptprimitives!SymCryptFdefModInvGeneric"를 사용하여 모듈러 역수를 계산할 때 연산이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3. 16:28

    컴퓨터 메모리에서 민감 데이터를 탈취하는 RAMBleed 공격 발견

    RAMBleed Attack Can Steal Sensitive Data From Computer Memory 연구원들이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여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OpenSSH 서버에서 서명 키를 추출해내는데 성공했습니다. RAMBleed라 명명된 이 공격은 Rowhammer 취약점을 기반으로 하며, ECC(error-correcting code) 기능이 있는 RAM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Rowhammer는 RAM에 저장된 정보를 격리하는 실험 연구를 통해 시작되었습니다. ※ Rowhammer 취약점이란? D 램이 점점 더 고집적화될수록 메모리 구조 상 내부 영역들 간 간섭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2. 11:03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94 195 196 197 198 199 200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