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ASUS, GIGABYTE 드라이버에서 코드 실행 취약점 발견, PoC 다수 공개 돼

      2018.12.20 by 알약(Alyac)

    • Shamoon V3 악성코드의 두 번째 샘플 발견 돼

      2018.12.19 by 알약(Alyac)

    • InsaneCrypt, Everbe 1 랜섬웨어 패밀리 복호화 툴 개발 돼

      2018.12.19 by 알약(Alyac)

    • 앱 수백만 개를 해킹 위험에 노출 시키는 SQLite의 치명적 결점 발견

      2018.12.18 by 알약(Alyac)

    • HiddenTear 랜섬웨어 복호화 툴 개발 돼

      2018.12.18 by 알약(Alyac)

    • 680만 사용자들의 사진을 타사 앱에 노출시킨 새로운 페이스북 버그 발견

      2018.12.17 by 알약(Alyac)

    • 데이터 파괴형 악성코드인 Shamoon, 두 가지 변종으로 돌아와

      2018.12.14 by 알약(Alyac)

    • 구글 플러스 API에서 버그 발견, 5,200만 사용자에게 위험 초래해

      2018.12.12 by 알약(Alyac)

    ASUS, GIGABYTE 드라이버에서 코드 실행 취약점 발견, PoC 다수 공개 돼

    ASUS, GIGABYTE Drivers Contain Code Execution Vulnerabilities - PoCs Galore ASUS 및 GIGABYTE의 드라이버 4개에서 공격자가 악용할 경우 시스템에서 권한을 상승시켜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취약점 다수가 발견 되었습니다. 5개 소프트웨어 제품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점 총 7개가 발견 되었으며, 연구원들은 각각을 위한 익스플로잇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이 취약점들 중 다수가 아직까지 패치 되지 않았습니다. ASUS의 Aura Sync 소프트웨어 (v1.07.22 및 이전 버전)는 취약한 드라이버들 중 2개를 설치했으며, 포함 된 취약점들은 로컬 코드 실행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GIGABYTE의 드라이버들은 동일 브랜드 및 자회..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2. 20. 09:40

    Shamoon V3 악성코드의 두 번째 샘플 발견 돼

    A second sample of the Shamoon V3 wiper analyzed by the experts 데이터 파괴형 악성코드인 Shamoon의 두 번째 샘플이 지난 12월 13일 네덜란드에서 바이러스 토털에 업로드 되었습니다. 지난 주, Chronicle의 보안 전문가들은 악명 높은 Shamoon 악성코드의 새로운 변종의 발견을 발표했습니다. 이 샘플은 이탈리아에서 바이러스 토털에 업로드 되었습니다. 이탈리아의 석유 서비스 회사인 사이펨(Saipem)이 사이버 공격을 받고있었던 시점이었습니다. 사이펨의 서버 300대 이상이 Shamoon에 감염 되었습니다. 그리고 보안 연구원들은 이 공격이 처음 생각했던 것 보다 더욱 규모가 큰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새로운 Shamoon 변종의 샘플을 발견..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2. 19. 15:24

    InsaneCrypt, Everbe 1 랜섬웨어 패밀리 복호화 툴 개발 돼

    How to Decrypt the InsaneCrypt or Everbe 1 Family of Ransomware InsaneCrypt 또는 Everbe 1.0 랜섬웨어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랜섬웨어 패밀리입니다. 이는 스팸 또는 RDP 해킹을 통해 배포 되는 것으로 추측 됩니다. 정확한 배포 방법은 확인 되지 않았습니다. 좋은 소식은, 이 랜섬웨어 패밀리의 변종으로 암호화 된 파일을 무료로 복호화할 수 있는 툴이 개발 되었습니다. 이 툴은 Michael Gillespie와 Maxime Meignan이 개발했습니다. 복호화 툴을 사용하기 위해서, 피해자는 암호화 된 파일과 암호화 되지 않은 동일한 파일이 필요합니다. 이는 보통 윈도우에서 제공한 샘플 사진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 지원..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2. 19. 09:26

    앱 수백만 개를 해킹 위험에 노출 시키는 SQLite의 치명적 결점 발견

    Critical SQLite Flaw Leaves Millions of Apps Vulnerable to Hackers 사이버보안 연구원들이 널리 사용 되는 SQLite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에서 수 십억 배포를 해커들에 노출 시키는 치명적인 결점을 발견했습니다. 텐센트의 Blade 보안 팀이 마젤란(Magellan)이라 명명한 이 SQLite 결점은 원격 공격자가 영향을 받는 기기에서 임의 코드나 악성 코드를 실행하고 프로그램 메모리를 누출시키거나 응용프로그램을 중단시키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SQLite는 가볍고 널리 사용되는 디스크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OS나 외부 라이브러리의 최소 지원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거의 모든 기기, 플랫폼, 프로그래밍 언어와 호환이 가능합니다. SQ..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2. 18. 17:01

    HiddenTear 랜섬웨어 복호화 툴 개발 돼

    How to Decrypt HiddenTear Ransomware with HT Brute Forcer HiddenTear 랜섬웨어 변종에 감염 되었다면, 보안 연구원인 Michael Gillespie가 개발한 프로그램인 HT Brute Forcer를 사용해 랜섬머니를 지불하지 않고도 암호화 키를 복구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HiddenTear는 소스코드 전체가 GitHub에 공개 된 랜섬웨어 패밀리의 이름입니다. 이로써 공격자들이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하고 그들만의 랜섬웨어 변종을 만들어 피해자들을 감염시킬 수 있게 됩니다. 이 소스코드의 폭넓은 가용성 덕분에, 동일한 HiddenTear 코드 베이스를 활용한 다른 이름의 여러 랜섬웨어 감염들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오리지널 코드가 복호화가 가능해졌기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2. 18. 13:44

    680만 사용자들의 사진을 타사 앱에 노출시킨 새로운 페이스북 버그 발견

    New Facebook Bug Exposed 6.8 Million Users Photos to Third-Party Apps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프로그래밍 버그로 인해, 타사 앱 1,500개가 페이스북 사용자 680만명이 게시하지 않은 사진에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페이스북은 새로운 포토 공유 시스템에서 876명의 개발자들이 사용자들의 개인 사진에 접근할 수 있었던 API 버그를 발견했다고 공지했습니다. 노출 된 이미지들은 사용자들이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나 스토리에 업로드한 이미지를 포함, 사용자들이 타임라인에 공유 하지 않은 것들이었습니다. 페이스북은 “사용자가 앱에 페이스북 사진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때, 보통 타임라인에 공유 된 사진에 대한 접근 권한만을 부여합니다. 이 버그로 인해, 개발자들..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2. 17. 08:24

    데이터 파괴형 악성코드인 Shamoon, 두 가지 변종으로 돌아와

    Shamoon Disk-Wiping Malware Re-emerges with Two New Variants 데이터 파괴형 악성코드인 Shamoon의 샘플 2개가 실제 공격에서 발견 되었습니다. 이는 Shamoon이 활동을 중지한지 약 2년만입니다. Shamoon은 2012년 사우디의 아람코(Aramco) 석유 생산 회사를 노린 공격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당시 이 악성코드는 아람코의 컴퓨터 시스템 35,000대 이상의 데이터를 삭제했습니다. 4년 후, 이는 2017년 1월까지 지속 된 동일한 지역의 민간 조직을 노린 공격에서 또 다시 발견 되었습니다. 이전 트리거 날짜가 포함 된 샘플 구글의 모회사인 Alphabet Inc.의 Chronicle 연구팀이 Bleeping Computer에 보낸 보고서에..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2. 14. 14:53

    구글 플러스 API에서 버그 발견, 5,200만 사용자에게 위험 초래해

    Bug in Google+ API Puts at Risk Privacy of over 52 Million Users 5,250만 구글 플러스 사용자의 비공개 정보가 데이터 열람 권한을 요청한 앱 개발자에게 노출 되었습니다. 해당 정보는 사용자가 비공개로 유지하도록 설정한 데이터입니다. 이 비공개 정보는 지난 11월에 6일간 노출 되었으며, 정보 제공자가 동의한 프로필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만들어진 Google + People의 API의 버그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사용자가 앱에 제공하지 않겠다고 선택한 개인 데이터를 앱이 프로필 정보에 접근하도록 허용한 프로필과 공유 되었을 경우, 이 정보도 노출 되었습니다. 구글은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 밝혀 구글은 루틴 테스팅 프로시져를 실행하던 중 이 프라이버시 침해 취..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2. 12. 10: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211 212 213 214 215 216 217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