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의료 서비스 해커들, X-Ray와 MRI 기기들 감염시켜

      2018.04.24 by 알약(Alyac)

    • 마인크래프트 사용자 50,000명, 하드 드라이브 데이터 삭제 악성코드에 감염 돼

      2018.04.24 by 알약(Alyac)

    • 4800만명의 사용자 정보가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AWS 서버에 공개돼

      2018.04.23 by 알약(Alyac)

    • RansSIRIA 랜섬웨어, 시리아 난민을 위한 기부금으로 랜섬 요구

      2018.04.20 by 알약(Alyac)

    • 홈 라우터 65,000개 이상, 봇넷과 APT의 악성 트래픽 프록싱에 악용되고 있어

      2018.04.20 by 알약(Alyac)

    • 구글 크롬, 66개의 시만텍 인증서 제거

      2018.04.19 by 알약(Alyac)

    • iOS Trustjacking 공격, 아이폰을 원격 해킹에 노출 시켜

      2018.04.19 by 알약(Alyac)

    • Oracle WebLogic WLS 핵심모듈 역직렬화 취약점(CVE-2018-2628)

      2018.04.18 by 알약(Alyac)

    의료 서비스 해커들, X-Ray와 MRI 기기들 감염시켜

    Hackers Behind Healthcare Espionage Infect X-Ray and MRI Machines 보안 연구원들이 의료 기관들 및 관련 분야를 타겟으로 기업 간첩 행위를 수행하는 새로운 해킹 그룹을 발견했습니다. “Orangeworm”이라 명명 된 이 해킹 그룹은 X-Ray, MRI 등 첨단 이미징 기기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호스팅하는 기기 및 환자가 동의 양식을 작성하는데 사용 되는 기기들에 웜 트로이 목마를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Orangeworm 해킹 그룹은 2015년 초부터 활동해왔으며 미국, 유럽, 아시아에 위치한 주요 국제 기업의 시스템들을 노려왔으며, 주로 의료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원들은 “Orangeworm은 그들이 노리는 의료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24. 14:30

    마인크래프트 사용자 50,000명, 하드 드라이브 데이터 삭제 악성코드에 감염 돼

    50,000 minecraft users infected with hard drive wiping malware 당분간 마인크래프트의 모드와 스킨을 다운로드 하지 않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최근 약 50,000명의 마인크래프트 사용자들이 하드드라이브를 재포맷하고, 타겟 시스템의 백업 데이터를 지우고 다른 중요한 파일들도 삭제해 버리는 악성코드에 감염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원들은 이 악성코드의 주요 타겟이 캐릭터의 기본 외형을 변경하기 위해 PNG 파일 형식의 “스킨”을 다운로드한 마인크래프트 사용자라고 밝혔습니다. 이 악성 “스킨”에는 악성 Powershell 스크립트가 들어있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시스템의 하드드라이브를 재포맷합니다. 또한 타겟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tourstart..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24. 10:27

    4800만명의 사용자 정보가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AWS 서버에 공개돼

    UpGuard 회사의 보안연구원은 2월 28일 데이터정보회사 LocalBlox에 저장되어 있던 4800만명의 사용자 데이터가 아마존 스토리지 S3버킷에 공개되었습니다. 이 버킷에 포함된 데이터들은 151.3GB의 압축파일이였으며, 압축해제 후에는 1.2TB에 해당하는 ndjson 파일이였습니다. 파일명인 Final_people_data_2017_5_26_48m.json으로 보았을 때, 이는 LocalBlox가 2017년 5월 27일에 백업한 백업파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공개된 데이터는 Facebook, LinkedIn 및 트위터 자료 LocalBlox는 고객정보 플랫폼으로 기업과 개인의 프로필을 검색, 결합, 검사할 수 있게 해준다고 자신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몇 주의 분석 후 UpGuard회사는 L..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23. 15:49

    RansSIRIA 랜섬웨어, 시리아 난민을 위한 기부금으로 랜섬 요구

    RansSIRIA라 불리는 새로운 랜섬웨어가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랜섬웨어는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하고 랜섬을 요구하는데, 랜섬 지불액이 시리아 난민을 구제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안내합니다. 이 랜섬웨어는 WannaPeace 랜섬웨어의 변종으로, 브라질 사용자를 공격 대상으로 합니다. MalwareHunterTeam에 따르면, 이 랜섬웨어가 실행되면 가짜 워드창이 나타나며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할 때 약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사용자 PC의 파일들을 암호화 한 후,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나는데 시리아 난민을 구제하기 위한 랜섬머니를 지불하라는 호소문의 내용입니다. 이 랜섬노트는 포르투갈어로 작성되어 있는데, 해당 내용을 영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포르투갈어 랜섬노트] [영어로 번역한 랜섬노트]..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20. 16:05

    홈 라우터 65,000개 이상, 봇넷과 APT의 악성 트래픽 프록싱에 악용되고 있어

    Over 65,000 Home Routers Are Proxying Bad Traffic for Botnets, APTs 봇넷 운영자들과 APT 그룹들이 모든 현대의 라우터들에 포함 된 UPnP 프로토콜을 악용해 악성 트래픽을 프록싱하고 자신들의 실제 위치를 숨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kamai가 지난 월요일 발행한 보고서에서는 악성 공격자들이 은밀한, 또는 불법 행위를 위해 최소 65,000개의 라우터를 악용하여 프록시 네트워크를 생성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자들, UPnP 프로토콜 악용 Akamai에 따르면, 공격자들은 로컬 Wi-Fi가 활성화 된 기기와 쉽게 상호작용하고 인터넷에 포트와 서비스를 포워딩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인 UPnP 프로토콜을 악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UPnP 프로토콜은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20. 14:20

    구글 크롬, 66개의 시만텍 인증서 제거

    이번주 화요일, 구글은 Chrome 66을 공개하였습니다. Chrome 66 에서는 62개의 결함을 패치 하였을 뿐만 아니라, 2016년 6월 1일 이전에 발급한 웹 사이트의 인증서를 더 이상 신뢰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구글이 시만텍 인증서를 신뢰하지 않겠다는 것은 이미 예견된 일입니다. (▶참고 : 구글 크롬, 더 이상 시만텍 SSL 인증서를 신뢰하지 않기로 결정) 시만텍은 오랫동안 인증서를 부적절하게 발급하였으며, 구글의 경고 이후에도 인증서에 관한 문제점을 개선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구글은 단계적으로 시만텍 인증서를 단계적으로 신뢰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번에 공개된 Chrome66에서 2016년 6월 1일 이전에 시만텍의 기존 PKI에서 발행한 웹 사이트 인증서를 삭제하였습니다. 올 가을에..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19. 17:43

    iOS Trustjacking 공격, 아이폰을 원격 해킹에 노출 시켜

    iOS Trustjacking Attack Exposes iPhones to Remote Hacking 연구원들이 아이폰 사용자들이 Mac 워크스테이션 및 랩탑 컴퓨터에 기기를 페어링하는 방식에서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Trustjacking이라 명명 된 이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전화 기기 사용자 모르게 제어권을 탈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rustjacking은 iTunes에 포함 된 “iTunes Wi-Fi 동기화”기능에 존재합니다. Mac 랩탑/워크스테이션의 주인이 새로운 아이폰을 컴퓨터에 동기화 할 때 iTunes의 설정 섹션에서 이 옵션이 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 무선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주인이 언제든지 로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이 스마트폰에 연결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기..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19. 13:53

    Oracle WebLogic WLS 핵심모듈 역직렬화 취약점(CVE-2018-2628)

    4월 18일, Oracle이 CPU(Critical Patch Update)를 진행하였는데, 이 중에는 WebLogic WLS 핵심모듈 역직렬화 취약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가 권한이 없는 상황에서 원격코드실행, 시스템 권한상승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습니다. WebLogic이란 ? WebLogic이란 Oracle회사에서 개발한 Web Application Server로, JAVAE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미들웨어입니다. 공격원리 공격자는 Weblogic 서버에서 오픈해 놓은 T3 서비스와 Socket 연결을 맺고, 공격자가 조작한 패킷을 서버 측에 보내어 역 직렬화로 명령을 실행합니다. CVE번호 CVE-2018-2628 영향받는 버전 Weblogic 10.3.6.0We..

    국내외 보안동향 2018. 4. 18. 15:54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38 239 240 241 242 243 244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