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2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0)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N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2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0)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N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구글의 연구원, 애플 아이폰의 Wi-Fi 칩을 해킹하는 PoC 익스플로잇 공개

      2017.09.28 by 알약(Alyac)

    • 루트 권한을 얻기 위해 Dirty COW 리눅스 결점을 악용한 첫 번째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발견

      2017.09.27 by 알약(Alyac)

    • 리눅스 악성코드, 해킹 된 IoT 기기들을 이용해 스팸 이메일 발송

      2017.09.27 by 알약(Alyac)

    • 랜섬웨어냐, 와이퍼냐? RedBoot, 파일들을 암호화 하고 파티션 테이블까지 수정해

      2017.09.27 by 알약(Alyac)

    • 540,000대의 차량 추적 장치의 비밀번호, 온라인에 유출 돼

      2017.09.25 by 알약(Alyac)

    • SambaBleed(CVE-2017-12163) 취약점 발견!

      2017.09.25 by 알약(Alyac)

    • 고키보드(Go Keyboard), 사용자 개인정보 탈취

      2017.09.22 by 알약(Alyac)

    • CCleaner 멀웨어, 거대 IT 기업들을 백도어에 감염 시켜

      2017.09.22 by 알약(Alyac)

    구글의 연구원, 애플 아이폰의 Wi-Fi 칩을 해킹하는 PoC 익스플로잇 공개

    Google Researcher Publishes PoC Exploit for Apple iPhone Wi-Fi Chip Hack 아이폰 사용자들은 새로이 공개 된 iOS 11로 업데이트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iOS 10 및 이전 버전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는 익스플로잇이 공개되었습니다. 구글 프로젝트 제로의 보안 연구원이 Broadcom Wi-Fi 칩을 사용하는 애플의 아이폰 및 다른 기기들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 (CVE-2017-11120)을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악용하기가 무척 쉽습니다. 이 취약점은 지난 4월 Broadcom WiFi SoC에서 발견 된 취약점과 올 여름 발견 된 BroadPwn 취약점과 유사합니다. 이 취약점들 모두 로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모..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8. 15:55

    루트 권한을 얻기 위해 Dirty COW 리눅스 결점을 악용한 첫 번째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발견

    First Android Malware Found Exploiting Dirty COW Linux Flaw to Gain Root Privileges 리눅스 커널에 영향을 미치는 Dirty COW 취약점이 공개되고 약 1년 후인 최근, 연구원들은 범죄자들이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에게 이를 악용하기 시작했다고 경고했습니다. (▶ Dirty Cow 취약점이란?) 작년 10월 공개 된 Dirty COW 취약점은 리눅스 커널 부분에 수년간 존재했으며, 활발히 악용되고 있었습니다. 이 취약점은 권한이 없는 로컬 공격자가 race condition 이슈를 통해 루트 권한을 얻어, 루트에 있는 읽기 전용 실행 파일에 접근해 원격 공격을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그리고 최근 보안연구원들은 DirtyCOW로 알려진 이..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7. 16:27

    리눅스 악성코드, 해킹 된 IoT 기기들을 이용해 스팸 이메일 발송

    Linux Trojan Using Hacked IoT Devices to Send Spam Emails 리눅스 기반의 IoT 기기들을 감염시키는 Mirai와 같은 봇넷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DDoS 공격을 실행하기 위해 설계 되었지만, 연구원들은 범죄자들이 이 봇넷을 대량 스팸 메일을 보내는데 사용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원들은 사이버 범죄자들이 그들의 온라인 익명성을 보장하는데 사용한 Linux.ProxyM이라 명명 된 리눅스 악성코드가 최근 수익을 올리기 위해 대량 이메일 발송 기능을 추가하는 업데이트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Linux.ProxyM 리눅스 악성코드는 올해 2월 처음 발견 되었으며, 감염 된 IoT 기기에서 SOCKS 프록시 서버를 운영하며 멀웨어 연구원들이 숨겨둔..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7. 13:46

    랜섬웨어냐, 와이퍼냐? RedBoot, 파일들을 암호화 하고 파티션 테이블까지 수정해

    Ransomware or Wiper? RedBoot Encrypts Files but also Modifies Partition Table 실행 될 경우 컴퓨터의 파일들을 암호화 시키고, 시스템 드라이브의 MBR을 바꿔치기 하고, 특정 방식으로 파티션 테이블을 수정하는 새로운 bootlocker 랜섬웨어가 발견 되었습니다. 이 랜섬웨어는 RedBoot이라 명명 되었습니다. 이 랜섬웨어는 MBR과 파티션 테이블을 복구시키기 위한 key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고 있어, 이 개발자가 부팅이 가능한 복호화를 제공하지 않는다 가정했을 때 이는 와이퍼 악성코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RedBoot의 암호화 프로세스 컴파일 된 AutoIT 실행파일인 RedBoot 랜섬웨어가 실행 되면, 이는 런처가 실행 된 경..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7. 11:05

    540,000대의 차량 추적 장치의 비밀번호, 온라인에 유출 돼

    Passwords For 540,000 Car Tracking Devices Leaked Online 차량 추적 장치 회사인 SVR Tracking의 로그인 크리덴셜 50만개 이상이 온라인에 유출 돼, 개인 정보와 운전자 및 사업체의 차량 세부정보가 노출 되었습니다. Kromtech Security Center는 활짝 열려있어 누구나 접근이 가능했던 잘못 설정 된 아마존 웹 서버 (AWS) S3 클라우드 스토리지 버킷이 SVR의 캐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을 발견했습니다. 훔친 차량 기록(Stolen Vehicle Records)이라는 뜻의 SVR은 고객들이 차량에 물리적 추적 장치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차량의 위치를 모니터링해, 고객이 차량을 도난 당한 경우 그들의 차량을 모니터링하고 찾아올 수 있도록 돕습..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5. 15:57

    SambaBleed(CVE-2017-12163) 취약점 발견!

    해당 취약점은 Samba SMB1에 존재하는 것으로, 쓰기 권한이 있는 Samba 계정을 갖고 있는 공격자가 원격에서 Samba 서버의 메모리 정보를 탈취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취약점 내용 SMBv1 프로토콜이 사용자 request 범위에 대해 엄격히 검사하지 않아 사용자가 이미 전송한 데이터의 크기를 초과하여 서버의 메모리 정보가 파일에 작성되도록 허용합니다. 하지만 서버 메모리 내 어떠한 정보가 유출될 지는 알 수 없습니다. 취약점 번호 CVE-2017-12163 영향받는 버전 모든 Samba 버전 패치방법 1) Samba 4.6.8, 4.5.14 및 4.4.16로 업데이트 (▶ 참고)2) SMBv2 사용smb.conf의 [global]에서 설정을 "server min protocol = SMB2..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5. 15:01

    고키보드(Go Keyboard), 사용자 개인정보 탈취

    최근 보안연구원이 고키보드(Go Keyboard) 위젯이 사용자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고키보드는 중국 개발업체인 GOMO Dev Team 이 개발한 안드로이드 키보드 앱으로, 현재 구글플레이에서 키보드 앱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GOMO Dev Team은 고키보드 뿐만 아니라 고런처, 고락커 등 다양한 고 시리즈의 앱들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고키보드가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여 원격에 있는 서버로 전송하며, 사용 금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실행가능한 위험성이 높은 코드를 내려받는 문제점도 확인되었습니다. 이번 개인정보 탈취 사실은 보안연구원들은 해당 위젯이 불필요한 트래픽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다가 발견되었습니다. 보안연구원들은 이렇게 사용자 정보을..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2. 16:46

    CCleaner 멀웨어, 거대 IT 기업들을 백도어에 감염 시켜

    CCleaner Malware Infects Big Tech Companies With Second Backdoor CCleaner의 다운로드 서버를 하이잭해 악성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배포한 해커들이 2단계 페이로드를 통해 최소 20개의 주요 글로벌 기술 기업들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주 초 CCleaner 해킹 사건(▶ 참고)이 보도 되었을 때, 연구원들은 사용자들에게 2단계 악성코드는 없었기 때문에 악성 소프트웨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버전 업데이트만 진행하면 된다고 말했었습니다. 하지만, 악성 버전의 CCleaner가 연결 된 해커의 C&C 서버를 분석해본 결과 보안 연구원들은 2단계 페이로드 (GeeSetup_x86.dll, 경량 백도어 모듈)이 로컬 도메인 명을 기반으로 특정 컴퓨..

    국내외 보안동향 2017. 9. 22. 15:42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58 259 260 261 262 263 264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