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N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Java AMF3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주의!

      2017.04.07 by 알약(Alyac)

    • 안드로이드 Chrysaor 악성앱, 수년동안 탐지되지 않아

      2017.04.06 by 알약(Alyac)

    • Windows Vista 지원 종료 예정!

      2017.04.06 by 알약(Alyac)

    • Wi-Fi를 통한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애플 기기들을 iOS 10.3.1로 업그레이드하세요

      2017.04.05 by 알약(Alyac)

    • Pwn2Own 2017에서 발견된 리눅스 커널 취약점 CVE-2017-7184 수정돼

      2017.04.04 by 알약(Alyac)

    • 모든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에서 탐지되지 않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발견

      2017.04.03 by 알약(Alyac)

    • cve-2017-2426 : 애플 iBook이 JavaScript를 이용하여 당신을 "읽는"다

      2017.03.31 by 알약(Alyac)

    • IIS 6.0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7269) 발견!

      2017.03.28 by 알약(Alyac)

    Java AMF3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주의!

    Java AMF3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주의! 최근 Java AMF3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공격자는 원격에서 스푸핑 혹은 C&C 서버 연결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AMF3 역직렬화 동작 시 임의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AMF3은 Adobe Action Message Format의 최신 버전입니다. AMF는 2001년 Flash Player6에서 처음 등장하였고, AMF3은 Flash Player9에서 처음 공개되었습니다. * 직렬화 : 객체를 메모리나 파일 중에 저장 혹은 전달하기 위하여 한개의 객체를 바이트스트림으로 전환하는 과정* 역직렬화 : 직렬화된 데이터를 다시 객체상태로 만드는 과정 취약점 개요 Java AMF3기능에 안전하지 않은 역직렬화와 XML외부 엔티티 인젝션 취약점이..

    국내외 보안동향 2017. 4. 7. 17:03

    안드로이드 Chrysaor 악성앱, 수년동안 탐지되지 않아

    안드로이드 Chrysaor 악성앱, 수년동안 탐지되지 않아Android Chrysaor spyware went undetected for years 최근 최소 3년 동안 탐지되지 않았던 악성앱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앱의 제작자는 NSO Group로 추정되며, 매우 정교한 모바일 악성앱인 Chrysaor의 안드로이드 버전입니다. 보안 연구원들은 해당 앱의 자가삭제 기능으로 인해, 앱에 대해 자세하게 분석할 수 없었습니다. Chrysaor 악성앱은 현재 30개 이하의 안드로이드 기기에 설치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Chrysaor는 주로 이스라엘, 그루지야, 터키, 멕시코, 아랍 에미레이트 등의 언론인 및 활동가들에 대한 APT 공격에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보안 연구원들은 해당 악성앱을 이스라엘의 NS..

    국내외 보안동향 2017. 4. 6. 16:54

    Windows Vista 지원 종료 예정!

    Windows Vista 지원 종료 예정! 2014년 Windows XP의 지원 종료에 뒤이어, Windows Vista도 지원을 종료할 예정입니다. Vista는 등장 초기, 호환성 문제가 있었지만 이후 Windows 7이 탄생할 수 있었던 밑거름이 된 OS임은 틀림 없습니다. Windows Vista는 미국시간으로 2017년 4월 11일, 마지막 보안패치 공개를 마지막으로 지원이 종료됩니다. 만약 당장 OS를 업그레이드 할 수 없거나, Vista를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Windows 2008 버전의 패치를 적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입니다. Vista의 서버 버전인 Windows 2008은 2020년까지 지원될 예정입니다. 몇몇 서버에서 동작하는 기능들을 제외하고는 모든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17. 4. 6. 15:24

    Wi-Fi를 통한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애플 기기들을 iOS 10.3.1로 업그레이드하세요

    Wi-Fi를 통한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애플 기기들을 iOS 10.3.1로 업그레이드하세요Update Your Apple Devices to iOS 10.3.1 to Avoid Being Hacked Over Wi-Fi 애플이 iOS 10.3을 출시하고 며칠 지나지 않아, 치명적인 취약점들을 수정하기 위한 긴급 패치 업데이트인 iOS 10.3.1을 발표했습니다. 공격자들은 이 중 한가지 취약점을 악용하여 “Wi-Fi 칩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취약점(CVE-2017-6975)는 구글의 프로젝트 제로의 Gal Beniamini가 발견했습니다. 애플은 이 취약점에 대한 기술적 세부사항을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 사용자들에..

    국내외 보안동향 2017. 4. 5. 13:17

    Pwn2Own 2017에서 발견된 리눅스 커널 취약점 CVE-2017-7184 수정돼

    Pwn2Own 2017에서 발견 된 리눅스 커널 취약점 CVE-2017-7184 수정돼Linux Kernel vulnerability CVE-2017-7184 disclosed at Pwn2Own 2017 fixed 최근 Zero Day Initiative의 Pwn2Own 2017 대회에서 해커들이 악용한 리눅스 커널 취약점이 패치되었습니다. Chaitin Security Research Lab은 지난 2017년 Pwn2Own 2017 대회에서 리눅스 커널의 취약점(CVE-2017-7184)를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리눅스 커널의 heap out-of-bound 접근 결점을 악용해 Ubuntu 데스크탑을 해킹하여 $15,000의 상금을 받았습니다. ZDI는 권고문을 통해 “이 취약점은 로컬의 공격자들이 취..

    국내외 보안동향 2017. 4. 4. 17:01

    모든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에서 탐지되지 않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발견

    모든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에서 탐지되지 않는 새로운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발견New Android Ransomware Goes Undetected by All Antivirus Programs 새로운 타입의 안드로이드 랜섬웨어가 발견되었습니다. 어떠한 백신도 이를 탐지하지 못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보안 연구원들은 러시아의 엔터테인먼트 소셜 네트워크 앱인 'OK' 라는 인기 앱에서 이 새로운 랜섬웨어를 발견했습니다. 해당 앱의 정식버전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약 5000만~1억 건의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식버전은 어떠한 악성코드도 포함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이번 랜섬웨어가 포함된 앱은 써드파티 스토어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이 랜섬웨어는 사용자가 안전하다고 느낄 ..

    국내외 보안동향 2017. 4. 3. 16:06

    cve-2017-2426 : 애플 iBook이 JavaScript를 이용하여 당신을 "읽는"다

    cve-2017-2426 : 애플 iBook이 JavaScript를 이용하여 당신을 "읽는"다This book reads you - using JavaScript 애플이 책갈피를 실행할 때, 사용자의 시스템 파일에 접근을 허용하는 보안 취약점을 공개하였습니다. El Capitan의 iBooks는 'file://origin'을 이용하여 ePub을 실행하는데, 이때 공격자가 사용자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사용자들에게 어떻게 공격하는지 알기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전자 책 중에 삽입했습니다. 해당 전자책을 실행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모두 WebSocket 컨트롤 서버에 접속하도록 조작하였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악성 명령을 하달할 수 있게 됩니다. 사용자가 전..

    국내외 보안동향 2017. 3. 31. 10:36

    IIS 6.0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7269) 발견!

    IIS 6.0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7269) 발견! MS Windows Server 2003 R2의 IIS 6.0 버전에서 제공하는 WebDAV 서비스에서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ScStoragePathFromUrl 함수에서 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을 일으켜, 공격자가 원격에서 "if:

    국내외 보안동향 2017. 3. 28. 12:03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81 282 283 284 285 286 287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