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9)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8)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5)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9)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8)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5)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WinRAR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3-40477) 주의!

      2023.08.24 by 알약4

    • 8월 패치 화요일,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포함한 87개의 취약점 수정

      2023.08.10 by 알약4

    • Apache Shiro 경로 탐색(Path Traversal) 취약점(CVE-2023-34478)주의!

      2023.07.27 by 알약4

    • 애플, 웹킷(WebKit) 임의코드실행 제로데이 취약점(CVE-2023-37450) 패치 공개

      2023.07.14 by 알약4

    • MOVEit Transfer, 새로운 취약점(CVE-2023-36934, CVE-2023-36932, CVE-2023-36933) 주의!

      2023.07.11 by 알약4

    • StackRot(CVE-2023-3269) : 리눅스(Linux) 커널 권한 상승 취약점

      2023.07.07 by 알약4

    • 보안인증 SW 매직라인(MagicLine4NX) 업데이트 권고!

      2023.06.28 by 알약4

    • MOVEit Transfer, 세번째 취약점(CVE-2023-35708) 주의!

      2023.06.19 by 알약4

    WinRAR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3-40477) 주의!

    파일 압축 프로그램인 WinRAR 윈도우 버전에서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의 유효성을 적절하게 검사하지 않아 발생하며, 공격자는 취약점을 악용하여 사용자 PC에서 원격코드실행을 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 번호 CVE_2023-40477 취약한 버전 WinRAR 6.0 이상 6.22 이하 버전 패치버전 WinRAR 6.23 이상으로 업데이트 참고 : https://www.win-rar.com/singlenewsview.html?&L=0&tx_ttnews%5Btt_news%5D=232&cHash=c5bf79590657e32554c6683296a8e8aa

    국내외 보안동향 2023. 8. 24. 16:55

    8월 패치 화요일,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포함한 87개의 취약점 수정

    Microsoft는 8월 패치 화요일에 87개의 취약점을 수정하였습니다. 87개의 취약점에는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Microsoft Office 심층 방어 업데이트(ADV230003) MS는 CVE-2023-36684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의 패치를 우회하는 것을 차단하는 심층 업데이트를 공개하였습니다. CVE-2023-36884 취약점을 이용하면 공격자가 MoTW(Mark of the Web)을 우회할 수 있도록 제작된 Microsoft Office 파일을 제작하여 보안 경고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 몰레 파일을 실행하여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합니다. .NET 및 Visual Studio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23-38180) .NET 및 Visual Studio에서 Dos 공격..

    국내외 보안동향 2023. 8. 10. 13:23

    Apache Shiro 경로 탐색(Path Traversal) 취약점(CVE-2023-34478)주의!

    자바 보안프레임워크인 Apache Shiro에서 경로탐색취약점(CVE-2023-34478)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인증을 우회하여 비밀정보, 신용카드 정보 및 개인정보 등 민감 정보 접근, 응용 프로그램 제어 등 다양한 악성 행위가 가능합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3-34478 영향받는 버전 Apache Shiro 1.12.0 미만 버전 Apache Shiro 2.0.0-alpha-3 미만 버전 패치 버전 Apache Shiro 1.12.0 이상으로 업데이트 Apache Shiro 2.0.0-alpha-3 이상으로 업데이트 참고 : https://github.com/apache/shiro 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23-34478

    국내외 보안동향 2023. 7. 27. 09:07

    애플, 웹킷(WebKit) 임의코드실행 제로데이 취약점(CVE-2023-37450) 패치 공개

    Apple이 제로데이 취약점(CVE-2023-37450) 긴급 패치를 공개하였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Apple의 WebKit 브라우저 엔진에서 발견되었으며, 공격자는 사용자로 하여금 악의적으로 제작된 콘텐츠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열도록 유도하여 임의코드 실행 권한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애플이 긴급 패치를 내놓은 만큼 다방면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기에 빠른 패치를 권해드립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3-37450 영향받는 버전 macOS Ventura 13.4.1 (a) 미만 버전 iOS 16.5.1 (a) 미만 버전 iPadOS 16.5.1 (a) 미만 버전 Safari 16.5.2 미만 버전 패치방법 macOS Ventura 13.4.1 (a) 업데이트 iOS 16.5.1 (a) 업데이트 iPadO..

    국내외 보안동향 2023. 7. 14. 16:48

    MOVEit Transfer, 새로운 취약점(CVE-2023-36934, CVE-2023-36932, CVE-2023-36933) 주의!

    6월 1일 클롭(Clop) 랜섬조직이 악용한 이래 최소 160여 개의 피해조직을 발생시키고 있는 MOVEit Transfer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 3가지가 추가로 발견되었습니다. 새롭게 발견된 취약점은 MOVEit Transfer의 데이터베이스 무단 액세스 허용 및 콘텐츠 수정을 가능하게 하는 SQL 인젝션 취약점(CVE-2023-36934, CVE-2023-36932)과 MOVEit Transfer 어플리케이션을 예기치 않게 종료시킬 수 있는 취약점(CVE-2023-36933)이며, 대다수의 MOVEit Transfer 프로그램이 영향을 받으므로 즉시 패치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3-36934 CVE-2023-36932 CVE-2023-36933 취약한 버전 MOVEit Tra..

    국내외 보안동향 2023. 7. 11. 14:36

    StackRot(CVE-2023-3269) : 리눅스(Linux) 커널 권한 상승 취약점

    리눅스 커널에서 새로운 보안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가 타깃 시스템에서 최고 권한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관련 PoC와 취약점과 관련된 세부 내용은 올해 말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3-3269 취약한 버전 Linux 6.1~6.4 버전 패치방법 Linux 6.1.37, 6.3.11, 6.4.1버전으로 업데이트

    국내외 보안동향 2023. 7. 7. 15:40

    보안인증 SW 매직라인(MagicLine4NX) 업데이트 권고!

    국가정보원은 보안인증 소프트웨어 '매직라인(MagicLine4NX)'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해킹 공격이 지속되고 있어 신속한 패치 작업이 필요하다고 권고하였습니다. 매직라인은 국가 및 공공기관 또는 금융기관 등의 홈페이지에 공동인증서 로그인 시 본인인증 목적으로 설치되는 보안 프로그램으로, 최초 설치된 이후 사용자가 별도로 업데이트나 제거하지 않을 경우 처음 설치 상태 그대로 자동 실행됩니다. 지난 3월 KISA의 드림시큐리티 MagicLine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에도 불구하고 해당 취약점의 업데이트 진행률이 더디어, 공공기관 및 민간의 피해가 이어지고 있어 즉시 해당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또는 제거하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영향받는 버전 MagicLine4NX S/W 1.0.0.26 이하 버전 업데..

    국내외 보안동향 2023. 6. 28. 18:11

    MOVEit Transfer, 세번째 취약점(CVE-2023-35708) 주의!

    MOVEit Transfer에서 세번째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권한상승 및 무단접근 취약점(CVE-2023-35708)으로, 빠른 패치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3-35708 취약한 버전 MOVEit Transfer 2023.0.x (15.0.x) MOVEit Transfer 2022.1.x (14.1.x) MOVEit Transfer 2022.0.x (14.0.x) MOVEit Transfer 2021.1.x (13.1.x) MOVEit Transfer 2021.0.x (13.0.x) MOVEit Transfer 2020.1.x (12.1) MOVEit Transfer 2020.0.x (12.0) or older MOVEit Cloud 패치방법 MOVEi..

    국내외 보안동향 2023. 6. 19. 17:25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