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 [Trojan.Android.SmsSpy]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3.01.27 by 알약5

    • 구글 키워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피싱 페이지 주의!

      2023.01.26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월 셋째주)

      2023.01.25 by 알약1

    • 북 연계 해킹 조직, 대북 관련 종사자 대상 피싱 공격 진행중!

      2023.01.20 by 알약4

    • 국내 사용자 대상으로 진행중인 LogoKit 피싱 공격 주의

      2023.01.19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월 둘째주)

      2023.01.18 by 알약1

    • 국세청 세무조사 출석요구 안내문 사칭 공격… 北 배후 추정

      2023.01.17 by 알약4

    • OneNote 파일을 이용해 유포되는 AsyncRAT 주의!

      2023.01.16 by 알약4

    [Trojan.Android.SmsSpy]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최근 택배 키워드를 활용하는 스미싱 공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살펴볼 스미싱은 공격자들이 선호했던 택배회사가 다른 회사로 바뀌었을 뿐 내용은 대동소이합니다. 동일한 택배회사를 사칭하여 공격이 진행되는 택배 스미싱들은 문자의 내용은 다르지만 URL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 앱들을 살펴보면 동일한 코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즉 동일한 공격 조직이 문자의 내용을 달리하여 동일한 악성 앱을 유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악성 앱이 수행하는 주요 악성 행위는 개인 정보 탈취와 함께 피해자의 폰으로 스미싱을 유포합니다. 즉 피해자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가해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공격자가 탈취하는 개인 정보는 다시 2차 공격에 활용됩니다. 이..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3. 1. 27. 09:00

    구글 키워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피싱 페이지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구글 키워드 검색을 통해 피싱 페이지가 노출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구글 검색 결과를 통한 피싱 페이지 노출은 저비용 고효율 해킹 공격 방식으로, 공격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공격 방식 중 하나입니다. 검색 엔진을 통해 키워드 검색 시 가장 관련성 높은 검색 결과가 최상단에 노출되며, 그렇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 역시 키워드 검색 후 최상단의 검색 결과를 클릭합니다. 공격자들은 이러한 사용자들의 심리를 악용하여 해킹을 시도합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구글 애즈(ADs) 플랫폼을 이용하면, 검색 결과창에 최상단에 노출이 가능한데, 공격자는 이 구글 애즈를 이용하여 정상 홈페이지와 매우 유사하게 제작한 피싱 페이지를 제작하여..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3. 1. 26. 15:10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월 셋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1월 15일~01월 21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93건이고 그중 악성은 35건으로 37.63%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29건 대비 35건으로 6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2건(악성 4건)에서 최대 27건(악성 9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35건 중 Attach-Malware형이 45.7%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이..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3. 1. 25. 09:14

    북 연계 해킹 조직, 대북 관련 종사자 대상 피싱 공격 진행중!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대북 관련 종사자 대상으로 진행된 피싱 공격이 발견돼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공격은 '[kakao]해외지역에서 로그인 되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카카오팀이 발송한 이메일 처럼 위장하여 발송되었습니다. 본문에는 귀하의 계정이 해외지역에서 로그인 되었습니다 라는 내용과 함께 [해외지역 로그인 차단하러 가기] 버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버튼에는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링크 클릭 시 공격자가 제작해 놓은 피싱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피싱 페이지의 경우 매우 정교하게 제작되어 있으며, 로그인 영역 뿐만 아니라 QR코드 로그인, 개인정보처리방침과 같은 다른 메뉴들도 제작해 실제 페이지 처럼 보이도록 위장하고 있습니다. QR 페..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3. 1. 20. 10:40

    국내 사용자 대상으로 진행중인 LogoKit 피싱 공격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국내 기업, 기관들의 계정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피싱 공격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공격은 기업 및 기관에 종사하는 불특정 다수에게 피싱메일을 전송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사용자의 계정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집한 정보들을 활용하여 추가 공격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피싱 메일은 "사서함 중단 알림(조치필요)"라는 제목으로 유포되었습니다. 본문은 조잡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기계번역 된것처럼 어색한 한국어로 작성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들 역시 쉽게 피싱메일임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내 암호를 유지] 버튼에는 링크가 걸려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영역을 클릭하면 피싱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3. 1. 19. 13:26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1월 둘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1월 08일~01월 14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68건이고 그중 악성은 29건으로 42.65%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17건 대비 29건으로 12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1건(악성 1건)에서 최대 20건(악성 10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29건 중 Attach-Phishing형이 62.1%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Malware..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3. 1. 18. 10:27

    국세청 세무조사 출석요구 안내문 사칭 공격… 北 배후 추정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비트코인 등 가상 자산 분야 투자자들 상대로 진행되는 사이버 공격이 포착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공격은 '[국세청] 세무조사 출석요구 안내통지문' 제목의 이메일을 통해 시도되었으며, 국세청도 1월 12일 공지사항을 통해 해킹 공격에 대한 주의를 당부한 바 있습니다. 공격자는 발신자 주소를 ‘국세청’ 으로 조작하고, 이메일 본문 역시 실제 국세청에서 발송된 안내문처럼 위장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발신자의 주소를 통하여 해킹 메일 여부를 확인하는데, 공격자가 이메일 발송 서버를 구축하거나 별도의 설정을 통해 실제 주소처럼 보이게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제 주소를 도용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발신지 주소만으로 100% 신뢰해서는 안..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3. 1. 17. 10:11

    OneNote 파일을 이용해 유포되는 AsyncRAT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OneNote 파일을 이용해 AsyncRAT이 유포되는 정황을 포착하여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이번 공격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스팸메일 내 OneNote 파일(.one)을 첨부하여 공격을 시도하였다는 점 입니다. .one 확장자는 공격자들이 즐겨 사용하지 않는 확장자로, 사용자들이 정상 파일로 인지하여 실행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one 확장자는 OneNote 파일로, 사용자 PC에 OneNote가 설치 되어 있다면 실행가능하지만 OneNote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실행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 OneNote MS에서 개발한 메모 작성 프로그램 만일 사용자가 메일에 첨부되어 있는 Invoice-***..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3. 1. 16. 16:11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15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