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03)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83)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6)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03)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83)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6)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 ESRC 3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2022.04.28 by 알약3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4월 셋째주)

      2022.04.27 by 알약1

    • "카카오톡 이용자보호조치 안내" 제목으로 유포중인 피싱 메일 주의!

      2022.04.26 by 알약4

    • Trojan.Android.Dropper.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2.04.25 by 알약5

    • ACMS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2.04.25 by 알약5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4월 둘째주)

      2022.04.19 by 알약1

    • 가상화폐 거래소를 위장하여 카카오톡 계정정보를 노리는 피싱 메일 주의!

      2022.04.15 by 알약4

    • 비너스락커 조직, 또 다시 Makop 랜섬웨어 유포중

      2022.04.14 by 알약4

    ESRC 3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3월의 주요 스미싱 공격은 여전히 택배를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택배를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 공격은 94.8%로 2월 대비 20.02% 증가했습니다. 뒤를 이어 건강검진을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 공격이 3.01%를 차지하고 있으며 2월 대비 10.56% 감소했습니다. 보이스피싱을 유도하는 내용의 스미싱 공격이 1.62%를 차지하고 있으며 2월 대비 4.99% 감소했으며, 수사기관을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은 0.47% 2월 대비 3.53% 감소하고 있습니다. 위 통계를 살펴보면 택배 키워드는 여전히 공격자들에게 매력적인 키워드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유형의 키워드를 활용하는 스미싱들은 감소세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4. 28. 15:47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4월 셋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4월 17일~04월 23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61건이고 그중 악성은 22건으로 36.07%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42건 대비 22건으로 20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2건(악성 3건)에서 최대 14건(악성 9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22건 중 Attach-Malware형이 50.0%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4. 27. 09:30

    "카카오톡 이용자보호조치 안내" 제목으로 유포중인 피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카카오 고객센터를 사칭한 피싱 메일이 또 다시 대량으로 유포중에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피싱 메일은 "[kakao] 카카오톡 이용자보호조치 안내" 제목으로 유포중이며, 실제 카카오톡 고객센터에서 보낸 이메일처럼 위장하고 있습니다. 피싱 메일에서 안내하는것 처럼 특정 키워드를 카카오톡에서 검색하면 공격자가 만들어 놓은 오픈채팅방이 검색됩니다. 만일 사용자가 해당 오픈채팅방을 공식 카카오톡 고객센터로 오인하여 대화를 시도하면, 링크를 하나 전달해 줍니다. 전달받은 링크에 접속하면, kakao 고객센터를 사칭한 페이지가 나오는데, 요구하는 개인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름, 연락처, 카카오계정 비밀번호, 이메일 만일 사용자가 공격자..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4. 26. 16:05

    Trojan.Android.Dropper.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코로나 관련 대출 문자, 쇼핑몰 결제 문자, 택배 관련 문자 등등 온갖 스미싱으로부터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를 악용하여 보안 프로그램들로 위장한 악성 앱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한 번 살펴본 폴 안티스파이부터 피싱 아이즈, 내 정보 지키미까지 여러 가지 버전이 존재합니다. 최근 공격 조직은 보이스피싱을 예방할 수 있는 앱인 시티즌 코난을 사칭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스미싱 문자들이 점점 발전하면서 보안 프로그램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스미싱 공격 조직들은 이마저도 위장하여 사용자들을 속이고 있으며 점점 정교해진 형태로 발전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식 사이트를 이용하도록 하..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4. 25. 17:58

    ACMS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2022년 3월경부터 특정 기업을 사칭한 악성 피싱메일이 다량으로 유포중에 있으며 이 분석문서를 작성하는 현재까지도 변종들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해당 악성코드는 주로 MS 워드 문서로 위장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콘텐츠 사용" 을 선택하면 VBA 매크로가 실행되어 서버에서 암호화된 페이로드를 다운로드 받아서 악성코드를 실행합니다. 악성행위의 확인을 어렵게 하기 위하여 최종 페이로드는 여러 단계의 확인을 거쳐서 실행됩니다. 해당 악성코드는 doc의 매크로를 이용하여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 한 후 시스템 정보 전송 및 명령 제어 기능과 추가 페이로드를 다운로드 합니다. 사용자의 백신 타입을 확인하여 전송하고 윈도우..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4. 25. 17:58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4월 둘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4월 10일~04월 16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94건이고 그중 악성은 39건으로 41.49%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36건 대비 39건으로 3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2건(악성 2건)에서 최대 26건(악성 13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39건 중 Attach-Phishing형이 41.0%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Malware형..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4. 19. 09:30

    가상화폐 거래소를 위장하여 카카오톡 계정정보를 노리는 피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업비트를 사칭하여 카카오톡 계정정보 유출을 시도하는 피싱 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금일 발견된 이메일은 코인 거래소 업비트를 사칭하고 있으며, "귀하의 UPBIT 계정이 정지되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유포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이메일 내용을 보면 번역기를 돌린 것 같은 어색한 한국어로 작성되어 있어 조금만 주의 깊게 살펴보면 피싱 메일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일 사용자가 실제 업비트에서 발송된 이메일로 오인하여 [계속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버튼을 누르면 실제 업비트 로그인 페이지와 매우 유사하게 제작된 피싱 페이지로 넘어가며 카카오톡 로그인을 유도합니다. 하지만, 해외 IP로 접근 시 실제 코빗 페이지로..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4. 15. 17:10

    비너스락커 조직, 또 다시 Makop 랜섬웨어 유포중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13일부터 이력서, 저작권 침해를 위장한 피싱 메일이 다수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너스락커 조직은 2017년 부터 지속적으로 국내에 랜섬웨어를 유포중인 조직으로, 유포하는 랜섬웨어의 종류는 꾸준히 변화하고 있지만, 이력서, 저작권 위반 등의 내용을 위장한 피싱 메일을 통해 유포하는 방식은 동일합니다. 지금 대량으로 유포중인 피싱 메일 역시 이력서, 저작권 침해 내용을 위장하고 있으며, 피싱 메일 내부에는 악성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첨부되어 있는 압축파일 내에는 한글, PDF 등의 파일을 위장한 랜섬웨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정상파일로 오인하여 실행 시 랜섬웨어에 감염되게 됩니다. 현재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4. 14. 14:4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15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