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0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84)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6)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0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84)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6)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 Kaseya 랜섬웨어 사태 취약점 MS 보안 패치 위장 공격 메일 주의!

      2021.07.07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6월 다섯째주)

      2021.07.06 by 알약1

    • 북한 탈륨 그룹, 구글 블로그 이용한 해킹 공격 수행

      2021.07.01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6월 넷째주)

      2021.06.29 by 알약1

    • 통일부, 통일연구원 공식 이메일 둔갑… 北 연계 탈륨 해킹 공격 주의보

      2021.06.25 by 알약4

    • 텔레그램 API를 사용한 정보 수집 피싱 메일 주의!!

      2021.06.23 by 알약1

    • 발주서로 위장한 LokiBot 악성 메일 유포중!

      2021.06.23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6월 셋째주)

      2021.06.22 by 알약1

    Kaseya 랜섬웨어 사태 취약점 MS 보안 패치 위장 공격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7월 2일, Sodinokibi(REvil) 랜섬웨어 해킹 조직이 미국 IT관리용 솔루션 제공 업체인 Kaseya의 VSA(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 소프트웨어) 서버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통해 랜섬웨어를 유포, 전 세계에서 약 1500명의 피해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틈을 타, Kaseya 랜섬웨어가 악용한 취약점 패치를 위장한 악성 메일이 유포 중에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유포되고 있는 악성 메일은 MS에서 이번 Kaseya 랜섬웨어가 악용한 취약점의 보안 패치를 위장하고 있습니다. 악성 메일에는 MS 보안 업데이트를 하라는 내용과 함께 링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포함되어 있는 URL은 Kaseya 보안 패치처럼 보이지..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7. 7. 15:41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6월 다섯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6월 27일~07월 03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13건이고 그중 악성은 48건으로 42.48%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73건 대비 48건으로 25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2건(악성 1건)에서 최대 37건(악성 19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48건 중 Attach-Phishing형이 39.6%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Malwar..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7. 6. 15:00

    북한 탈륨 그룹, 구글 블로그 이용한 해킹 공격 수행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한국 공공기관을 노린 북한 연계 해킹그룹의 공격이 계속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김수키의 구글 블로그를 활용한 해킹 시도가 급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난 28일 수행된 이번 공격은 학술대회 참가 양식처럼 위장된 MS Word 문서 파일로 마치 보안 문서처럼 암호가 설정되어 있지만, 이는 보안 프로그램의 탐지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해당 문서는 전형적인 악성 매크로 기법이 적용돼 있고, ‘콘텐츠 사용’ 버튼을 허용할 경우 악성코드가 실행됩니다. 분석에 의하면, 악성코드가 작동하면 국내 중소기업의 홈페이지(daewon3765.○○○[.]com)와 1차 통신을 시도하고, 그다음 공격자들이 구축한 특정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7. 1. 13:00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6월 넷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6월 20일~06월 26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22건이고 그중 악성은 73건으로 59.84%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61건 대비 73건으로 12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2건(악성 1건)에서 최대 46건(악성 29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73건 중 Attach-Malware형이 39.7%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6. 29. 10:00

    통일부, 통일연구원 공식 이메일 둔갑… 北 연계 탈륨 해킹 공격 주의보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탈륨’ 또는 ‘김수키’ 등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北 연계 해킹 조직 소행으로 지목된 APT(지능형지속위협) 공격이 국내에서 연이어 발견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APT 공격은 통일부를 사칭한 이메일 공격과 통일연구원을 사칭한 이메일 해킹 공격 유형 등입니다. 먼저 통일부 사칭 공격은 지난 06월 22일 수행됐고, 통일연구원을 사칭한 공격은 24일 포착됐습니다. 두 공격 모두 거의 동일한 시기에 ‘북한의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차 전원회의 분석’ 주제와 관련된 내용처럼 수신자를 현혹하는 공통점이 발견됐습니다. 특히, 수신자들이 해당 이메일을 해킹 공격으로 의심하지 않도록 각 발신지 주소를 실제 통일..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6. 25. 14:30

    텔레그램 API를 사용한 정보 수집 피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피싱 메일로 수집 한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기반 인터넷 메신저인 "텔레그램 API"로 전달하는 피싱 메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메일은 "✉ 배달되지 않은 메일이 7 개 있습니다" 라는 제목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지난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본문 내의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시키고 있습니다. 피싱 메일 본문에는 “시스템 지연으로 인해 발송되지 않은 메일이 7개 있습니다. 수정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라는 문구로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하며 링크가 클릭된 경우 계정과 패스워드를 가로채기 위한 피싱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피싱 사이트에 입력 한 사용자의 계정 및 패스워드와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추가 정보(IP주소, 국가정보, 도시,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6. 23. 18:06

    발주서로 위장한 LokiBot 악성 메일 유포중!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국내 유통 업체 발주서로 위장한 악성 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6월 22일 오후 12시 03분 경 수신된 해당 메일은 ‘00000 발주서’라는 제목을 사용해 경북 대구 소재의 기계설비 유통 업체의 발주서인 것처럼 위장하고 있으며 발신자 이메일 주소는 서울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의 도메인 주소를 활용했습니다. 이메일 하단에 발신자 주소와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데, 해당 기업의 실제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더욱 신뢰성을 높였습니다. 이메일 본문은 별도의 내용이 포함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메일 작성시 ‘중요도 높음’ 옵션을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안내 차원의 팝업 메..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6. 23. 14:20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6월 셋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6월 13일~06월 19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24건이고 그중 악성은 61건으로 49.19%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54건 대비 61건으로 7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1건(악성 1건)에서 최대 37건(악성 20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61건 중 Attach-Phishing형이 41.0%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Malware..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6. 22. 15: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15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