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다섯째주)

      2020.10.07 by 알약1

    • 비너스락커 조직, Makop 랜섬웨어 유포 중!

      2020.10.05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넷째주)

      2020.09.29 by 알약1

    • 긴급 주문 엑셀파일로 위장된 기업 표적 피싱메일 주의!!

      2020.09.24 by 알약1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셋째주)

      2020.09.23 by 알약1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둘째주)

      2020.09.16 by 알약1

    • Spyware.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0.09.16 by 알약5

    • Trojan.RezoSteal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0.09.15 by 알약5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다섯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9월 27일~10월 03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234건이고 그중 악성은 100건으로 42.74%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139건 대비 100건으로 39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6건(악성 2건)에서 최대 72건(악성 36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100건 중 Attach-Malware형이 87.0%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0. 7. 09:00

    비너스락커 조직, Makop 랜섬웨어 유포 중!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이력서로 위장한 Makop 랜섬웨어 유포 정황이 포착되어 기업 담당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림 1] Makop 랜섬웨어 이메일 본문 첨부파일은 ZIP, LZH 이중 압축으로 되어 있으며 pdf로 위장되어 있는 ‘exe’ 파일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2] pdf로 위장된 랜섬웨어 파일 이 파일은 설치 파일 NSIS로 제작되었으며 실행 시 암호화된 랜섬웨어 파일을 복호화하여 child 프로세스에 인젝션하는 형태를 가집니다. 이는 백신의 탐지로부터 우회하기 위한 행위로 보입니다. 섀도 볼륨을 삭제하기 위해 cmd.exe를 실행하여 파이프를 통해 명령을 전달합니다. [그림 3] 섀도 볼륨 삭제 명령 또한 특정 프로세스들을 종료시킵니..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0. 5. 11:37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넷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9월 20일~09월 26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258건이고 그중 악성은 69건으로 26.74%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101건 대비 69건으로 32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10건(악성 2건)에서 최대 54건(악성 20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69건 중 Attach-Malware형이 91.3%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29. 11:08

    긴급 주문 엑셀파일로 위장된 기업 표적 피싱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기업 담당자의 계정을 노리는 피싱 메일들이 발견되고 있어 기업 담당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메일은 “Urgent order”라는 제목으로 수신되었으며 긴급하게 주문을 넣었으니 첨부된 파일을 확인하라는 내용으로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하여 기업 담당자의 계정을 탈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그림1] 특정 기업 담당자 계정 탈취를 위한 피싱 공격 이메일 화면 사용자가 긴급하게 들어온 주문을 확인하기 위해 첨부 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 할 경우 계정과 패스워드를 가로채기 위한 피싱 페이지가 브라우저로 연결됩니다. [그림2] 브라우저로 동작 된 피싱 페이지 화면 사용자가 피싱 페이지에 기업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할 경우 모두 개인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24. 11:33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셋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9월 13일~09월 19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416건이고 그중 악성은 139건으로 33.41%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122건 대비 139건으로 17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27건(악성 10건)에서 최대 81건(악성 45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139건 중 Attach-Malware형이 88.5%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23. 09:00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9월 둘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9월 06일~09월 12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436건이고 그중 악성은 101건으로 23.17%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117건 대비 101건으로 16건이 감소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38건(악성 1건)에서 최대 86건(악성 26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101건 중 Attach-Malware형이 84.2%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16. 09:00

    Spyware.Android.Agent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해당 악성 앱은 사이버 검찰청 사칭 스미싱을 통해서 유포되었으며 SO 파일을 이용하여 C2를 암호화하고 숨깁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비슷한 아이콘을 이용해서 사용자를 속이며 기기 정보와 문자 메시지 관련 정보를 탈취합니다. 앱 명은 ‘App Stare’를 사용하며 아이콘은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사칭합니다. 앱 실행 시 초기화 단계에서 SO 파일을 로드하며 기기 부팅 시 재시작되도록 설정돼 있습니다. [그림] 앱 아이콘 해당 악성 앱은 사이버 검찰청을 사칭한 스미싱으로 유포됐습니다. SO 파일을 이용하여 C2를 숨기고 있으며 기기 정보와 문자 정보를 탈취합니다. 따라서, 악성 앱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백신 앱을 통한 주기적인 검..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16. 09:00

    Trojan.RezoSteal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브라우저, Messenger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Credential 정보, 암호 화폐 지갑 정보, 실행 화면, 웹캠, 클립보드 등 사용자 PC에서 정보를 유출하는 ‘RezoStealer’ 인포스틸러가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그림] 감염 PC 정보 탈취 코드 중 일부 ‘RezoStealer’는 사용자 PC에서 Credential 정보를 탈취하여 C&C로 전송하는 악성코드입니다. 특징적으로 주목할 만한 기능에는 암호화폐 지갑과 함께 PC에 연결된 USB와 바탕화면 경로에 있는 파일을 수집하는 기능이 있다. 수집하는 파일 확장자 목록에는 ‘.cs’, ‘.sln’ 등이 포함되어 있어, 애플리케이션 제작 소스가 유출될 가능..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9. 15.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74 75 76 77 78 79 80 ··· 153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