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문가 기고

    • 모바일 기기 보안의 시작, 기기 잠금

      2017.06.12 by 알약(Alyac)

    • 엔드포인트 보안의 빈틈, 통합 관리가 필요해

      2017.06.07 by 알약(Alyac)

    •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이 바라보는 IT외주인력의 위험성… 대응 방안은?

      2017.05.08 by 알약(Alyac)

    • 4차 산업혁명, 인텔리전스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2017.04.27 by 알약(Alyac)

    • 소 잃기 전에 외양간 고치기, 보안 취약점에 대응하는 몇 가지 방법

      2017.04.12 by 알약(Alyac)

    • 사물인터넷 시대, 그리고 보안… 미래에 우리는 안전한가?

      2016.10.19 by 알약(Alyac)

    • 비대면인증, '편리'와 '보안' 두 마리 토끼를 잡아라!

      2016.10.04 by 알약(Alyac)

    • 보안 취약점 신고 포상제, 버그바운티(Bug Bounty) 제도란 무엇인가?

      2016.09.08 by 알약(Alyac)

    모바일 기기 보안의 시작, 기기 잠금

    모바일 기기 보안의 시작, 기기 잠금 미래창조과학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6년 12월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수는 약 2천만(20,555,683)명, 이동전화 LTE 가입자는 약 4천 6백만(46,310,262)명이며, 무선데이터 트래픽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또는 안드로이드와 iOS로 대표되는 모바일 기기들은 휴대성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앱을 무기로 이 시대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날씨를 확인하고, 앱을 이용해서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에 맞춰 집을 나서고, 네비게이션 앱이 알려주는 길로 운전을 하고, 음악을 듣고, 동영상을 감상하고, 은행 거래를 하고, 쇼핑을 하고,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나 카카오톡으로 소통하는 모습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

    전문가 기고 2017. 6. 12. 20:13

    엔드포인트 보안의 빈틈, 통합 관리가 필요해

    일반적인 엔드포인트 영역의 사용자(End User, 이하 사용자)들은 보안에 대한 관심이 적은 편입니다. 언론 매체를 통해 위협적인 공격이나 치명적인 피해 사례를 꾸준히 보도해도, 그들 자신과는 상당히 거리가 먼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안이한 보안 의식은 엔드포인트 영역에서 미처 관리하지 못한 작은 구멍을 만들어 냅니다. 분명한 사실은, 그 작은 취약점으로 인해 전체적인 보안이 너무도 쉽게 무너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사실은 이미 여러가지 침해 사고를 통해 증명된 부분이며, 지금 이 순간에도 그러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공격자는 엔드포인트 보안의 열쇠를 노린다 엔드포인트 영역은 저마다의 강력한 자물쇠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대한 열쇠를 갖고 있습니다. 그 열쇠들이 잘 관리된다..

    전문가 기고 2017. 6. 7. 10:56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이 바라보는 IT외주인력의 위험성… 대응 방안은?

    지난 2017년 1월 19일, 금융감독원은 모 증권사에 대한 행정지도를 확정했습니다. 금융투자검사국은 위탁 대상 정보처리시스템과 관련한 보안대책, 대량의 업무 변경과 중요한 패치, 서비스 운영의 적정성 등 외주 업체의 업무를 제대로 점검하지 않고 미흡하게 관리한 것을 지적했습니다. 그리고 2017년 1월 24일, 금융보안원은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지금까지 금융사를 대상으로 종합 점검을 진행했다면, 앞으로는 주요 침해가 예상되는 금융사의 취약점을 발굴해 테마 점검을 실시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대형 침해사고의 주요 원인이었던 개발·외주용역 PC 등 금융사의 고위험 시스템과 관련된 ‘디지털 포렌식 분석’을 지원해, 침해 사고 예방 역량을 높일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금융보안원에서 언급한 대형 침..

    전문가 기고 2017. 5. 8. 11:13

    4차 산업혁명, 인텔리전스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4차 산업혁명, 인텔리전스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3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저물어 가고,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1차 산업혁명은 18세기 증기기관과 방적기의 탄생으로 인한 노동생산성의 향상이었고, 2차 혁명으로 전기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의한 대량생산 체제가 자리잡았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지금 컴퓨터와 디지털 통신, 자동화로 대표할 수 있는 3차 산업혁명 시대를 지나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 과도기에 살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성(Hyper-Connected)과 초지능성(Hyper-Intelligent)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산업입니다. 4차 산업혁명을 통해서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될 것이고, 사회는 더욱 지능화 될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 뜬구름 잡는 이야기..

    전문가 기고 2017. 4. 27. 13:02

    소 잃기 전에 외양간 고치기, 보안 취약점에 대응하는 몇 가지 방법

    소 잃기 전에 외양간 고치기, 보안 취약점에 대응하는 몇 가지 방법 “사상 최대 규모의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사건, 3.20 사이버테러, 야후 서버 해킹…”보안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 그 공격의 시발점에는 거의 항상, ‘보안 취약점’이 있었습니다. 공격자는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감염시키기 위해 다양한 보안 취약점을 찾습니다. 보안이 취약한 소프트웨어는 공격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타겟이 됩니다. 일례로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는 보안 취약점을 다수 보유하여 Angler, Magnitude, Neutrino, RIG, Nuclear Pack, Spartan 익스플로잇 키트들의 주요 타겟이 되었고, 이는 많은 피해 사례로 연결되었..

    전문가 기고 2017. 4. 12. 09:12

    사물인터넷 시대, 그리고 보안… 미래에 우리는 안전한가?

    사물인터넷 시대, 그리고 보안… 미래에 우리는 안전한가? 아침에 일어나 리모컨 하나로 집안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맞추고, 자동으로 창문을 열어 공기를 환기하고, 커피를 내리고, 자율주행차를 타고 출근하는 길… 아차, 내가 불을 다 껐나? 깜빡했던 불도 끕니다. 우리가 상상하는 사물인터넷 시대입니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시대. 그 시대가 멀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시대에 우리는 안전할까요? 가트너는 2022년까지 일반 가정에서 500개 이상의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인터넷에 연결되는 기기가 증가하는 만큼, 그에 따른 보안 위협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상당합니다. 공격자가 PC나 모바일을 통해 정보를 탈취하여 2차 공격에 활용하듯이, 가전기..

    전문가 기고 2016. 10. 19. 10:41

    비대면인증, '편리'와 '보안' 두 마리 토끼를 잡아라!

    비대면인증, '편리'와 '보안' 두 마리 토끼를 잡아라! 최근 각종 매체를 통해 ‘핀테크’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 핀테크(FinTech)란?Financial(금융) + Technology(기술)의 합성어금융과 ICT(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산업 분야 핀테크라는 용어는 사실 추상적이고 다양하게 쓰이는데, 기존 전자금융과는 다르게 봐야 합니다. 전자금융이란 인터넷 기술이 발전한 시기에 금융 서비스를 인터넷으로 옮겨온 것으로 보조적인 역할 정도로 보이지만, 핀테크는 기술을 핵심요소로 하는 금융 서비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외국 기업들이 핀테크 사업을 주도해나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몇몇 기업들이 진출하고 있..

    전문가 기고 2016. 10. 4. 15:50

    보안 취약점 신고 포상제, 버그바운티(Bug Bounty) 제도란 무엇인가?

    보안 취약점 신고 포상제, 버그바운티(Bug Bounty) 제도란 무엇인가? 버그바운티(Bug Bounty)란 보안 취약점 신고 포상제로, 이를 허락한 회사의 제품이나 사이트 등에서 보안 취약점을 발견하면 이를 해당 회사에 통보하여 포상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 기업에서는 이미 버그바운티 제도가 굉장히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누적 보상금이 수십억원에 달할 정도로 보상금에 대한 투자 또한 아끼지 않고 있는데요. 그들이 버그바운티 제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이유는 해당 제도를 통해 신고받은 취약점을 신속하게 보안 업데이트하여 피해를 미리 예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외국의 경우, 적은 포상금으로 치명적인 취약점을 발견한 사례가 다수 있습니다. 따라서 ..

    전문가 기고 2016. 9. 8. 10:2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