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43)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6)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5)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2)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43)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6)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5)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2)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이스트시큐리티, KISA와 함께 양자내성암호 시범적용 추진 협약 체결!

      2021.06.01 by 알약5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5월 넷째주)

      2021.06.01 by 알약1

    • 마이크로소프트 PatchGuard를 우회하는 새로운 공격 고안돼

      2021.06.01 by 알약4

    • 패치되지 않은 Microsoft Exchange 서버를 노리는 새로운 Epsilon Red 랜섬웨어 발견

      2021.05.31 by 알약4

    • 연구원들, 리눅스 루트킷을 확산시키는 Facefish 백도어 경고해

      2021.05.31 by 알약4

    • [스미싱] 고객님 상점에 결제하신물품 배송햇습니다 확인부탁합니다

      2021.05.28 by 알약3

    • 새로운 애플 M1 칩에 영향을 미치는 패치 불가 취약점인 M1RACLES 발견

      2021.05.28 by 알약4

    • 캐나다 포스트, 공급 업체가 랜섬웨어 공격 받은 후 데이터 유출 피해 입어

      2021.05.28 by 알약4

    이스트시큐리티, KISA와 함께 양자내성암호 시범적용 추진 협약 체결!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오늘은 이스트시큐리티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함께 'K-사이버방역추진전략'에 따라 '양자내성암호 시범적용'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는 소식 전해드립니다. 양자내성암호란(Post-Quantum Cryptography)?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쉽게 공격될 수 있는 RSA 등의 기존 공개키 암호체계를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암호기술입니다. 양자내성암호는 양자 컴퓨터를 이용해도 해독하기 어려운 안정성을 가진 반면, 크고 복잡한 키 길이로 인해 실제 ICT 서비스에 적용, 대체하기 위해서는 많은 테스트와 준비가 필요합니다. 양자 컴퓨터는 현재 IBM, 구글 등에서 활발하게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2030년 내에 양자 컴퓨터의 계산 능력으로 기존의 공개키 암호기..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21. 6. 1. 10:13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5월 넷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5월 23일~05월 29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22건이고 그중 악성은 50건으로 40.98%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37건 대비 50건으로 13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6건(악성 2건)에서 최대 33건(악성 15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50건 중 Attach-Malware형이 44.0%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

    카테고리 없음 2021. 6. 1. 09:30

    마이크로소프트 PatchGuard를 우회하는 새로운 공격 고안돼

    Experts devised a new attack to bypass Microsoft PatchGuard 일본의 연구원인 Kento Oki가 PatchGuard에서 공격자가 악용할 경우 서명되지 않은 악성코드를 윈도우 OS 커널에 로드하도록 허용하는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Kernel Patch Protection으로도 알려진 PatchGuard는 루트킷 감염을 예방하거나 커널 수준에서의 악성코드 실행을 예방하기 위해 64-비트 버전 윈도우 OS가 패치되는 것을 막을 목적으로 설계된 소프트웨어 보호 유틸리티입니다. 이 기능은 2005년 윈도우 XP 및 윈도우 서버 2003 서비스 팩 1의 x64 에디션과 함께 처음으로 도입되었습니다. Kento는 이 공격에 대한 기술적 세부 사항을 블로그에 게시했으며,..

    국내외 보안동향 2021. 6. 1. 09:00

    패치되지 않은 Microsoft Exchange 서버를 노리는 새로운 Epsilon Red 랜섬웨어 발견

    New Epsilon Red ransomware hunts unpatched Microsoft Exchange servers Microsoft Exchange 서버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 컴퓨터를 암호화하는 새로운 랜섬웨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랜섬웨어는 자신을 Epsilon Red라고 지칭합니다. Epsilon Red 랜섬웨어 공격은 암호화 단계에 도달하기 전 스크립트 12개 이상을 사용하며, 상용 원격 데스크톱 유틸리티 또한 사용합니다. 취약한 Microsoft Exchange 서버 공격 사이버 보안 회사인 Sophos의 사고대응팀에서는 지난주 한 미국 회사에 대한 공격을 조사하던 중 새로운 Epsilon Red 랜섬웨어를 발견했습니다. 연구원들은 공격자가 온-프레미스 Microsoft Ex..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31. 14:00

    연구원들, 리눅스 루트킷을 확산시키는 Facefish 백도어 경고해

    Researchers Warn of Facefish Backdoor Spreading Linux Rootkits 사이버보안 연구원들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로그인 자격 증명과 기기 정보를 훔치고 임의 명령을 실행하는 새로운 백도어를 발견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Qihoo 360 NETLAB이 발견하였으며, “Facefish”라 명명되었습니다. 연구원들은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언급했습니다. “Facefish는 드롭퍼와 루트킷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기능은 루트킷 모듈이 결정합니다. 이 모듈은 Ring 3 레이어에서 동작하며 LD_PRELOAD 기능을 통해 로드되고 ssh/sshd 프로그램 관련 기능을 후킹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자격 증명을 훔치며 일부 백도어 기능 또한 지원합니다.” NETLAB의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31. 09:00

    [스미싱] 고객님 상점에 결제하신물품 배송햇습니다 확인부탁합니다

    [5월 네 번째 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 문자내용 1 고객님 상점에 결제하신물품 배송햇습니다 확인부탁합니다 hxxp://tinyurl[.]com/xxxxxxxx 2 상점물품 배송했습니다 확인부탁합니다 hxxp://tinyurl[.]com/xxxxxxxx 3 지정된 장소에 택배가 배달되었으니 추출하시길 바랍니다 hxxp://tinyurl[.]com/xxxxxxxx 4 [Web발신]통*지*서 진단내용:xxxx.xxxx[.]club 5 [Web발신]<국민건강검진>통지서 검사내용확인:xx.xxxx[.]life 출처 : 알약M 기..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21. 5. 28. 17:29

    새로운 애플 M1 칩에 영향을 미치는 패치 불가 취약점인 M1RACLES 발견

    M1RACLES, the unpatchable bug that impacts new Apple M1 chips Asahi Linux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Hector Martin이 새로운 애플 M1 칩에서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CVE-2021-30747로 등록되었으며 'M1RACLES'로 명명되었습니다. 전문가는 회로를 재설계해야만 이 문제가 수정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취약점의 심각도가 낮은 편이며, 데이터 유출을 위한 다른 사이드 채널이 있기 때문에 이 문제로 인해 주요 보안 위험이 발생하지는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M1RACLES 취약점은 동일한 기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2개가 메모리, 소켓, 파일 또는 다른 일반적인 시스템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CPU 수준에서 비밀 채..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28. 14:00

    캐나다 포스트, 공급 업체가 랜섬웨어 공격 받은 후 데이터 유출 피해 입어

    Canada Post hit by data breach after supplier ransomware attack 캐나다 포스트(Canada Post)가 대기업 고객 44곳에 타사 서비스 제공 업체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고객의 배송 정보가 노출 되었다고 공지했습니다. 캐나다 포스트는 캐나다의 중앙 우편국으로 캐나다 시민 및 사업장 주소 1,650만 곳을 취급합니다. 어제, 캐나다 포스트는 타사 공급 업체인 Commport Communications에서 랜섬웨어 공격을 당해 공격자가 그들의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자가 접근한 데이터에는 발송인, 수취인의 연락처, 이름, 우편 주소를 포함한 대규모 소포 비즈니스 고객의 적하 목록이 포함됩니다. 이 사고는 캐나다 포스트의 기업 고..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28. 09: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210 211 212 213 214 215 216 ··· 668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