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3)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3)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N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Sodinokibi 해커들, 트럼프 정보 구매자 확보했다고 밝혀

      2020.05.20 by 알약(Alyac)

    • 수십억대의 블루투스 기기, BIAS 공격에 노출돼

      2020.05.20 by 알약(Alyac)

    • WolfRAT 악성코드, 왓츠앱 및 페이스북 메신저 노려

      2020.05.20 by 알약(Alyac)

    • EasyJet 해킹: 9백만 고객 데이터 유출돼

      2020.05.20 by 알약(Alyac)

    • 이메일 정보 노출시키는 Edison Mail iOS 취약점 발견돼

      2020.05.19 by 알약(Alyac)

    • 스캔한 문서 이미지 클릭 시 계정 탈취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되는 피싱 공격 주의!!

      2020.05.19 by 알약(Alyac)

    • Netwalker 랜섬웨어, 추적을 방지하기 위해 ‘파일리스’ 기술 사용해

      2020.05.19 by 알약(Alyac)

    • 비너스락커 조직, 이력서 위장한 Nemty 랜섬웨어 + 정보탈취 악성코드 유포 지속 주의

      2020.05.19 by 알약(Alyac)

    Sodinokibi 해커들, 트럼프 정보 구매자 확보했다고 밝혀

    REvil Ransomware found buyer for Trump data, now targeting Madonna Sodinokibi 해커 그룹이 미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문서의 구매자가 나타났으며, 가수 마돈나와 관련된 정보 경매를 준비 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다수의 유명 인사를 고객으로 보유한 로펌 GSMLaw(Grubman Shire Meiselas & Sacks) 네트워크를 해킹해 가치 있다고 판단되는 모든 자료를 탈취하고 데이터 암호화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Sodinokibi 그룹은 해당 기업과 협상 후 가장 무해하다고 판단되는 도널드 트럼프 관련 정보가 포함된 아카이브를 공개했습니다. 여기에는 160개 이상의 이메일이 포함됩니다. 또한 수집한 고객 데이터의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20. 18:00

    수십억대의 블루투스 기기, BIAS 공격에 노출돼

    Bluetooth BIAS attack threatens billions of devices 로잔 연방 공과대학 연구원들은 수십억 대의 기기를 노출시키는 블루투스 취약점(CVE-2020-10135)을 발견했습니다. "BIAS(Bluetooth Impersonation AttackS)"라 명명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가 원격 페어링 기기를 스푸핑할 수 있습니다. 카네기 멜런 대학 연구팀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암호화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블루투스 기기를 페어링할 때 링크 키를 사용해야 하는데, 기기와 물리적으로 근접한 무단 공격자는 이전에 페어링(연결된) 기기를 위조하여 링크 키 없이도 인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블루투스 위장 공격(BIAS)을 수행함으로써 페어링된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20. 15:58

    WolfRAT 악성코드, 왓츠앱 및 페이스북 메신저 노려

    WolfRAT malware targets WhatsApp, Messenger 새로운 악성코드인 “WolfRAT”이 태국 안드로이드 기기에 설치된 왓츠앱, 페이스북 메신저, 라인을 노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isco Talos 인텔리전스 팀에 따르면, WolfRAT은 최근 유출된 DenDroid 악성코드 패밀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또한 이 수정된 악성코드 버전이 예전 “Wolf Research” 이름으로 활동했으나 “LokD”로 이름을 변경한 공격자의 소행일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지난 3월, PC Risk는 LokD가 피해자 파일을 암호화하고, 이름을 변경하고 랜섬노트를 생성하는 Djvu 랜섬웨어 패밀리에 속한다고 보도했습니다. LokD는 암호화된 파일명에 “.lokd” 확장자를 붙이는 것이 특징입니..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20. 14:30

    EasyJet 해킹: 9백만 고객 데이터 유출돼

    EasyJet hacked: data breach affects 9 million customers 영국 최대 항공사인 EasyJet이 해킹 사실을 공개하며 9백만 고객의 이메일 주소와 여행 정보가 유출되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자는 일부 고객의 신용 카드 정보에까지 접근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asyJet은 금일 데이터 유출 공지를 통해 사이버 공격을 받았으며, 제3자가 무단으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자는 이 공격을 통해 9백만 고객의 이메일 주소와 여행 정보에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약 2,208명의 신용카드 정보 또한 노출되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공격자는 약 9백만 고객의 이메일 주소와 여행 정보에 접근했습니다. 영향을 받은 고객은 며칠 내 연락을 받을 것이며,..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20. 08:32

    이메일 정보 노출시키는 Edison Mail iOS 취약점 발견돼

    Edison Mail iOS Bug Exposes Emails to Strangers Edison Mail 앱의 iO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과정에서 발생한 취약점으로 인해 제3자에게 이메일이 노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유명 서드파티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Edison Mail은 iOS 취약점 익스플로잇을 통해 수천 명의 iOS 사용자의 이메일을 노출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Edison Software Inc. 기업의 Edison Mail은 애플 앱스토어의 100대 생산성 앱에 속하며 "빠르고 안전한 메일"로 유명합니다. Edison Mail에 따르면 최근 iOS 업데이트로 인해 앱에서 일시적인 버그가 발생했습니다. 해당 버그로 인해 6,480 명의 iOS Edison Mail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19. 16:04

    스캔한 문서 이미지 클릭 시 계정 탈취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되는 피싱 공격 주의!!

    안녕하세요?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문서를 스캔한 이미지를 클릭할 때, 계정 탈취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되는 피싱 공격이 다수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ESRC에서는 동일한 공격 방법을 사용하는 3개의 피싱 메일을 확인하였으며, 메일 제목이 “스캔 파일”인 메일로 분석한 내용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표 1] 스캔한 문서 이미지 클릭 시 다음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되는 피싱 메일 이번에 발견된 메일은 문서를 스캔한 이미지를 작게 보여주고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하며, 이미지를 클릭하면 아래의 피싱 사이트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림 1] 첨부파일로 보이는 이미지 [그림 2] 첨부파일로 보이는 이미지 [그림 3] 첨부파일로 보이는 이미지 또한 피싱 메일에는 HTML 파일이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5. 19. 14:46

    Netwalker 랜섬웨어, 추적을 방지하기 위해 ‘파일리스’ 기술 사용해

    Netwalker ransomware actors go fileless to make attacks untraceable 공격자들이 흔적을 남기지 않고 피해자를 Netwalker 랜섬웨어에 감염 시키기 위해 파일리스 악성코드 기술인 반사 DLL 인젝션(Reflected DLL injection)을 사용해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LL 인젝션(DLL injection) 이란? 다른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내에서 DLL을 강제로 로드시킴으로써 코드를 실행시키는 기술로 공격자는 임의적인 코드를 삽입하여 시스템 함수 후출을 후킹하거나 보통 방식으로 읽을 수 없는 패스워드 텍스트 박스의 내용을 읽을 수 있다. 반사 DLL 인젝션(Reflected DLL injection) 이란?DLL 인젝션(DLL injectio..

    국내외 보안동향 2020. 5. 19. 14:00

    비너스락커 조직, 이력서 위장한 Nemty 랜섬웨어 + 정보탈취 악성코드 유포 지속 주의

    안녕하세요?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4월 초부터 5월 중순까지 꾸준히 Nemty 랜섬웨어 시리즈를 유포중인 비너스락커 조직의 공격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4월 초에 '공정거래위원회'를 사칭하거나 혹은 '이력서'로 위장하여 Nemty 3.1 랜섬웨어를 유포했던 공격자는 5월 초부터는 '이미지 무단사용 경고' 키워드를 활용하거나 4월 초와 유사하게 '이력서'를 사칭한 Nemty Special Edition 랜섬웨어를 유포했습니다. 특히 공격자는 5월 초에는 Nemty 랜섬웨어를 유포하는 동시에 정보탈취 악성코드까지 유포를 시도했습니다. 5월 18일에도 또 다시 '이력서'를 사칭하여 지난 5월 중순과 동일하게 Nemty Special Edition을 유포중인 것이 확인되어 주의가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5. 19. 13:07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313 314 315 316 317 318 319 ··· 674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