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N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크롬, 파이어폭스, 엣지, 사파리, 2020년부터 TLS 1.0, 1.1 지원 중지할 예정이라 밝혀

      2018.10.17 by 알약(Alyac)

    • 안티 바이러스를 무력화 시키기 위해 익스플로잇 체인을 재사용하는 새로운 기술 발견

      2018.10.16 by 알약(Alyac)

    • 특정 기업의 프로젝트 파일처럼 위장한 악성 메일 유포 주의

      2018.10.15 by 알약(Alyac)

    • JET 데이터베이스 버그를 수정하는 업데이트, 완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2018.10.15 by 알약(Alyac)

    • 사용자 계정정보 입력을 유도하는 애플 아이디 피싱 메일 주의!

      2018.10.15 by 알약(Alyac)

    • [스미싱][Web발신] Celeb Date With Us 2018년10월28일 PM:01:30

      2018.10.12 by 알약(Alyac)

    • 영상 통화에 응답하는 것 만으로 왓츠앱 계정이 해킹 될 수 있어

      2018.10.11 by 알약(Alyac)

    • 2018년 3분기, 알약 랜섬웨어 공격 행위차단 건수: 332,236건!

      2018.10.11 by 알약(Alyac)

    크롬, 파이어폭스, 엣지, 사파리, 2020년부터 TLS 1.0, 1.1 지원 중지할 예정이라 밝혀

    Chrome, Firefox, Edge and Safari Plans to Disable TLS 1.0 and 1.1 in 2020 구글 크롬, 애플 사파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 파이어폭스를 포함한 모든 메이저 웹 브라우저들이 TLS 1.0 (20년 됨), TLS 1.1 (12년 됨) 통신 암호화 프로토콜에 대한 지원을 곧 종료할 것이라 밝혔습니다. 초기에 SSL(Secure Sockets Layer) 프로토콜로 개발 된 TLS(Transport Layer Security)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채널을 보호하고 암호화 하기 위해 사용하는 업데이트 된 암호화 프로토콜입니다. 현재 TLS는 1.0, 1.1, 1.2, 1.3(최신)로 총 4개 버전이 있습니다. 이들 중 구..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0. 17. 17:40

    안티 바이러스를 무력화 시키기 위해 익스플로잇 체인을 재사용하는 새로운 기술 발견

    New Technique Recycles Exploit Chain to Keep Antivirus Silent 사이버 공격자들이 새로운 악성 캠페인에서 일반적인 안티바이러스 제품에 탐지 되지 않으면서 Agent Tesla 인포스틸러를 배포하기 위해 알려진 익스플로잇 체인을 수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이버 범죄자들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취약점인 CVE-2017-0199와 CVE-2017-11882를 통해 악성 코드 패밀리 다수를 배포하기 위한 인프라를 설정했습니다. 악성코드를 유지시키기 위해 제작 돼 Cisco Talos의 분석가들에 따르면, 이 캠페인은 Agent Tesla, Loki, Gamarue 최소 3개의 페이로드를 드랍합니다. 3개 모두 정보를 훔치며, 이들 중 Loki에만 원격 접근 기능..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0. 16. 16:46

    특정 기업의 프로젝트 파일처럼 위장한 악성 메일 유포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특정 기업의 프로젝트 파일처럼 위장한 악성 메일이 국내에 유포되고 있어 주의를 당부 드립니다. ※ 관련글 보기▶ Trojan.Agent.FormBook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퍼블리셔(PUB) 파일이 첨부된 악성메일 주의▶ 사용자 정보 탈취 목적의 악성 파일이 첨부된 메일 주의▶ 계정 탈취 목적의 계약 체결 위장 악성 메일 주의 이번에 발견된 악성 메일은 ‘(기계설비, 금속구조물)PROJECT.20181012’ 라는 제목으로 메일 본문에는 ‘첨부된 파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내용으로 첨부된 파일의 실행을 유도합니다. [그림 1] 수신된 메일 메일에 첨부된 파일 ‘(기계설비,금속구조물)PROJECT.20181012.ace’ 에는 악성..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10. 15. 15:50

    JET 데이터베이스 버그를 수정하는 업데이트, 완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Microsoft Fix for Windows JET Database Bug Not Perfect, Micropatch Available Windows JET 데이터베이스 엔진이 패치 후에도 여전히 원격 코드 실행 버그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CVE-2018-8423로 등록 된 이 취약점은 9월 20일 대중에 공개 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제대로 된 업데이트를 다시 발행하기 전 까지, 사용자들은 마이크로패치를 임시로 적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임시 패치는 0Patch 플랫폼을 통해 무료로 배포 됩니다. 새로운 임시 인메모리 픽스 공개 돼 Acros Security 측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의 해결책은 완전하지 않으며 문제를 제거하기 보다는 취약점을 제한할 뿐입니다. CEO인 Mit..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0. 15. 15:31

    사용자 계정정보 입력을 유도하는 애플 아이디 피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복수의 애플 아이디 피싱 메일이 국내에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피싱 메일은 Apple Support 및 Apple Care라는 제목으로 유포되고 있으며, 워드 혹은 PDF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피싱 메일에 첨부되어 파일에는 고화질 촬영 어플이 결제되었다는 내용 혹은 의심스러운 로그인 시도가 포착되어 사용자의 계정 보호를 위해 Apple ID를 잠궈놓았다는 내용 등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첨부파일 안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퍼링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 계정 정보를 입력하는 홈페이지에 정상적으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에 아직까지 사용자들의 계정 유출 피해는 없을 것으로 추정..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10. 15. 09:51

    [스미싱][Web발신] Celeb Date With Us 2018년10월28일 PM:01:30

    [10월 둘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Web발신][CJ대한통운]주문하신물품 배송불가.도로명불일치.수정하세요 2 [Web발신] Celeb Date With Us 2018년10월28일 PM:01:30 출처 : 알약M기간 : 2018년 10월 08일 ~ 10월 12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8. 10. 12. 13:49

    영상 통화에 응답하는 것 만으로 왓츠앱 계정이 해킹 될 수 있어

    Just Answering A Video Call Could Compromise Your WhatsApp Account 왓츠앱에서 영상 통화를 받는 것 만으로 스마트폰을 해킹할 수 있다면? 구글 프로젝트 제로의 보안 연구원인 Natalie Silvanovich가 왓츠앱 메신저에서 해커들이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하는 것만으로 왓츠앱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치명적인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메모리 힙 오버플로우 문제로 사용자가 영상 통화 요청을 통해 특별히 제작한 악성 RTP 패킷을 수신할 때 트리거링 됩니다. 이로써 손상 에러가 발생하고 왓츠앱 모바일 앱이 손상 됩니다. 이 취약점은 왓츠앱의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구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10. 11. 14:30

    2018년 3분기, 알약 랜섬웨어 공격 행위차단 건수: 332,236건!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이번 3분기에는 알약을 통해 차단된 랜섬웨어 공격은 총 332,236건으로, 이를 월간, 일간 기준으로 환산 시 월평균 110,745건, 일평균 3,692건의 랜섬웨어 공격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통계는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개용 알약에서 랜섬웨어 행위기반 차단 기능을 통해 차단된 공격 횟수만 집계하였기 때문에, 패턴 기반 공격까지 포함하면 전체 공격의 수는 더욱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분기 랜섬웨어 차단 횟수는 지난 2분기 대비 약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9월에는 10만여 건의 공격 차단이 발생해 2018년 2월 다음으로 랜섬웨어 유포가 적었던 달로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3분기 랜섬웨어 유포 감소 추세는 전..

    전문가 기고 2018. 10. 11. 13:41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437 438 439 440 441 442 443 ··· 67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