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4)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0)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3)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모바일에서 PC를 감염시키는 새로운 방식의 APT 공격 주의!

      2018.07.18 by 알약(Alyac)

    • Magniber 랜섬웨어, 한국에서 다른 아시아 국가들로 확산 돼

      2018.07.17 by 알약(Alyac)

    • 해커들, ‘집중 타겟’ 아이폰 사용자들을 스파잉 하기 위해 악성 MDM 솔루션 사용 해

      2018.07.17 by 알약(Alyac)

    • 컴퓨터 느려졌을 때, 상황별 해결 방법 추천!

      2018.07.16 by 알약(Alyac)

    • 2018년 2분기, 알약 랜섬웨어 공격 행위차단 건수: 398,908건!

      2018.07.16 by 알약(Alyac)

    • GandCrab 랜섬웨어 4.0이 발견 된 지 며칠 후 4.1버전 추가로 발견 돼

      2018.07.16 by 알약(Alyac)

    • [스미싱][Web발신] 크고 깊은 사랑이 되도록 축복해주십시오. ♡2018.7.14♡

      2018.07.16 by 알약(Alyac)

    • 주문서 확인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 주의

      2018.07.16 by 알약(Alyac)

    모바일에서 PC를 감염시키는 새로운 방식의 APT 공격 주의!

    최근 중국의 보안업체인 360은, APT-C-27 조직을 추적하던 중 새로운 공격 방식을 발견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이 조직은 공격 타겟의 모바일을 감염시킨 후 모바일을 통해 사용자 PC에 RAT 공격을 진행합니다. 모바일을 통해 PC를 공격하는 첫번째 공격사례이기도 합니다. * APT-C-27(黄金鼠) APT-C-27 이란 명칭은 중국의 보안업체인 360에서 명명하였습니다. 이 공격조직은 2014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2014년 11월부터 지금까지 시리아 지역을 타겟으로 공격을 진행하는 APT 조직입니다. 공격과정 1) 모바일 악성코드는 PC의 PE형식의 RAT 공격파일인 "hmzvbs"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 모바일 악성코드는 실행된 후, 바로 PC를 타겟으로 하는 RAT 공격 파일인"hmzvbs"..

    국내외 보안동향 2018. 7. 18. 15:59

    Magniber 랜섬웨어, 한국에서 다른 아시아 국가들로 확산 돼

    Magniber Ransomware Expands From South Korea to Target Other Asian Countries 지난 9 개월동안 한국의 사용자만을 공격해온 Magniber 랜섬웨어가 타겟 범위를 확장시켜 중국어(마카오, 중국, 싱가포르) 및 말레이어(말레이시아, 브루나이)로 설정 된 PC 사용자들도 감염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변화는 7월 5일 발견 되었습니다. Magniber 랜섬웨어는 한국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의 파일만 암호화시켜 왔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사용자들이 해외 여행을 하거나 한국 IP로 프록시를 사용하며 종종 감염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과거에 보안 연구원들이 적은 수의 피해자들을 목격한 후, Magniber가 다른 국가로 확대 되었다고 잘못 경고한 사례도..

    국내외 보안동향 2018. 7. 17. 15:04

    해커들, ‘집중 타겟’ 아이폰 사용자들을 스파잉 하기 위해 악성 MDM 솔루션 사용 해

    Hackers Used Malicious MDM Solution to Spy On 'Highly Targeted' iPhone Users 보안 연구원들이 “집중 타겟” 모바일 악성코드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2015년 8월 이후 부터 활동했으며, 선택 된 인도의 아이폰 13대를 스파잉하고 있었습니다. 인도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측 되는 이 공격자는 악성 프로그램을 원격으로 제어 및 배치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 관리 프로토콜(MDM)을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직원들이 사용하는 기기들에 대한 정책을 제어 및 시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안 소프트웨어의 일종입니다. iOS 기기를 MDM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Apple Developer Enterprise Program을 ..

    국내외 보안동향 2018. 7. 17. 13:27

    컴퓨터 느려졌을 때, 상황별 해결 방법 추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거나 오랜 기간 사용하다 보면, 버벅임 등의 성능 저하를 느끼는 순간이 찾아옵니다. 컴퓨터가 느려졌을 때, 어떤 조치를 하시나요? 간단하게는 중요 데이터를 백업해둔 뒤에 PC를 포맷해서 처음의 상태로 돌리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PC가 느려지는 이유를 몇 가지로 나눠보고, 유형별로 추천하는 해결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소프트웨어 설치 후 컴퓨터가 느려진 경우 ▶ 애드웨어 의심! 새로운 프로그램을 PC에 설치한 이후 갑자기 속도가 느려졌다면 해당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사양이 내 PC의 사양보다 높거나, 구동 시 리소스를 많이 차지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삭제한 경우에도 계속 컴퓨터 속도가 느리다면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18. 7. 16. 18:08

    2018년 2분기, 알약 랜섬웨어 공격 행위차단 건수: 398,908건!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입니다. 2018년 2분기, '알약 랜섬웨어 행위기반 차단 기능'을 통해 차단된 랜섬웨어의 공격건수는 총 398,908건이었습니다. 이를 환산하면 월 평균 132,968건, 일 평균 4,384건의 공격이 발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통계는 공개용 알약에서 랜섬웨어 행위기반 차단 공격수만을 집계하였기 때문에, 패턴 기반 공격까지 포함하면 전체 공격의 수는 더욱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분기 랜섬웨어 행위기반 차단 건수는 1분기 대비 약 20%가량 급증하였으며, 특히 지난 5월은 한 달간 약 15만 건의 공격이 차단돼 2018년 상반기 중 랜섬웨어 유포가 가장 많았던 달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ESRC에서 2분기에 수집한 신변종 랜섬웨어 샘플수도 1분기와 비교해 약 1.5배가..

    전문가 기고 2018. 7. 16. 15:48

    GandCrab 랜섬웨어 4.0이 발견 된 지 며칠 후 4.1버전 추가로 발견 돼

    A few days after discovery of GandCrab ransomware ver 4.0, experts found 4.1 version GandCrab 랜섬웨어는 올해 초 처음으로 발견 되었으나 제작자들은 수 개월에 걸쳐 이 랜섬웨어를 급격히 진화시켰으며 개선했습니다. 3월을 기준으로, 이 랜섬웨어는 5만 대 이상의 시스템을 감염시켰으며, 개발자들은 랜섬머니로 $600,000을 벌어들였습니다. 며칠 전 GandCrab 랜섬웨어 4.0이 발견 된 후(▶.KRAB 확장자로 파일을 암호화하는 GandCrab 4.0 랜섬웨어 주의), 연구원들이 또 다시 새로운 버전인 4.1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다운로드 사이트로 보이는 해킹 된 웹사이트들을 통해 배포 되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인 4.1의 코드에..

    국내외 보안동향 2018. 7. 16. 15:48

    [스미싱][Web발신] 크고 깊은 사랑이 되도록 축복해주십시오. ♡2018.7.14♡

    [7월 둘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Web발신] 크고 깊은 사랑이 되도록 축복해주십시오. ♡2018.7.14♡2 [Web발신] 저희의 이 언약을 함께하시어 축복해주십시오. ♡2018.7.21♡ 출처 : 알약M기간 : 2018년 7월 7일 ~ 7월 13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8. 7. 16. 15:26

    주문서 확인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첨부된 주문서 내용을 확인해달라는 내용의 악성 메일이 국내에 유포되고 있어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이번에 발견된 메일은 견적서 제출 및 주문서를 확인해달라는 내용으로 첨부 파일 실행을 유도합니다. [그림 1] 견적 제출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 첨부 파일에는 'jpg.PO_89474973_REF-JULY.lzh', 'jpg.PO_89474973II-JULY.uue'이 있고, 압축 파일 내부에 각각 동일한 악성 행위를 수행하는 'jpg.PO_89474973II-JULY.exe' 파일이 있습니다. [그림 2] 메일에 첨부된 'jpg.PO_89474973II-JULY.uue' 압축 파일 만약 이용자가 제품 주문서로 착각하여 파일을 실행할 경우, 'R..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8. 7. 16. 11:2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455 456 457 458 459 460 461 ··· 67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