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2)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16)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3)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DROWN 취약점 공격 주의!

      2016.03.02 by 알약(Alyac)

    • 일본 주요 인프라 산업을 노린 APT 공격

      2016.03.02 by 알약(Alyac)

    • TeslaCrypt 랜섬웨어 캠페인, 미국 우편 서비스(USPS)로 위장해

      2016.02.29 by 알약(Alyac)

    • [스미싱] [CJ대한통운택배]인터파크 배달조회

      2016.02.26 by 알약(Alyac)

    • 삼성페이 중국 오픈베타 시작

      2016.02.26 by 알약(Alyac)

    • APP Store 검증을 우회할 수 있는 앱 ZergHelper 발견!

      2016.02.26 by 알약(Alyac)

    •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생성 되는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변종

      2016.02.25 by 알약(Alyac)

    • [악성코드 분석리포트] Backdoor.BlackEnergy

      2016.02.24 by 알약(Alyac)

    DROWN 취약점 공격 주의!

    DROWN 취약점 공격 주의! DROWN 취약점이란 “Decrypting RSA with Obsolete and Weakened eNcryption: 취약한 구식 암호화법을 통한 RSA 복호화”에서 따온 이름으로, SSLv2취약점을 악용한 교차 프로토콜 공격입니다. 원리 최신 서버와 클라이언트들은 TL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암호화 통신을 합니다. 하지만 많은 서버들이 여전히 SSLv2도 지원을 하며, 디폴트로 SSLv2 연결을 허용하지 않는 서버들도 관리자들이 어플리케이션을 최적화 하는 도중 의도치 않게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DROWN 공격은 SSLv2를 지원하는 것만으로도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DROWN 공격은 공격자가 특별히 제작한 악성 패킷을 서버로 ..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2. 16:23

    일본 주요 인프라 산업을 노린 APT 공격

    일본 주요 인프라 산업을 노린 APT 공격日本の主要インフラ産業に執拗なサイバー攻撃--近隣国からの可能性も 보안업체Cylance는 일본의 주요 산업 및 기관시설을 노리는 “Operation Dust Storm(모래폭풍대작전)” 의 레포트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조직은 2010년부터 공격을 시작하였으며, 지금까지 일본, 한국, 미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의 주요 산업시설을 대상으로 다양한 수법을 이용한 공격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또한 SPEAR의 최신 조사결과에 따르면, 아직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공격조직이 공격의 표적을 '일본기업 혹은 해외 기업의 일본부서'로 옮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조직들은 충분한 예산이 있고, 인재와 공격 기술 면에서 충분한 리소스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공격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

    국내외 보안동향 2016. 3. 2. 10:15

    TeslaCrypt 랜섬웨어 캠페인, 미국 우편 서비스(USPS)로 위장해

    TeslaCrypt 랜섬웨어 캠페인, 미국 우편 서비스(USPS)로 위장해TeslaCrypt Posing as USPS in Ransomware Campaign AppRiver가 TeslaCrypt 랜섬웨어 캠페인이 미국 우편 서비스(USPS)로 위장하고 있다고 주의를 당부하였습니다. TeslaCrypt는 USPS와 동일한 그래픽과 색상을 사용하여 ‘배달이 실패하였다’는 메시지와 함께 대금 영수증으로 위장한 파일을 첨부한 이메일을 보내 유저들을 속이고 zip 파일을 열어보게 만듭니다. 압축 된 zip 파일은 다운로더의 역할을 하는 악성 자바스크립트이며,파일명은 USPS_delivery_invoice.zip이며, 자바스크립트 파일은 invoice_[랜덤 스트링].js, invoice_copy_[랜덤 스트링..

    국내외 보안동향 2016. 2. 29. 09:00

    [스미싱] [CJ대한통운택배]인터파크 배달조회

    [2월 넷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 안드로이드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와 '다수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1.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민방위) 소집훈련통보서 수렁하세요2 《돌※잔※치》 초대장 보냈습니다 3 [CJ대한통운택배]인터파크 배달조회 2. 다수 문자 No.문자 내용 1 [등기 발송하였으나[전달 불가}부재 중 하였습니다(내용확인)~ 2 ▶.◀ *@.@*저희결혼합니다 꼭참석해주세요^^ 출처 : 알약 안드로이드기간 : 2016년 2월 22일 ~ 2월26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6. 2. 26. 14:10

    삼성페이 중국 오픈베타 시작

    삼성페이 중국 오픈베타 시작 24일 오후 12:00 삼성페이가 중국에서 오픈베타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2월 18일, 애플페이가 중국에서 정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일주일 후 입니다. (▶ 참고 : 2월 18일, 중국에서 Apple Pay 정식서비스 시작) 삼성페이는 tokenization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용카드 혹은 체크카드의 정보를 모바일 상에 저장해 놓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래과정에서 디지털 ID 혹은 token을 결제 단말기에 보낼 필요가 없습니다. 삼성은 2015년 8월, 국내에서 처음 서비스를 시작 한 후에, 현재는 한국과 미국에서 서비스 중에 있습니다. 중국 뿐만 아니라, 이번 분기에 포르투갈에도 삼성 페이 서비스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 Tokenization : 토큰화 기술이..

    국내외 보안동향 2016. 2. 26. 14:04

    APP Store 검증을 우회할 수 있는 앱 ZergHelper 발견!

    APP Store 검증을 우회할 수 있는 앱 ZergHelper 발견! 앱 스토어에 앱을 업로드 하고 싶다면 까다로운 검증 절차를 거쳐야만 하고, 이러한 절차 덕분에 애플 사용자들은 안전한 모바일 사용환경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보안 연구원들은 Apple의 심사를 우회할 수 있는 악성앱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앱의 이름은 “开心日常英语(HappyDaily English)”로, 현재는 앱스토에서 삭제된 상태입니다. 이 앱은 중국iOS 사용자들을 타겟으로 만들어진 복잡한 형태의 앱으로, 서드파티 마켓에도 존재하며, 이미 기업서명이 포함된 버전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연구원들은 아직 해당 앱의 악성 행위를 포착하지는 못했지만, 이미 악성앱으로 정의하였고, ZergHelper라고 ..

    국내외 보안동향 2016. 2. 26. 09:00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생성 되는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변종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생성 되는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변종Android ransomware variants created directly on mobile devices 보안연구원들이 AIDE(Android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를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개발된 이미 알려진 랜섬웨어 패밀리인 Android.Lockdroid.E의 변종을 발견하였습니다. 현재까지 이 새로운 개발 기술은 적은 수의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그룹에만 국한되어 왔지만, 모바일 기기에서 랜섬웨어를 생성하는 기능이 랜섬웨어 제작의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보입니다. 신속한 어플리케이션 개발RAD 랜섬웨어들은 RAD(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모델을 사용하여 개발됩..

    국내외 보안동향 2016. 2. 25. 09:00

    [악성코드 분석리포트] Backdoor.BlackEnergy

    Backdoor.BlackEnergy 해커들이 강력한 파괴력을 가진 멀웨어를 이용하여 우크라이나의 최소 3군대의 지역 전력기관을 감염시켜 지난 12월 23일 우크라이나의 이바노프란키우시크 지역에 정전을 일으킨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우크라이나 자원부는 조사를 통하여 이번 정전사태는 지역 에너지 공급처인 Prykarpattyaoblenergo가 사이버 공격을 당했기 때문이라고 발표하였으며, 실제로 우크라이나의 다수 전력기관들이 "BlackEnergy" 멀웨어에 감염되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BlackEnergy 멀웨어는 2007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DDoS 공격을 실행하기 위한 단순한 툴이였지만, 2년전부터 감염된 컴퓨터들을 부팅할 수 없도록 만드는 등의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습니다.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6. 2. 24. 10: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600 601 602 603 604 605 606 ··· 667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