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5)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5)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애플, 임의코드실행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42827) 패치!

      2022.10.27 by 알약4

    • ESRC 9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2022.10.27 by 알약3

    • 구글 크롬, 2023년 2월에 Windows 7,8.1에 대한 지원 중단 예정

      2022.10.26 by 알약4

    • 국립외교원 구글 설문지로 위장한 北 연계 해킹 공격 등장!

      2022.10.26 by 알약4

    • 구글 광고를 이용한 RedLine Stealer 악성코드 유포 주의!

      2022.10.25 by 알약4

    • 알약이가 알려주는 보안상식! 디페이스 공격이 무엇인가요?

      2022.10.24 by 알약5

    • 바탕화면 변경 기능을 추가한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 주의!!

      2022.10.24 by 알약1

    • [Trojan.Android.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2.10.24 by 알약5

    애플, 임의코드실행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42827) 패치!

    애플이 임의코드실행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42827)을 패치하였습니다.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iOS 및 iPadOS 커널에서 메모리 범위를 벗어난 쓰기를 통하여 커널 권한으로 디바스에서 임의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2-42827 영향받는 버전 iOS 16.1 미만 모든 버전 iPadOS 16 미만 모든 버전 패치방법 iOS 16.1 버전으로 업데이트 iPadOS 16 버전으로 업데이트 참고 : https://support.apple.com/en-us/HT213489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0. 27. 16:20

    ESRC 9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9월은 8월과 마찬가지로 건강검진 키워드를 사용하는 스미싱이 공격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택배 스미싱 공격보다 건강검진 키워드를 사용하는 공격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에 공격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건강검진을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 공격이 77.62%를 차지하고 있으며 8월 대비 27.55% 증가했습니다. 뒤를 이어 택배를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 공격은 13.89%로 8월 대비 19.63% 감소했습니다. 그리고 보이스피싱을 유도하는 내용의 스미싱 공격이 5.09%를 차지하고 있으며 8월 대비 3.04% 감소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수사기관을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이 0.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8월 대비 2.3..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0. 27. 16:13

    구글 크롬, 2023년 2월에 Windows 7,8.1에 대한 지원 중단 예정

    구글 크롬브라우저는 공지사항을 통하여 2023년 2월부터 윈도우 7과 8.1에 대한 지원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원이 중단되면 사용은 가능하지만 매월 MS에서 제공하는 보안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어 해킹당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에 사용자 여러분들께서는 안전한 인터넷 사용 환경을 위하여 보안 업데이트를 계속 받을 수 있는 Windows 10 이상으로 버전을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10. 26. 14:13

    국립외교원 구글 설문지로 위장한 北 연계 해킹 공격 등장!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2022 외교안보연구소(IFANS) 국제문제회의’ 초대장 처럼 위장한 북한 연계 해킹 공격이 발견되어 관련자 여러분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공격은 오는 11월 2일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IFANS)에서 개최가 예정되어 있는 국제문제회의 행사에 외교·안보·국방 분야 전문가를 초대하는 것처럼 위장하고 있으며, 이들로 하여금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유도하여 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공격 기법을 사용하였습니다. 국제문제회의는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의 연례 포럼으로 국내외 학계 주요인사 및 외교·안보·국방 분야별 전문가들이 다양한 논의와 전망을 모아 분석함으로써 외교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토론회입니다. 공격자는 지난 10월 21일, 외교..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0. 26. 13:05

    구글 광고를 이용한 RedLine Stealer 악성코드 유포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검색 엔진 검색 결과를 통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구글은 구글 광고 계약자들의 페이지를 검색 결과창 최상단에 노출시켜 많은 사용자들의 방문을 유도하는데, 공격자는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였습니다. ESRC에서 이번에 발견한 악성코드는 애프터버너(Afterburner)를 위장하고 있으며, 구글 검색엔진 검색결과를 통해 유포되고 있습니다. 애프터버너는 GPU 모니터링 및 오버클럭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그래픽카드 sw로 많은 게이머 및 암호화폐 채굴자들이 사용합니다. 구글 검색엔진에서 'Afterburner'를 검색하면 공식 홈페이지 보다 광고 페이지가 더 상단에 뜨는데, 검색결과 앞에 광고라고 표시되어 있긴 하지..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0. 25. 16:45

    알약이가 알려주는 보안상식! 디페이스 공격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모바일 그린라이프 알약M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이 잘 모를 수 있는 보안상식에 대해 알약이가 알려드리고자 디페이스 공격에 대한 카드뉴스를 준비했습니다. 디페이스 공격, 가벼워 보이지만 왜 위험한지 이제 조금은 알 것 같지 않으신가요? 단순히 장난을 치려다 큰 처벌을 받을 수도 있으니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언제나 사용자 여러분들의 쾌적하고 안전한 휴대기기 보안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또 다른 유익한 보안 상식으로 찾아올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22. 10. 24. 15:16

    바탕화면 변경 기능을 추가한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기능을 업데이트 한 매그니베르 랜섬웨어가 유포 중에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기존과 동일하게 해킹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msi 파일 형태로 유포 중에 있습니다. 공격자들은 'SYSTEM.Critical.Upgrade.Win10.0.16자리 랜덤 문자열' 파일명을 가진 .msi 파일을 내려주어 사용자들의 실행을 유도합니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MSI 패키지 파일 내부에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를 dll 형태로 포함하여 유포하며, 만일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업데이트 파일로 오인하여 실행하면 msi 파일 내 포함되어 있는 dll 파일이 호출되며 매그니베르 랜섬웨어가 실행됩니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가 실행되면 사용자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0. 24. 13:21

    [Trojan.Android.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최근에도 스미싱 공격은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림 1]과 같이 키워드별 발견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결과를 미끼로 유포되는 문자들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꾸준하게 수사기관을 사칭하는 문자도 발견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버전으로 바뀌어 왔습니다. 문자 내용 본인 등본상 주거지로 2회에 걸쳐 해당서류 발송을 하였으나 반송으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통신고지 해드립니다. 빠른 시일내에 상기 연락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010-****-**** *참고 서울지방검찰청을 위장한 스미싱 문자 주의! 검찰을 사칭할 때는 연락을 통해 접근하거나 이미지를 활용한 문자를 보내 접근해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통화 시 앱 설치를 유도한다면 주의 깊..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10. 24. 11: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667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