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5)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5)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스미싱] [국제발신] -결제 완료- 상품 결제금액 KRW 655,900원 정상처리 되었습니다 본인결제아닐시

      2022.08.12 by 알약3

    • CISA, Windows(CVE-2022-34713) 및 UnRAR (CVE-2022-30333) 취약점에 대해 빠른 패치 권고

      2022.08.11 by 알약4

    • 8월 패치 화요일, 'DogWalk' (CVE-2022-34713) 취약점을 포함한 121개 취약점 수정

      2022.08.10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첫째주)

      2022.08.09 by 알약1

    • 국방 관련 부처 계정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공격 주의!

      2022.08.09 by 알약4

    • Cisco VPN router RV 시리즈 취약점(CVE-2022-20842, CVE-2022-20827, CVE-2022-20841) 주의!

      2022.08.08 by 알약4

    • 북한 해커 조직, 국내 대형 포털 클라우드 서비스 사칭하여 공격 중!

      2022.08.08 by 알약4

    • Apache Hadoop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25168) 주의!

      2022.08.08 by 알약4

    [스미싱] [국제발신] -결제 완료- 상품 결제금액 KRW 655,900원 정상처리 되었습니다 본인결제아닐시

    [8월 두 번째 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 문자내용 1 [국제발신] -결제 완료- 상품 결제금액 KRW 655,900원 정상처리 되었습니다 본인결제아닐시 070-xxxx-xxxx 2 [국제발신] (주)아마존 코리아 OOO님 U.S.D 363.03해외승인 결제문의 한국소비자원:050-xxxx-xxxx 3 [대한통.운] 송장번호(5901******92)”주” 소불일치로 물품.보.관중입니다: bit[.]ly/xxxxxxx 부탁드립니. 4 대한통운, 고객 배송 실패 주소 오류 반송 처리 즉시 처리: hxxps://bit[.]ly/..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22. 8. 12. 17:17

    CISA, Windows(CVE-2022-34713) 및 UnRAR (CVE-2022-30333) 취약점에 대해 빠른 패치 권고

    미국 사이버 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이 Windows(CVE-2022-34713) 및 UnRAR (CVE-2022-30333) 취약점을 알려진 악용된 취약점(Known Exploited Vulnerabilities)에 추가하였습니다. CVE-2022-34713 CVE-2022-34713 취약점은 DogWalk로 알려진 취약점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진단 도구(MSDT)에 존재하는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입니다. 해당 취약점은 MS 8월 정기 업데이트때 패치가 공개되었습니다. CVE-2022-30333 CVE-2022-30333 취약점은 Linux 및 Unix 시스템용 UnRAR에 존재하는 유틸리티 경로 탐색 버그로, 공격자가 압축 해제 작업 중 파일을 쓸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공격자들은 해당 취약..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11. 11:00

    8월 패치 화요일, 'DogWalk' (CVE-2022-34713) 취약점을 포함한 121개 취약점 수정

    Microsoft는 8월 패치 화요일에 121개의 취약점을 수정하였습니다. 여기에는 'DogWalk' 제로데이(CVE-2022-34713) 취약점을 포함한 2개의 제로데이 취약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수정된 DogWalk로 알려진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진단 도구(MSDT)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34713)은 2020년 1월 처음 발견되었지만, MS는 보안이슈가 아니라는 이유로 수정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후 발견된 MS 지원진단도구(MSDT)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Follina(CVE-2022-30190)가 DogWalk 취약점의 변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번 8월 정기 업데이트에서 패치를 공개하였습니다. DogWalk 취약점은 현재 공격자들에 의해 활발히 악용중으로 빠른 패치가 필요합..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10. 15:54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8월 첫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7월 31일~08월 06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84건이고 그중 악성은 35건으로 41.67%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27건 대비 35건으로 8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1건(악성 1건)에서 최대 19건(악성 8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35건 중 Attach-Malware형이 42.9%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이..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8. 9. 14:03

    국방 관련 부처 계정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공격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서버 관리자를 사칭하여 계정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공격이 발견되어 관련자 여러분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공격은 국방 관련 부처를 타깃으로 진행되었으며, 마치 서버에서 알림으로 발송된 것처럼 위장하였습니다. 해당 메일은 국방 관련 부처 직원들을 대상으로 발송되었으며, [보류 중인 메세지를 받은 편지함으로 해제] 링크를 클릭하면 계정정보를 입력하는 피싱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피싱 페이지의 경우, 계정입력란 상단에 이미지 해상도가 맞지 않아 깨져보이며 '기억하다 나'와 같은 어색한 문구가 포함되어 있어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피싱이라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 사용자의 경우 이러한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8. 9. 10:30

    Cisco VPN router RV 시리즈 취약점(CVE-2022-20842, CVE-2022-20827, CVE-2022-20841) 주의!

    Cisco Small Business RV160, RV260, RV340 및 RV345 시리즈 라우터에서 여러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들을 악용하면 공격자가 원격에서 임의코드실행이 가능하거나 서비스 거부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 내용 Cisco Small Business RV 시리즈 라우터 원격 코드 실행 및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22-20842) Cisco RV340, RV340W, RV345 및 RV345P 듀얼 WAN 기가비트 VPN 라우터의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으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가 원격에서 임의코드실행이 가능하거나 예기치않게 다시 시작되어 서비스 거부(DOS)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isco Small Business RV 시..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8. 15:55

    북한 해커 조직, 국내 대형 포털 클라우드 서비스 사칭하여 공격 중!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국내 대형 포털사의 클라우드 공유 초대 서비스를 위장한 북 연계해킹 공격이 잇따라 포착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공격대상은 주로 대북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 및 기자들로, 이 대상들에게 실제 서비스를 사칭한 피싱 메일 형태로 공격이 진행중입니다. 지난 토요일에 수행된 공격은 마치 ‘북핵개발 역사와 북미관계 발전전망’ 파일을 공유한 것처럼 위장했는데, 클라우드 공유 초대자가 과거 정부 때 국가정보원 해외·북한 담당 1차장을 지냈던 인물의 이름을 사칭하여 전달한 것이 특징입니다. 해킹 공격 메일의 본문에는 공유 초대 수락 버튼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북한 8차 당대회의 전략노선 및 대남정책 변화 전망을 1건 보내드..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8. 8. 13:35

    Apache Hadoop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22-25168) 주의!

    Apache Hadoop의 FileUtil.unTar API가 shell을 전달하기 전 입력된 파일 이름에 대해 이스케이프 하지 않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공격자에게 임의명령을 인젝션 할 수 있으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합니다. 영향받는 버전 Apache Hadoop 2.0.0이상 2.10.1 이하 버전 Apache Hadoop 3.0.0-alpha 이상 3.2.3 이하 버전 Apache Hadoop 3.3.0 이상 3.3.2 이하 버전 패치방법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Apache Hadoop 2.10.2 Apache Hadoop 3.2.4 Apache Hadoop 3.3.3 참고 : https://cve.mitre.org/cgi-bin/cvename.cgi?name=CVE-2022-25168

    국내외 보안동향 2022. 8. 8. 09:4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80 81 82 83 84 85 86 ··· 667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