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3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51) N
        • 알약人 이야기 (66)
      • 국내외 보안동향 (2788)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6) N
      • 전문가 기고 (128)
      • 보안툰 (27)
      • 이벤트 (48)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04)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591)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BlackCat 랜섬웨어, 패치되지 않은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 노려

      2022.06.17 by 알약4

    • Blue Mockingbird조직, 3년된 Telerik 취약점을 악용하여 Cobalt Strike 배포

      2022.06.16 by 알약4

    • Hertzbleed 사이드채널 공격(CVE-2022-23823, CVE-2022-24436) 발견, 원격에서 암호화 키 탈취 가능

      2022.06.16 by 알약4

    • Citrix ADM에서 관리자 패스워드를 리셋 가능한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2022.06.16 by 알약4

    • Cisco 시큐어 이메일 취약점, 인증 우회 허용해

      2022.06.16 by 알약4

    • SeaFlower 캠페인, 시드 문구 훔치기 위해 백도어가 포함된 Web3 지갑 배포해

      2022.06.15 by 알약4

    • 6월 패치 화요일, Follina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30190) 수정

      2022.06.15 by 알약4

    • 6·15 남북공동선언기념 통일정책포럼 발제문으로 위장한 北 연계 해킹 주의

      2022.06.15 by 알약4

    BlackCat 랜섬웨어, 패치되지 않은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 노려

    BlackCat Ransomware affiliates target unpatched Microsoft Exchange servers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원들이 BlackCat 랜섬웨어가 패치되지 않은 익스체인지 서버를 공격해 전 세계의 조직을 해킹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자는 익스체인지 서버를 해킹해 타깃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내부 정찰 및 측면 이동 활동을 수행하고 암호화하기 전에 민감한 문서를 훔칠 수 있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보통 원격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및 훔친 크리덴셜을 진입 벡터로 사용하지만, 이 공격자는 익스체인지 서버 내 취약점을 악용하여 대상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적어도 두 알려진 파트너인 DEV-0237(이전에 Ryuk..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7. 09:00

    Blue Mockingbird조직, 3년된 Telerik 취약점을 악용하여 Cobalt Strike 배포

    Hackers exploit three-year-old Telerik flaws to deploy Cobalt Strike Blue Mockingbird로 알려진 조직이 Telerik UI 취약점을 악용하여 Cobalt Strike를 설치하고 시스템 리소스를 하이재킹을 하여 암호화폐 Monero를 채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공격자가 악용한 취약점은 CVE-2019-18935로, ASP.NET AJAX용 Telerik UI 라이브러리에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으로, 2020년 5월, Telerik UI를 사용하는 취약한 Microsoft IIS 서버를 대상으로 공격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이 후 곧이어, 벤더에서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하였습니다. 하지만 보안 업데이트가 제공된지 1년이 지났지만, Bl..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6. 14:51

    Hertzbleed 사이드채널 공격(CVE-2022-23823, CVE-2022-24436) 발견, 원격에서 암호화 키 탈취 가능

    Hertzbleed Side-Channel Attack allows to remotely steal encryption keys from AMD and Intel chips Intel 및 AMD 프로세서에서 새로운 보안취약점인 Hertzbleed가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공격자는 원격에서 사이드 채널 공격을 통해 암호화 키를 탈취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Hertzbleed라 명명된 취약점은 DVFS(dynamic voltage and frequency scaling)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DVFS는 전력 소비 및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CPU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를 사용하고 활동이 적은 시간동안 배터리 전원을 끄거나 전압을 강제적으로 낮춰 발열을 줄이는 기능입니..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6. 10:28

    Citrix ADM에서 관리자 패스워드를 리셋 가능한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A critical flaw in Citrix Application Delivery Management allows resetting admin passwords Citrix가 악용할 경우 관리자 패스워드를 리셋 가능한 Citrix ADM(Application Delivery Management)의 치명적인 취약점인 CVE-2022-27511을 수정했습니다. Citrix ADM은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자동화, 오케스트레이션, 관리, 분석 등에 사용하는 포괄적인 플랫폼입니다. 이 취약점은 Code White의 보안 연구원인 Florian Hauser가 제보한 부적절한 액세스 제어 이슈입니다. Citrix는 권고를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인증되지 않은 원격 사용..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6. 09:00

    Cisco 시큐어 이메일 취약점, 인증 우회 허용해

    Cisco Secure Email bug can let attackers bypass authentication Cisco가 공격자가 인증을 우회하고 디폴트 구성이 아닌 상태에서 Cisco 이메일 게이트웨이 어플라이언스의 웹 관리 인터페이스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치명적인 취약점을 패치할 것을 공지했습니다. 이 보안 취약점(CVE-2022-20798)은 가상 및 하드웨어 Cisco ESA(Email Security Appliance) 및 Cisco Secure Email, Web Manager 어플라이언스의 외부 인증 기능에서 발견되었습니다. CVE-2022-20798은 외부 인증을 위해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를 사용한 취약한 기기에 시행되는..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6. 09:00

    SeaFlower 캠페인, 시드 문구 훔치기 위해 백도어가 포함된 Web3 지갑 배포해

    SeaFlower campaign distributes backdoored versions of Web3 wallets to steal seed phrases Confiant의 연구원들이 Web3 지갑 사용자를 노리는 정교한 악성코드 캠페인인 SeaFlower를 발견했습니다. 중국의 공격자는 iOS 및 안드로이드 Web3 지갑의 백도어가 포함된 버전을 배포해 사용자의 시드 문구를 훔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eaFlower는 원래 지갑의 기능을 포함하지만 시드 문구를 추출하는 코드를 추가했습니다. 공격자는 아래 web3 지갑을 타깃으로 삼았습니다. Coinbase Wallet (iOS, 안드로이드) MetaMask wallet (iOS, 안드로이드) TokenPocket (iOS, 안드로이드) i..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5. 14:00

    6월 패치 화요일, Follina 제로데이 취약점(CVE-2022-30190) 수정

    Microsoft는 6월 패치 화요일, Follina 제로데이가 포함된 55개의 취약점을 수정하였습니다. 이번에 수정된 55개의 취약점 중에는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한 '위험'으로 분류된 3개의 취약점이 포함되어 있으며, 5월 말 공개된 제로데이 취약점인 Follina(CVE02022-30190)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심각한 취약점으로 분류된 3개의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dow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원격코드실행(RCE) 취약점 (CVE-2022-30136) 해당 취약점은 인증되지 않고 특수하게 조작된 NFS(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서비스를 호출하여 원격코드실행(RCE)을 허용합니다. Windows Hyper-V 원격코드실행(RCE)취약점 (CVE-2022-30163) 해당 취약점은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6. 15. 13:50

    6·15 남북공동선언기념 통일정책포럼 발제문으로 위장한 北 연계 해킹 주의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6·15 남북공동선언 22주년 통일정책포럼 발제문처럼 위장한 해킹 공격이 발견돼 관계자 여러분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이번 공격은 새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방향을 진단하고 남북 평화를 모색하기 위해 준비된 통일정책포럼 관련 내용처럼 위장하고 있습니다. 공격자는 전형적인 이메일 피싱 수법을 활용하여 ‘동북아 신 지정학과 한국의 옵션.hwp’ 문서가 클라우드 첨부파일로 있는 것처럼 화면을 구성했고, 실제 포럼 행사에 발표자로 참석하는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교수가 보낸 것처럼 사칭했습니다. 해당 포럼은 실제로 6월 1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되며, 외교·안보·통일 및 대북 분야 전문가들이 발표 및 토론자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만약 수신자가 해당 첨부파..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6. 15. 10:3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88 89 90 91 92 93 94 ··· 668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