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0)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0)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0)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0)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이중 확장자로 위장한 AsyncRAT 유포 중!

      2020.11.30 by 알약2

    • 산업 자동화 시스템에서 원격 해킹을 허용하는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2020.11.30 by 알약4

    • 디지털 서명된 Bandook 악성코드, 다양한 산업 분야 노려

      2020.11.30 by 알약4

    • [스미싱] 상품 택배보냈습니다 확인부탁합·니다

      2020.11.27 by 알약3

    • Sophos, 잘못된 데이터베이스 구성으로 데이터 유출 발생해

      2020.11.27 by 알약4

    • cPanel 이중 인증, 브루트포싱 공격에 단 몇 분 만에 우회돼

      2020.11.27 by 알약4

    • 취약한 Fortinet VPN 5만대의 비밀번호 노출돼

      2020.11.26 by 알약4

    • MobileIron MDM 취약점, 실제 공격에 활발히 악용돼

      2020.11.26 by 알약4

    이중 확장자로 위장한 AsyncRAT 유포 중!

    안녕하세요. 이스트 시큐리티 시큐리티 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최근 중요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다량으로 발견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되어 기업 담당자와 개인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래는 ESRC에서 발견한 악성 파일 이름 목록입니다. 관리정산 및 모든자료_xls(3).scr전체정산표_및_관리자정보.zip전체정산표 및 관리자정보.xlsx .exe팬더티비 유출검색.zip1번 중요![검색서치]필수먼저키세요.exe2번 검색용(누르셔서bj명입력).exe기업은행 2020-11-13 입출금 거래내역.xlsx .exe전체회원정보 및 비밀번호포함_xls(4).scr거래안내_및_가격표_신청안내_xls3.exe[표 1] 악성 파일 이름 목록 전체회원정보 및 비밀번호포함_xls(4..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1. 30. 14:59

    산업 자동화 시스템에서 원격 해킹을 허용하는 치명적인 취약점 발견

    A critical flaw i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opens to remote hack 전문가들이 RTA(Real-Time Automation) 499ES EtherNet/IP 스택에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을 해킹하는데 악용될 수 있는 치명적인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CVE-2020-25159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CVSS 심각도 점수 10점 만점에 9.8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2년 11월 21일 공개된 버전 2.28 이전 모든 EtherNet/IP 아답터 소스코드 스택에 영향을 미칩니다. “Claroty는 RTA측에 499ES EtherNet/IP 스택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비공개로 전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서비스 거부(DoS)를 유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30. 14:00

    디지털 서명된 Bandook 악성코드, 다양한 산업 분야 노려

    Digitally Signed Bandook Malware Once Again Targets Multiple Sectors 카자흐스탄과 레바논 정부와 관련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이버 스파이 그룹이 13년 된 백도어 트로이목마를 개조해 다양한 조직을 노리는 새로운 공격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heck Point의 연구원들은 보고서를 통해 이 해커가 Dark Caracal이라는 그룹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작년 디지털 서명된 윈도우 트로이목마 Bandook의 변종 수십 개를 배포하려 시도했으며, 이로 인해 다시 한번 이 악성코드 패밀리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공격자는 칠레, 키프로스, 독일,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싱가포르, 스위스, 터키, 미국에 위치한 정부, 금융, 에너..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30. 09:18

    [스미싱] 상품 택배보냈습니다 확인부탁합·니다

    [11월 네번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상품 택배보냈습니다 확인부탁합·니다 asq[.]kr/xxxxxxxxx2 CJ-택배 배송조회 asq.asq[.]kr/xxxxxxxxx3 지정된 장소에 택배가 배달되었으/니 hxxp://t2m[.]kr/xxxxx4 [Web발신][국민건강검진]2020년11월{'종합;(신체).검사'} 내용: hxxps://url[.]vet/xxxxx5 [Web발신] [건 강 검 진]통지서 내용보기 x.xxxxx[.]icu 출처 : 알약M기간 : 2020년 11월 23일 ~ 2020년 11월 27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20. 11. 27. 17:00

    Sophos, 잘못된 데이터베이스 구성으로 데이터 유출 발생해

    Sophos notifies data leak after a misconfiguration 사이버 보안 회사인 소포스(Sophos)에 보안 사고가 발생해 고객에 공지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회사는 지난 11월 24일 사고 발생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소포스가 고객에게 보낸 이메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소포스는 2020년 11월 24일, 소포스 지원 센터에 연락한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한 툴에 대한 접근 권한 문제에 대한 제보를 받았습니다.” “소포스에서는 고객의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이 늘 최우선 순위입니다. 이 사고에 영향을 받은 모든 고객에게 연락을 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접근 권한 설정을 계속해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방안을 구현 중입니다.” 회사에 따르면, 노..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27. 14:00

    cPanel 이중 인증, 브루트포싱 공격에 단 몇 분 만에 우회돼

    cPanel 2FA bypassed in minutes via brute-force attacks CPanel 웹 호스팅 제어판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공격자가 취약한 cPanel, WebHost Manager(WHM) 버전을 통해 관리되는 도메인에 브루트포싱 공격을 실행해 이중 인증(2FA)을 우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Panel은 공유 웹 호스팅 서비스에 설치되는 관리 소프트웨어로 관리자, 웹사이트 소유주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버와 웹사이트 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 공격에 노출된 웹사이트의 수는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cPanel은 7천만 이상 도메인에서 그들의 웹 호스팅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 중이라 밝혔습니다. 악용에 유효한 자격 증명 필요해 CVE-..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27. 09:00

    취약한 Fortinet VPN 5만대의 비밀번호 노출돼

    Passwords exposed for almost 50,000 vulnerable Fortinet VPNs 한 해커가 취약한 Fortinet VPN 약 5만대의 자격 증명을 유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주말, 한 해커가 이 기기에서 VPN 자격 증명을 훔치는데 사용할 수 있는 CVE-2018-13379 취약점의 1줄짜리 익스플로잇을 게시했습니다. 취약한 타깃 목록에는 전 세계의 은행, 통신사, 정부 조직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유출된 파일에 계정, 비밀번호, IP주소 포함돼 치명적인 FortiOS 취약점 CVE-2018-13379을 악용할 경우 공격자가 Fortinet VPN에서 민감한 "sslvpn_websession" 파일에 접근하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은 세션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26. 14:00

    MobileIron MDM 취약점, 실제 공격에 활발히 악용돼

    This critical software flaw is now being used to break into networks - so update fast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해커와 범죄 조직들이 정부, 의료 및 기타 업계의 네트워크에 접근할 목적으로 모바일 기기 관리(MDM) 소프트웨어 내 취약점을 활발히 악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국의 NCSC(National Cyber Security Centre)는 여러 그룹이 MobileIron의 MDM 소프트웨어 내 취약점을 악용 중이라는 경고를 발행했습니다. MDM 시스템은 시스템 관리자가 조직 내 모바일 기기를 중앙 서버에서 관리하는 데 사용하기 때문에 범죄자들, 스파이들에게 아주 중요한 타깃이 됩니다. 2020년 6월, MobileIron은 제품 내..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1. 26.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63 264 265 266 267 268 269 ··· 674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