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0)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0)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0)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0)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9)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603)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Discord를 통해 명령을 전달받고, 랜섬 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RAT 악성코드 발견

      2020.10.26 by 알약4

    • [스미싱]주소에 물건 보냈습니다 확인하세요

      2020.10.23 by 알약3

    • Cisco, 보안 어플라이언스의 심각도 높은 취약점 17건 패치

      2020.10.23 by 알약4

    • MobileIron의 기업 MDM 서버, DDoS 및 정부 해커의 공격 받아

      2020.10.22 by 알약4

    • 조용히 네트워크를 이동하고 빠르게 공격하는 LockBit 랜섬웨어

      2020.10.22 by 알약4

    • 이스트시큐리티가 ISEC 2020에 참가합니다! (10/29~10/30)

      2020.10.22 by 알약5

    • 구글 크롬 버전 86, 활발히 악용되는 제로데이 취약점 수정

      2020.10.21 by 알약4

    • ZLoader 악성코드, 사업 정지 경고로 위장해 유포중

      2020.10.21 by 알약2

    Discord를 통해 명령을 전달받고, 랜섬 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RAT 악성코드 발견

    New RAT malware gets commands via Discord, has ransomware feature Discord를 명령 및 제어(C2) 서버로 사용하는 첫 원격 접속 트로이목마인 ‘Abaddon’ 이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이 악성코드는 랜섬웨어 기능까지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격자들이 Discord를 공격에 악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과거에도 공격자는 Discord를 악성코드를 드롭하기 위해 이용하거나, 자격 증명 및 기타 정보를 훔치기 위해 Discord 클라이언트를 수정하는 악성코드를 개발했습니다. Discord를 완전한 C2 서버로 사용하는 RAT 새롭게 발견된 ‘Abaddon’ 원격 액세스 트로이목마(RAT)는 Discord를 완전한 명령 및 제어 서버로..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26. 09:00

    [스미싱]주소에 물건 보냈습니다 확인하세요

    [10월 세번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주소에 물건 보냈습니다 확인하세요 tiny[.]cc/xxxxxx2 택배 발송했으니 즉시 수령해주세요 ShOrturl[.]at/xxxxxx3 [Web발신] 2차 재난지원금 조회 및 지급안내:x.xxxxx[.]ren4 2020년10월 [건강검진 통 지서 자 세한 내용보기] hxxps://s[.]id/xxxxx5 2020년 [건강검진] (통 지 서 자 세 내 용 ) 보기 bit[.]ly/xxxxxx 출처 : 알약M기간 : 2020년 10월 19일 ~ 2020년 10월 23일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20. 10. 23. 09:37

    Cisco, 보안 어플라이언스의 심각도 높은 취약점 17건 패치

    Cisco addresses 17 high-severity flaws in security appliances 시스코가 치명도 ‘높음’인 취약점 17건을 수정하는 보안 패치를 발표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ASA (Adaptive Security Appliance), FTD (Firepower Threat Defense) 및 FMC (Firepower Management Center)에 영향을 미칩니다. “2020년 10월 21일 발행되는 소프트웨어 보안 권고 묶음에는 ASA, FMC, FTD 취약점 17개에 대한 보안 권고 및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스코는 해당 취약점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모든 취약점은 보안 영향 등급(SIR) ‘높음’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시스코가 패치한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23. 09:00

    MobileIron의 기업 MDM 서버, DDoS 및 정부 해커의 공격 받아

    MobileIron enterprise MDM servers under attack from DDoS gangs, nation-states 모바일 기기 그룹을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서버에서 발견된 심각한 취약점 3개에 대한 세부사항이 공개된 지 한달 후, 많은 공격자들이 중요한 기업 서버를 장악하고 회사 네트워크 내부에 침입하기 위해 이 취약점을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공격은 소프트웨어 제조업체인 MobileIron의 MDM 서버를 노리고 있었습니다. MDM은 모바일 기기 관리(Mobile Device Management)의 약자입니다. MDM 시스템은 기업에서 직원의 모바일 기기를 관리하는데 사용됩니다. 시스템 관리자들은 인증서, 애플리케이션, 액세스 제어 목록을 배포하고 중앙 서버에..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22. 14:00

    조용히 네트워크를 이동하고 빠르게 공격하는 LockBit 랜섬웨어

    LockBit ransomware moves quietly on the network, strikes fast LockBit 랜섬웨어가 피해자의 네트워크에 도달해 암호화 루틴을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5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ockBit은 2019년 9월 시작된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로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네트워크 전체에 빠르게 확산되고, 중요한 시스템을 빠르게 식별해 암호화합니다. LockBit은 포렌식 분석을 위한 흔적을 거의 남기지 않으며, 실행 시 로그 및 지원 파일을 제거합니다. 스크립트 및 백도어 Sophos의 연구원들은 소규모 조직에서 발생한 사건 8건을 조사한 후, LockBit 랜섬웨어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습니다. 이들은 한 사례에서 공격이 해킹된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22. 09:28

    이스트시큐리티가 ISEC 2020에 참가합니다! (10/29~10/30)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엔드포인트 보안 전문 기업 이스트시큐리티가 오는 10월 29일~30일 양일간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되는 제 14회 국제 시큐리티 콘퍼런스(ISEC 2020)에 참가합니다! 이스트시큐리티 부스(#A08)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위협을 선차단하는 '알약 EDR'과 문서중앙화를 통해 내부자료 유출.유실 방지 및 통합관리가 가능한 '시큐어디스크'에 대해 상세한 안내와 구축 사례를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ISEC 2020 현장에서 이스트시큐리티가 제시하는 차세대 보안 솔루션을 직접 만나보세요! ▶ 이스트시큐리티 부스 위치 보기 현장 상담을 예약해주신 분들께는 이스트시큐리티 부스에서 소정의 기념품도 증정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석 부탁 드립니다!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20. 10. 22. 09:00

    구글 크롬 버전 86, 활발히 악용되는 제로데이 취약점 수정

    New Google Chrome version fixes actively exploited zero-day bug 구글이 2020년 10월 20일 크롬 버전 86.0.4240.111을 Stable 데스크톱 채널에 공개하며 보안 취약점 5개를 수정했습니다. 이 중 하나는 활발히 악용되고 있는 제로데이 취약점입니다. “구글은 CVE-2020-15999에 대한 익스플로잇이 실제 공격에 사용된다는 제보를 받았습니다.” 이 버전은 다음 주 이내로 모든 사용자에게 배포될 예정입니다. 윈도우, 맥, 리눅스 데스크톱 사용자들은 ‘설정 > 도움말 > Chrome 정보’로 이동해 크롬 86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시기 바랍니다. 활발히 악용 중인 freetype 제로데이 버그 “Project Zero는 freetype에서 ..

    국내외 보안동향 2020. 10. 21. 14:00

    ZLoader 악성코드, 사업 정지 경고로 위장해 유포중

    안녕하세요? 이스트 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금일 ZLoader 악성코드가 국내에서 이메일을 통해 유포됨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메일은 “당신의 사업이 조만간 정지될 것이다”의 내용으로 첨부된 URL을 실행하도록 유도합니다. [그림 1] 사업 정지 내용의 악성 메일 화면 이용자가 문서 확인을 위해 이메일 내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은 구글 문서가 열립니다. 그리고, ‘Click here to download the document’를 한차례 더 누를 경우, ‘https://donwloadfiles[.]top/download.php’에서 ‘details1910p.xls’ 엑셀 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그림 2] 연결된 구글 드라이브 화면 문서 실행 시 아래와 같이 매크로 실행을 유도하는 화면이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10. 21. 13:45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73 274 275 276 277 278 279 ··· 674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