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6)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3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6)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탐지가 불가능한 리눅스 악성코드, 노출된 API로 Docker 서버 노려

      2020.07.29 by 알약(Alyac)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7월 넷째주)

      2020.07.29 by 알약(Alyac)

    • Cerberus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소스코드, 10만 달러에 판매 중

      2020.07.28 by 알약(Alyac)

    • 캡차인증를 이용하는 피싱 메일 주의!!

      2020.07.27 by 알약(Alyac)

    • 치명적인 CVE-2020-1147 취약점, SharePoint 서버 해킹 위험에 노출돼

      2020.07.27 by 알약(Alyac)

    • D-Link, 라우터 모델 일부에서 발견된 취약점 5개 패치

      2020.07.27 by 알약(Alyac)

    • 시스코, 실제 공격에 악용되는 치명적인 디렉터리 접근 취약점 패치

      2020.07.27 by 알약(Alyac)

    • [스페셜 리포트] 미국 MS가 고소한 탈륨 그룹, 대한민국 상대로 '페이크 스트라이커' APT 캠페인 위협 고조

      2020.07.25 by 알약(Alyac)

    탐지가 불가능한 리눅스 악성코드, 노출된 API로 Docker 서버 노려

    Undetectable Linux Malware Targeting Docker Servers With Exposed API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알려지지 않은 기술을 통해 레이더를 피하고 AWS, Azure, Alibaba Cloud 등 인기 있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호스팅되는 공개적 접근 가능한 Docker 서버를 노리는 탐지가 완전히 불가능한 리눅스 악성코드를 발견했습니다. Docker는 개발자가 ‘컨테이너’라는 격리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 테스트,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기 있는 리눅스 및 윈도우용 서비스형 플랫폼(PaaS: platform-as-a-service) 솔루션입니다. Intezer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에서 잘못 구성된 Docker API 엔드포인트 스캐닝하는 Ng..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9. 10:11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7월 넷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지난주에 이어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공유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7월 19일~25일까지의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352건이고 그중 악성은 96건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지지난주 103건 대비 7건(-0.06%)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일일 수집량은 하루 최저 3건(악성 1건)에서 최대 85건(악성 23건)으로 주로 평일에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 96건 중 Attach-Malware형이 76%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g형이 14%를 차지했습니다.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7. 29. 09:00

    Cerberus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소스코드, 10만 달러에 판매 중

    Cerberus Android malware source code offered for sale for $100,000 안드로이드용 Cerberus 뱅킹 트로이목마 관리자들이 프로젝트 전체를 5만 달러부터 시작하는 경매에 부치거나 두 배 가격에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가격에는 소스 코드에서부터 고객 목록, 설치 가이드, 컴포넌트가 함께 동작하도록 하는 스크립트 등을 모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잠재적인 이익 Cerberus의 배후에 있는 그룹은 최소 1년 동안 그들의 비즈니스를 광고했으며 1년에 12,000달러를 받고 악성 봇을 대여해 주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더 기간이 짧은 라이선스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4,000/3개월, $7,000/6 개월). 이 판매자의 러시아어를 언더그라운드..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8. 14:30

    캡차인증를 이용하는 피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최근 사용자가 사람인지 기계인지 구분해 주는 캡차(CAPTCHA) 인증 기술을 이용한 피싱 메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메일은 “New VM (28 seconds) processed on July 21, 2020, 2:40:09 PM”라는 제목으로 전파되었으며 새로운 음성 메시지로 보이는 “AudioMessage.htm” 파일이 첨부되어 수신자의 파일 실행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림 1] 새로운 음성 메시지를 가장한 피싱 메일 화면 피싱 메일에 첨부된 파일(htm)을 실행 시 계정과 비밀번호를 가로채기 위한 피싱 사이트로 리디렉션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를 안심시키기 위한 캡차 인증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7. 27. 16:44

    치명적인 CVE-2020-1147 취약점, SharePoint 서버 해킹 위험에 노출돼

    PoC Released for Critical CVE-2020-1147 flaw, SharePoint servers exposed to hack 전문가들이 마이크로소프트 SharePoint, .NET 프레임워크, 비쥬얼 스튜디오에 존재하는 최근 수정된 치명적인 취약점용 PoC 익스플로잇 코드를 공개했습니다. CVE-2020-1147 취약점은 2020년 7월 패치 화요일 보안 업데이트를 통해 최근 패치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은 XML 파일 인풋의 소스 마크업 체크 누락으로 인해 발생하며, 공격자가 악용할 경우 XML 콘텐츠의 역직렬화가 발생하는 프로세스의 콘텍스트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SharePoint, .NET 프레임워크, 비쥬얼 스튜디오에 소프트웨어가 SML 파일 입력의..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7. 16:00

    D-Link, 라우터 모델 일부에서 발견된 취약점 5개 패치

    D-Link addressed 5 flaws on some router models, some of them reached EoL D-Link가 심각한 네트워크 해킹으로 이어질 수 있는 라우터 모델 일부에 존재하는 심각한 취약점 5개를 공개했습니다. 안타깝게도 취약한 모델 중 일부는 현재 판매 및 지원이 중단되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받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 취약점에는 Reflected XSS, 버퍼 오버플로우, 인증 이슈 우회, 임의 코드 실행 취약점 등이 포함됩니다. 이 취약점은 Loginsoft의 ACE 팀에서 발견하여 제보하였으며, 아래는 보안 권고에 포함된 취약점의 전체 목록입니다. • CVE-2020-15892:: 링크:: DAP 1520:: `ssi` 바이너리 내 버퍼 오버..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7. 14:00

    시스코, 실제 공격에 악용되는 치명적인 디렉터리 접근 취약점 패치

    Cisco patches severe traversal vulnerability exploited in wild Cisco가 Cisco ASA (Adaptive Security Appliance) 소프트웨어와 FTD (Firepower Threat Defense)의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며 실제 공격에서 활발히 악용 중인 심각도 높은 디렉터리 접근 취약점을 수정하는 패치를 적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Cisco에 따르면 CVE-2020-3452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취약한 기기에서 처리되는 HTTP 요청 내 URL 입력을 적절히 검증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공격자는 디렉터리 접근 문자 시퀀스를 포함하는 조작된 HTTP 요청을 취약한 기기에 보내는 방식으로 이 취약점을 악용할 수 있..

    국내외 보안동향 2020. 7. 27. 10:00

    [스페셜 리포트] 미국 MS가 고소한 탈륨 그룹, 대한민국 상대로 '페이크 스트라이커' APT 캠페인 위협 고조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 입니다. 저희는 국내 통일분야 기관을 사칭해 수행되는 이른바 '페이크 스트라이커(Fake Striker) 위협 캠페인' 배후가 작년 말 미국 법원에 고소장이 제출된 탈륨 조직과 직간접 연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중입니다. 이들은 현재도 활발한 사이버 위협활동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내 주요 기관이나 학회 관계자 등으로 위장해 공격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 많이 이용하는 hwp, doc 등의 문서 파일 내부에 악의적 코드를 삽입한 후, 감염 대상자 별 이메일로 직접 전달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업무상 특별히 보안이 중요하신 분들은 이메일 접근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지인 사이라도 평소 자주 연락이 없었거나 사전에 통보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0. 7. 25. 10:2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99 300 301 302 303 304 305 ··· 680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