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3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3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40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30)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컴퓨터 메모리에서 민감 데이터를 탈취하는 RAMBleed 공격 발견

      2019.06.12 by 알약(Alyac)

    • Vim이나 Neovim 에디터를 여는 것만으로 리눅스 해킹 당할 수 있어

      2019.06.11 by 알약(Alyac)

    • [스페셜 리포트] APT 캠페인 'Konni' & 'Thallium(Kimsuky)' 조직의 공통점 발견

      2019.06.10 by 알약(Alyac)

    • 전 세계 RDP 서버를 노리는 새로운 브루트포스 봇넷 발견

      2019.06.10 by 알약(Alyac)

    • [스미싱][Web발신] 매칭100%으로 서로 연결해주는인연바로여기로!!!!

      2019.06.10 by 알약(Alyac)

    • RDP 세션의 윈도우 잠금 화면을 우회하는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

      2019.06.05 by 알약(Alyac)

    • '비정상적인 로그인 알림'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 주의!!

      2019.06.04 by 알약(Alyac)

    • 인위적 클릭으로 보안 기능을 우회할 수 있는 MacOS 제로데이 취약점

      2019.06.04 by 알약(Alyac)

    컴퓨터 메모리에서 민감 데이터를 탈취하는 RAMBleed 공격 발견

    RAMBleed Attack Can Steal Sensitive Data From Computer Memory 연구원들이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여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OpenSSH 서버에서 서명 키를 추출해내는데 성공했습니다. RAMBleed라 명명된 이 공격은 Rowhammer 취약점을 기반으로 하며, ECC(error-correcting code) 기능이 있는 RAM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Rowhammer는 RAM에 저장된 정보를 격리하는 실험 연구를 통해 시작되었습니다. ※ Rowhammer 취약점이란? D 램이 점점 더 고집적화될수록 메모리 구조 상 내부 영역들 간 간섭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2. 11:03

    Vim이나 Neovim 에디터를 여는 것만으로 리눅스 해킹 당할 수 있어

    Your Linux Can Get Hacked Just by Opening a File in Vim or Neovim Editor 리눅스 OS, 특히 명령줄 텍스트 편집 유틸리티를 최근 업데이트하지 않았다면 Vim이나 Neovim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열지 말아야 합니다. 최근 대부분의 리눅스 기반 OS에서 탑재되어 출시되며, 가장 인기 있는 명령줄 텍스트 편집기인 Vim과 Neovim에서 심각한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보안 연구원인 Armin Razmjou는 유명 텍스트 편집기인 Vim과 Neovim에서 심각도 높은 임의 OS 명령어 실행 취약점 (CVE-2019-12735)을 발견했다고 전했습니다. Vim 편집기는 사용자들이 리눅스 시스템에서 텍스트, 프로그래밍 스크립트, 문서를 포함한 모든 파일을 ..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1. 11:03

    [스페셜 리포트] APT 캠페인 'Konni' & 'Thallium(Kimsuky)' 조직의 공통점 발견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 입니다. 과거부터 한국과 해외 등을 상대로 은밀히 활동중인 APT(지능형 지속 위협) 공격조직 일명 '코니(Konni)'의 배후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탈륨(Thallium)/김수키(Kimsuky)'와 연관된 몇가지 의심스러운 정황들을 관찰했습니다. 김수키 조직은 특정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최근까지 코니 조직과는 별다른 연결고리가 공식적으로 보고된 바 없습니다. 그러나 ESRC는 코니 캠페인에 연루된 몇몇 위협 흔적들을 심층 분석하는 과정에서 단순 우연으로 보기 어려운 단서를 포착했고, 이를 통해 코니와 김수키 조직이 특별한 관계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본 스페셜 리포트는 베일에 싸여 있던 코니 조직의 배후와 실체를 연구한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6. 10. 16:11

    전 세계 RDP 서버를 노리는 새로운 브루트포스 봇넷 발견

    New Brute-Force Botnet Targeting Over 1.5 Million RDP Servers Worldwide 보안 연구원들이 현재 인터넷에서 공개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윈도우 RDP 서버 150만개 이상을 브루트포싱하는 정교한 봇넷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GoldBrute라 명명된 이 봇넷 체계는 네트워크에 모든 새로운 크랙된 시스템을 추가함으로써 확대 되며, 접근이 가능한 새로운 RDP 서버를 찾아 브루트포싱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캠페인의 배후에 있는 공격자들은 보안 툴과 악성코드 분석가들에게 탐지되지 않기 위해 감염된 기기 수백만 대에 고유한 계정/패스워드 조합을 사용하도록 명령했습니다. 그리고 타깃 서버가 서로 다른 IP 주소로부터 브루트포싱 공격을 받도록 설정했습니다. Mor..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10. 10:52

    [스미싱][Web발신] 매칭100%으로 서로 연결해주는인연바로여기로!!!!

    [6월 첫째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문자 내용 1 [CJ통-운] 택배 주소가 모호하여 정확한 주소를 확정합니..2 [Web발신] 매칭100%으로 서로 연결해주는인연바로여기로!!!!3 신한상담TALK !4 제가 발송한 링크문구눌러주세요 1. 본인신청 눌러주세요 2. 상단에 다운로드중 다운로드완료될시 완료된문구를 눌러주세요 3. 누르면 설정/보안 나옵니다 설정 들어가셔서 출처를알수없는 앱 허용 눌러주세요. 4. 설치 문구가 나옵니다 설치 5. 열기 나오고 열기눌러주세요 6, 모바일 다이렉트 신청하기 누르고작성 이름 ,핸드폰번호..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19. 6. 10. 10:25

    RDP 세션의 윈도우 잠금 화면을 우회하는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

    Unpatched Bug Let Attackers Bypass Windows Lock Screen On RDP Sessions 한 보안 연구원이 금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RDP(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에서 패치되지 않은 새로운 취약점에 대한 세부 사항을 공개했습니다. CVE-2019-9510으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클라이언트 측 공격자가 원격 데스크톱 세션의 잠금 화면을 우회해 연결된 기기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VE-2019-9510 취약점은 Carnegie Mellon University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연구소(SEI)의 Joe Tammariello가 발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 기능에서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수준 인증(NLA)을 통..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5. 10:37

    '비정상적인 로그인 알림'으로 위장한 악성 메일 주의!!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등록되지 않은 IP에서 로그인 된 정황이 발견되어, 로그인 시도 활동 및 안전한 이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클릭하라는 악성 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이번 메일은 매스 메일링(Mass-Mailing)기법을 사용하여 약 85명의 불특정 다수에게 메일이 전달 되었습니다. [그림1] 로그인 확인으로 위장 된 이메일 화면 사용자가 비정상적인 로그인 시도를 체크하기 위해 본문에 기재 된 링크를 클릭 시 아래의 주소에서 압축파일을 다운로드 받게 됩니다.파일 다운로드 주소 : https://www.dropbox.com/s/***************/unusual_logins_to_mail_accounts.zip?dl=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19. 6. 4. 16:59

    인위적 클릭으로 보안 기능을 우회할 수 있는 MacOS 제로데이 취약점

    macOS 0-Day Flaw Lets Hackers Bypass Security Features With Synthetic Clicks 보안 연구원이 인위적 클릭(Synthetic Click)을 수행하여 보안 경고를 우회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아도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6월, 애플은 MacOS에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 기기의 카메라나 마이크, 위치 데이터, 메시지, 브라우징 히스토리를 포함한 시스템의 민감 데이터나 컴포넌트에 접근을 시도할 때, 반드시 사용자의 허가를 얻도록 하는 핵심 보안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인위적 클릭(Synthetic Click)’은 사람이 아닌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만들어낸 프로그래밍된 마우스 클릭을 일컫는..

    국내외 보안동향 2019. 6. 4. 09:13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395 396 397 398 399 400 401 ··· 680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